$\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련병원 내 소아치과 전공의 진정법 교육 현황 조사
Survey on Sedation Training for Pediatric Residents in Training Hospitals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48 no.3, 2021년, pp.333 - 343  

문소연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송제선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신터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최성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양연미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치과 수련기관들의 지도전문의를 통하여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진정법 교육 현황과 보수교육에 관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 18개의 소아치과 수련기관에 Google 설문지 프로그램을 이용한 설문을 메일로 보낸 후 응답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진정법 교육 시기는 1년차 교육(61.1%)과 1 - 3년차 통합교육(55.6%)이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타과파견 여부에서는 5기관(27.8%)이 원내 마취과 파견을 보내고 있었다. 전공의가 진정법을 처음 사용하는 시기는 1년차 하반기(50%)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진정법 시행 시에 감독관이 참여하는 기간에는 참여하지 않는 곳부터 수련 기간 내내 참여하는 곳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진정법 교육은 모든 수련기관에서 진행이 되고 있으나 여러 방면에서 전공의가 얻을 수 있는 경험의 편차가 나타났다. 추후 보수교육의 필요성은 모든 기관에서 필요하다고 답을 하였고, 보수교육 시간 및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응답하였으나, 이를 종합해보면 매년 1 - 2시간의 이론교육과 2 - 3년에 한 번의 술기 및 시뮬레이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sedation training for the residents in pediatric dentistry training institutions and opinions about continuing education after the residency program. Surveys were sent to 18 pediatric dentistry training institutions by e-mail, and the re...

주제어

참고문헌 (18)

  1.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Textbook of Pediatric Dentistry, 5th ed. Yenang, Seoul, 225-269, 2014. 

  2. Wilson S : Oral sedation for dental procedures in children, Springer-Verlag, Heidelberg, 195-205, 2017. 

  3. Hicks CG, Jones JE, Tomlin A, et al. : Demand in Pediatric Dentistry for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by Dentist Anesthesiologists: A Survey of Directors of Dentist Anesthesiologist and Pediatric Dentistry Residencies. Anesth Progs, 59:3-11, 2012. 

  4. Yang YM, Shin TJ, Jeong TS, et al. :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by Pediatric Dentis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257-265, 2014. 

  5. Cote CJ, Wilson S : Guidelines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Pediatric Patients Before, During, and After Sedation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Pediatr Dent, 41:26-52, 2019. 

  6. Adair SM, Schafer TE, Waller JL : Survey of behavior management teaching in pediatric dentistry advanced education programs. Pediatr Dent, 26:151-158, 2004. 

  7. Wilson S, Nathan JE : A survey study of sedation training in advanced pediatric dentistry programs: thoughts of program directors and students. Pediatr Dent, 33:353-360, 2011. 

  8.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Guideline on use of anesthesia personnel in the administration of officebased deep sedation/general anesthesia to the pediatric dental patient. Pediatr Dent, 34:170-172, 2012. 

  9. Zanette G, Facco E, Manani G : Sedation in Europe. Br Dent J, 205:523-523, 2008. 

  10. Kim HW, Kim J : A Trend of Treatment 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for 10 Year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6:328-336, 2019. 

  11. Lee KE, Song JS, Choi HJ, et al. : The Changes of Sedation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J Korean Acad Pediatr Dent, 45:154-161, 2018. 

  12. Europ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EAPD Guidelines on Sedation in Paediatric Dentistry. Available from URL: https://www.eapd.eu/uploads/5CF03741_file.pdf (Accessed on March 3, 2021). 

  13. Cote CJ, Wilson 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Guidelines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Pediatric Patients Before, During, and After Sedation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Pediatrics, 143:20191000, 2019. 

  14. Korean Academy of Dental Sciences : 2010 Guidelines for the Use of Sedation by Dentists. Available from URL: https://www.medric.or.kr/Uploads/BLibrary/%EC%A7%84%EC%A0%95%EB%B2%95%EA%B0%80%EC%9D%B4%EB%93%9C%EB%9D%BC%EC%9D%B8.pdf (Accessed on March 3, 2021). 

  15. Kim JB, Yoo SH, Kim JS : The Qualification of Dentist for Sedation : BLS and ACL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2:80-86, 2015. 

  16. Wilson S, Alcaino EA : Survey on sedation in paediatric dentistry: a global perspective. Int J Paediatr Dent, 21:321-332, 2011. 

  17. LaPointe L, Buelmann M, Primosch R : State regulations governing oral sedation in dental practice. Pediatr Dent, 34:489-492, 2012. 

  18. An SY, Choi BJ, Lee JH, et al. :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in the Korean pediatric dental office. J Korean Acad Pediatr Dent, 32:444-45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