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복원사업의 식재 현황과 개선 방안
Planting Status of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and Improvement Plan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9 no.5, 2020년, pp.307 - 322  

이선미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윤주은 (서울여자대학교 생물학과) ,  강다인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차재규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태복원사업의 식재 및 유입식물의 현황을 파악하여 식재식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적극적 복원을 실시한 환경부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지역과 산림청 민간인 통제선 이북지역 산림복원사업지역에서 식재 및 유입식물을 조사하여 자생, 외래, 재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식재식물 중 자생식물의 식재 및 서식 지역, 서식지 특성 비교·분석, 생활형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생보협 사업의 식재식물 중 자생식물은 50.4%, 외래식물은 6.8%, 재배식물은 42.9%이었다. 민북 사업에서 식재식물 중 자생식물은 78.6%, 외래식물은 21.4%이었고, 재배식물은 없었다. 식재 지역과 서식 지역의 거리가 가깝지 않고 서식지 특성이 상이한 곳에 식재되었다고 판단되는 자생식물도 여러 종 확인되었다. 라운키에르 생활형의 경우 식재식물은 대형지상(MM)과 미소지상(N)식물의 비율이 높았고, 유입식물은 일년생(Th)과 반지중(H)식물의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생태복원 시 외래 및 재배식물 보다 자생식물의 식재 비율을 높이고, 자생식물 선정 시 서식지와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생태복원의 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information relevant to resolving problems related to artificially introduced plants in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We investigated artificially introduced plants and plants growing naturally from its surroundings in the active restoration sites of the Ecosyst...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생태복원사업에서 식재한 식물과 식재하지 않았으나 자연스럽게 유입된 식물의 현황 분석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식재식물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향후 생태복원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생태복원사업을 실시한 지역을 대상으로 식재 및 유입식물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재식물 중 자생식물을 대상으로 서식지와 식재지역을 비교하고 서식지의 특성을 제시하였다(Appendix 1). 자생지와의 거리 판단 기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각 종의 서식지 특성(수평(전국, 중부지방, 남부지방 등) 및 수직(고도) 분포 특성, 숲 가장자리, 계곡, 해안가, 바위지대, 풀밭 등 자생지 특성 등)을 고려하여 자생식물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 식재식물 중 자주 식재하고 있는 자생식물의 문제점을 검토해 보았다. 화본과 식물인 잔디는 해안 지역, 언덕초지, 개활지(Cho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 환경의 훼손을 가속화 한것은 무엇인가? 인간에 의한 산업화, 도시화, 인구 증가 등에 따라 자연 환경의 훼손이 가속화되었으며 예측하지 못했던 부정적 영향이 곳곳에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시대에 보전 활동은 드물게 존재하는 기존의 온전한 개체군, 군락 및 생태계의 보호에서 훼손된 서식지의 복원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Caro et al.
생태복원이란 무엇인가? 2017). 전 세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국제복원생태학회의 정의로서 생태복원이란 저하, 피해, 파괴된 생태계의 회복을 도와주는 활동이다(SER 2004). 복원의 한 방법인 적극적 복원은 자연적 과정, 멸종위기종, 지역적 절멸종의 재도입이 필요하거나 생태계 종조성, 구조 및 기능 저하 또는 답압 토양, 하천 직강화, 외래종과 같은 요인에 의한 교란이 있을 경우 종 도입, 종자 파종, 묘목 식재, 장애물 제거 등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복원하는 것이다(Bradshaw 1984; DellaSala et al.
생태복원의 한 방법인 적극적 복원이란 무엇인가? 전 세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국제복원생태학회의 정의로서 생태복원이란 저하, 피해, 파괴된 생태계의 회복을 도와주는 활동이다(SER 2004). 복원의 한 방법인 적극적 복원은 자연적 과정, 멸종위기종, 지역적 절멸종의 재도입이 필요하거나 생태계 종조성, 구조 및 기능 저하 또는 답압 토양, 하천 직강화, 외래종과 같은 요인에 의한 교란이 있을 경우 종 도입, 종자 파종, 묘목 식재, 장애물 제거 등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복원하는 것이다(Bradshaw 1984; DellaSala et al. 2003; Greipsso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Berger JJ. 1993. Ecological restoration and nonindigenous plant species: a review. Restor. Ecol. 1: 74-82. 

  2. Bradshaw AD. 1984. Ecological principles and land reclamation practice. Landsc. Plan. 11:35-48. 

  3. Caro T, Darwin J, Forrester T, Ledoux-Bloom C, Wells C. 2012. Conservation in the Anthropocene. Conserv. Biol. 26: 185-188. 

  4. Cho YH, Kim JH, Park SH.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Korea. [Korean Literature] 

  5. Corlett RT. 2015. The Anthropocene concept in ecology and conservation. Trends in Ecol. & Evol. 30: 36-41. 

  6. De Deyn GB, Shiel RS, Ostle NJ, McNamara NP, Oakley S, Young I, Freeman C, Fenner N, Quirk H, Bardgett RD. 2011. Additional carbon sequestration benefits of grassland diversity restoration. J. Applied Ecol. 48, 600-608. doi: 10.1111/j.1365-2664.2010.01925.x. 

  7. DellaSala DA, Martin A, Spivak R, Schulke T, Bird B, Criley M, van Daalen C, Kreilick J, Brown R, Aplet G. 2003. A citizen's call for ecological forest restoration: forest restoration principles and criteria. Ecol. Restor. 21(1): 14-23. 

  8. Espeland EK, Emery NC, Mercer KL, Woolbright SA, Kettenring KM, Gepts P, Etterson JR. 2017. Evolution of plant materials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sights from the applied and basic literature. J. Applied Ecol 54: 102-115. Doi: 10.1111/1365-2664.12730. 

  9. Fine PVA. 2002. The invasibility of tropical forests by exotic plants. J. Trop. Ecol. 18(5): 687-705. 

  10. Gao D, Wang X, Fu S, Zhao J. 2017. Legume plants enhance the resistance of soil to ecosystem disturbance. Front. Plant Sci. 2017:21 doi: 10.3389/fpls.2017.01295. 

  11. Greipsson S. 2011. Restoration ecology. Jones & Bartlett Learning, Burlington, USA. pp.14-15, 352-362. 

  12. Han BH, Choe IH, Ki KS. 2010. The change of riverside vegetation by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Suwoncheon, Gyeonggi Province. Korean J. Ecol. & Environ. 24(6): 723-734. [Korean Literature] 

  13. Ki KS, Kim JY. 2012. Monitoring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nge for four years (2007-2010) after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Nakdonggang(River). Korean J. Ecol. & Environ. 26(5): 707-718. [Korean Literature] 

  14. Kim JS, Jung TJ, Hong SH. 2015. Biotope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vegetation community in built-up area. Korean J. Ecol. & Environ. 29(3): 454-461. [Korean Literature] 

  15. Kim JW, Lim JC. 2006. A phytosociological review of the forests (Maeul-soop). Keimyung Korean Studies J. 33: 81-112. [Korean Literature] 

  16. Kim NC. 1997. A study on the seeding timing of native woody plants for the slope revegetation works. J. Korean Inst. Landsc. Arch. 25(1): 73-81. [Korean Literature] 

  17. Kim SK. 2011.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of Pinus thunbergii in urban areas. J. Environ. Impact Assess. 20: 151-162. [Korean Literature] 

  18. Kim TY, Kim JS. 2018.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715p. [Korean Literature] 

  19. Korea Forest Service. 2008. Restoration plan for the degraded forests in the Civilian Control Zone (CCZ). [Korean Literature] 

  20.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7. How to write and review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ocument (Ver. 2.0). p. 21. [Korean Literature] 

  21.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Standard checklist of cultivated plants in Korea. 510p. [Korean Literature] 

  22.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6. Natural Resource Survey of Sobaeksan National Park. p. 101. [Korean Literature] 

  23. Kwon JK. 2014. A study on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forest vegetation in Jirisan National Park. Ph. 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n Literature] 

  24. Lee CS, Lee AN. 2004. Restoration effects confirmed in the environmental forests created on the bases of ecological principles. Korean J. Environ. Biol. 22(1): 220-226. [Korean Literature] 

  25. Lee KJ, Han BH. 2002. Planting plan of ecological corridor at destroyed mountain area as a result of road construction. Korean J. Environ. Ecol. 16: 321-337. [Korean Literature] 

  26. Lee TB. 2014.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1828p. [Korean Literature] 

  27. Lee YM, Park SH, Jung SY, Oh SH,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ant Taxon. 41, 87-101. [Korean Literature] 

  28. McDonald T, Gann GD, Jonson J, Dixon KW. 2016.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practice of ecological restoration-including principles and key concepts.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Washington, D.C.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Guideline on the restoration of coal mining spoils. 73p. [Korean Literature] 

  30.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Casebook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Korean Literature] 

  31.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a. National list of species of the Korea_Vascular plants. 633p. [Korean Literature] 

  32.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5. Biodiversity synthesis report around the Demilitarized Zone (DMZ) area. 375p. [Korean Literature] 

  3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7. Detailed studies on invasive alien species and their management (II). p. 235. [Korean Literature] 

  34.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4.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the particular exotic species-exotic plants-. p. 43, 76. [Korean Literature] 

  35.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2.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s: science, technology, and public policy. National Academic Press, Washington DC, USA. 

  36. Oh HK, Shin HT, Beon MS. 2008. Investiga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Eco-Arboretum site, Mt. Gumwon. Korean J. Plant Resour. 21(2): 117-127. [Korean Literature] 

  37. Park SH. 2009. Colored illustration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602p. [Korean Literature] 

  38. Park YD, Kwon TH, Ma HS. 2016. Ecological monitoring on changes in microclimate,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after 2 years in restoration project sites linking the ridgeline of Baekdudaegan. J. Agric. & Life Sci. 50(1): 125-136. [Korean Literature] 

  39. PCA (Plant Conservation Alliance). 2002. An introduction to using native plants in restoration projects. U.S. EPA. 66pp. 

  40.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being the collected papers of C. Raunkiaer. Oxford: Clarendon Press, 632pp. 

  41. Rho JH, Oh HK, Han YH, Choi YH, Byun MS, Kim YS, Lee WH. 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status and management measures of naturalized plants growing in Seongwup Folk Village, Jeju Island. J. Korean Inst. Trad. Landsc. Arch. 32(1): 107-119. [Korean Literature] 

  42. Wang F, Li Z, Xia H, Zou B, Li N, Liu J, Zhu W. 2010. Effects of nitrogen-fixing and non-nitrogen-fixing tree species on soil properties and nitrogen transformation during forest restoration in southern China. Soil Sci. Plant Nutr. 56, 297-306. doi: 10.1111/j.1747-0765.2010.00454.x. 

  43. Wu GL, Liu Y, Tian FP, Shi ZH. 2016. Legumes functional group promotes soil organic carbon and nitrogen storage by increasing plant diversity. Land Degrad. Dev. 28, 1336-1344. doi: 10.1002/ldr.2570. 

  44. Yim YJ, Park GH, Sim JK. 1982.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Raunkiaer's life form spectra in South Korea. Bulletin on Inst. Tech. Sci. Chungang University, 9: 5-20. [Korean Literature] 

  45. Yu SB. 2020. A study on plants status analysis and planting species selection for river riparian eco-belt in Korea. MS Degree.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n Literature] 

  46. Korea National Arboretum [Internet].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cited 2017 October 16]. Available from: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27446 [Korean Literature] 

  47. Ministry of the Environment [Internet]. [cited 2017 November 16]. Available from: http://www.env.go.jp/council/former2013/13wild/y133-04/mat08.pdf. [Japanese Literature] 

  4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ternet]. 2011b. Biodiversity of the Korean Peninsula [cited 2017 October 11]. Available from: https://species.nibr.go.kr/index.do. [Korean Literature] 

  49.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nternet]. 2015. Base amount of recovery and restoration cost per ha for mountainous areas in the north of Civilian Control Lines [cited 2017 April 5]. Available from: http://law.go.kr/LSW/admRulInfoP.do?admRulSeq2200000037361. [Korean Literature] 

  50.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nternet]. 2016.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cited 2017 March 24].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ion&tabNo&query%EC%9E%90%EC%97%B0%ED%99%98%EA%B2%BD%EB%B3%B4%EC%A0%84%EB%B2%95#undefined. [Korean Literature] 

  51.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nternet]. 2017. Enforcement rules of the special act on the management of mountainous areas in the north of Civilian Control Lines [cited 2017 March 24].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ion&tabNo&query%EB%AF%BC%EA%B0%84%EC%9D%B8%20%ED%86%B5%EC%A0%9C%EC%84%A0%20%EC%9D%B4%EB%B6%81%EC%A7%80%EC%97%AD%EC%9D%98%20%EC%82%B0%EC%7%80%EA%B4%80%EB%A6%AC%EC%97%90%20%EA%B4%80%ED%95%9C%20%ED%8A%B9%EB%B3%84%EB%B2%95%20%EC%8B%9C%ED%96%89%EA%B7%9C%EC%B9%99#AJAX. [Korean Literature] 

  52. SER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et]. 2004. The SER international primer on ecological restoration. [cited 2017 March 24]. Available from: www.ser.org & Tucson: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