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수변 생태복원지 시공 후 4년간(2007~2010년) 식생구조 변화 모니터링
Monitoring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nge for Four Years(2007~2010) after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Nakdonggang(River)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5, 2012년, pp.707 - 718  

기경석 (도시생태학연구센터) ,  김종엽 (도시생태학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매수토지 생태복원지를 대상으로 2007년 복원 공사 직후부터 4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낙동강 수계 생태복원지 중 총 15개소($208,342m^2$)를 대상지로 하였고 조사는 2007년 11월, 2008년 9월, 2009년 10월, 2010년 9월에 각각 시행하였다. 식재종 및 개체수 변화 분석 결과 교목층은 당단풍나무, 상수리나무, 신나무, 갈참나무, 굴참나무 등은 비교적 개체수가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었고 떡갈나무, 말채나무, 뽕나무, 쪽동백나무, 팥배나무는 100% 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은 초본과 덩굴성 식물에 의한 피압으로 대부분 고사하였다. 식재밀도는 4년간 평균 28주/$100m^2$ ${\rightarrow}$ 20주/$100m^2$ ${\rightarrow}$ 16주/$100m^2$ ${\rightarrow}$ 16주/$100m^2$로 감소하였다. 생장량은 복원 공사 직후 이식에 따른 스트레스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후 활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안정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흉고단면적 변화는 2007년 복원직후에 $507.1cm^2/100m^2$이던 것이 2008년에 $301.8cm^2/100m^2$로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는 $324.9cm^2/100m^2$(2009년), $372.7cm^2/100m^2$(2010년)으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변 생태복원지의 식재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토양습도를 고려한 수종의 선정과 대상지 여건을 고려한 적정 식재구조의 차별화가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4 years of changes in the vegetation structure starting from 2007 when restoration began and propose vegetation management ideas for the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areas in the purchased land around Nakdonggang(River). The study was conducted in each of 15 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수변구역 내 생태복원사업은 전국적으로 대면적에 걸쳐 진행되고 있으며 복원사업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생태복원이 완료된 지역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문제점의 진단과 향후 관리방향의 제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매수토지 생태복원지를 대상으로 2007년 복원초기부터 4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변구역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실시한 낙동강유역환경청의 조치는? 정부에서는 수변구역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1998년 ‘팔당호 등 한강수계 상수원 수질관리 특별종합대책’에서 상수원 수질을 보전하고 개선시키기 위한 예방대책의 일환으로 수변구역제도를 도입하였고 효율적 집행을 위해 1999년‘한강수계 상수원 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정하여 수변구역 지정을 법제화하였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2002년 낙동강수계의 수자원과 오염원을 적절하게 관리하고, 상수원 상류지역에서의 수질개선 및 주민지원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동 수계 수질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낙동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 2003년 동법 제8조의 규정에 의한 토지 등의 매수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매수한 토지 등을 적정 유지 관리함을 목적으로 토지매수를 진행하고 점진적으로 생태복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수변구역의 의의는? 수변구역은 하천 주변 토양 및 동․식물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하천 흐름을 조절하고 물을 저장하며 오염물질을 정화할 뿐만 아니라 수중 및 육상식물과 동물을 위한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수질과 수량, 그리고 생태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Choi, 2002). 수변구역의 식생은 밀생한 근경에 의하여 토양침식을 막고 그림자는 물고기의 피난처가 되며, 낙엽은 부니질의 소비자인 수서곤충이나 저서동물에게 먹이나 미소서식처를 제공한다.
수변구역의 식생의 역할은? 수변구역은 하천 주변 토양 및 동․식물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하천 흐름을 조절하고 물을 저장하며 오염물질을 정화할 뿐만 아니라 수중 및 육상식물과 동물을 위한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수질과 수량, 그리고 생태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Choi, 2002). 수변구역의 식생은 밀생한 근경에 의하여 토양침식을 막고 그림자는 물고기의 피난처가 되며, 낙엽은 부니질의 소비자인 수서곤충이나 저서동물에게 먹이나 미소서식처를 제공한다. 수변구역은 양서류와 야생조류의 먹이 획득과 보금자리가 되고 온화한 수변경관을 형성하여 사람들에게 안정감을 주며(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J.K.(2011) Development of Allometry and Individual Basal Area Growth Model for Major Species in Korea. Journal of Forest Science 27(1): 47-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J.Y.(2002)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 Ecological restoration - A Case of Riparian Green Buffer Zone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20: 2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n, S.J., H.J. Kim and Y.H. You(2009) Selection on Tolerant Oak Species to Water Flooding for Flood Plain Restoration.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1(2): 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an., B.H., S.C. Park, J.I. Kwark, B.H. Kim and K.J. Lee(2011) Biotope Mapping of Pinus densiflora Based on Growth Environment of Tricholoma matsutake - A Case Study of Yangyang-gun, Kang Won-do -. Kor. J. Env. Eco. 25(2): 211-2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ang, H.K. and S.H. Hong(2010) A Study of Ecological Change Aspects in Tancheo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Seoul.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13(4): 23-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eefer, R.F.(2000) Handbook of Soils for Landscape Architects. Oxford University Press, 240pp. 

  7. Kim, H.(2004) Developing Stand Growth Models for Chamaecyparis obtusa Stands. Graduate School, College of Agricul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4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H.J., B.K. Shin, Y.H. You and C.H. Kin(2008) Selection on Tolerant Oak Species to Water Flooding for Flood Plain Restoration. Kor. J. Env. Eco. 22(5): 564-5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J.H. and K.J. Lee(2009) Monitoring on vegetation structure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mall stream in paju.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8(1): 99-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K.H., J.Y. Yun and S.H. Yoo(1995) Distribution of Cs-137 and K-40 in Korean Soils. Korean J. Soil Sci. Fert. 28(1): 33-40. 

  11. Kim, Y.S., K.J. Song, Y.H. An, K.K. Oh, K.J. Lee and Y.M. Lee(2000) Handbook of Korean Landscape Woody Plants. Gwangil Publisher, 382pp. (in Korean) 

  12. Lee, C.S., S.K. Hong, H.J. Cho and J.M. Oh(1999) The Technology of Restoring the Natural Environment. Donghwagisul, 287pp. (in Korean) 

  13. Monk, C.D., G.I. Chil and S.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nity. Ecology 50(3): 468-470. 

  14. Park, J.H.(2011) Investigation on the Enhancement of Water Purification Functions in Forest Watershed.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4(4): 72-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inay, G. and H. Decamps(1988) The role of riparian woods in regulating nitrogen fluxes between the alluvial aquifer and surface water a conceptual model. Regulated River 2: 507-516. 

  16. Suh., J.S., J.S. Kwon and G.H. Chon(2003) Effects of Parent Rocks on soil Microbial Diversity. Korean J. Soil Sci. Fert. 36(3): 127-1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