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Expression Methods of Peony Patterns in Korean Textile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2 no.7, 2012년, pp.13 - 28  

교단 (중앙대학교 의류학과) ,  정영옥 (동신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이은진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history of Korean peony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eony patterns on the fabric.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expression methods, and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71 kinds of peony woven on 66 Korean fabrics. First, it was observed that 38 of the 66 studied fabrics (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한국 모란무늬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2) 주로 직물뿐만 아니라 공예나 건축 등 분야마다 사례들을 조금씩 폭넓게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한국 직물에 표현된 모란무늬를 표현방법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의의는 첫째, 한국 전통무늬의 조형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란이 한국에 전래된 시기는 언제인가? 우리나라 문헌자료에서 모란과 관련된 가장 빠른 기록은 현재까지 연구된 바에 따르면당(唐) 태종(太宗)이 신라 진평왕(眞平王)에게 모란 씨앗과 모란그림을 보내준4) 기록이다. 태종의 재위 기간이 626년에서 649년, 진평왕의 재위기간이 579년에서 632년인 것을 고려하면 626년에서 632년 사이에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모란은 무엇을 상징하는가? 모란은 크고 화려한 외형의 특성으로 인해 꽃의 왕으로 여겨졌으며 부귀나 번영, 미인 등을 상징하여 도자기, 가구, 병풍 등의 생활용품에서부터 기와, 천정 등의 건축물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무늬의 소재로 애용되었다. 한국 전통직물에서도 모란무늬는 연꽃무늬와 더불어 애용되었던 대표적인 꽃무늬 중의 하나였다.
직조된 모란무늬의 형태에서 잎사귀는 어떤 모양인가? 직조된 모란무늬의 형태의 특징은 꽃잎의 가장자리에 파상곡선의 결각(缺角)이 있으며, 꽃잎이 여러 겹 중첩된다. 또 잎사귀는 대개 사람의 손에서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은 벌리고 나머지 세 손가락은 붙인 것처럼 세 갈래로 갈라진 모양이며, 경우에 따라 네댓 갈래인 경우도 있다.1) 이러한 형태의 특징을 기준으로 선정된 유물은 모두 66점이며, 이들 중 5점(유물 11, 15, 16, 22, 29)은 한 직물에 두 가지 유형의 모란무늬가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대상인 모란무늬는 모두 71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7)

  1. 교단, 이은진 (2010),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服飾, 60(1), p. 102. 

  2. 이순자 (1985), 牡丹紋樣에 대한 考察, 服飾, 9, pp. 89-106. 

  3. 유혜영 (1987), 모란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영란 (1992), 모란무늬에 대한 고찰-조선조 공예품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 8, pp. 87-109. 

  5. 김재임 (1999), 한?중?일 모란무늬의 비교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교단 (2009), 중국과 한국 직물에 나타난 모란문양 및 복식디자인 응용,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4. 

  7. 三國史記, 善德女王條. 

  8. 三國遺事, 第27. 

  9. 宣和奉使高麗圖經, 卷第9, 儀物一. 

  10.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73. 

  11.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77. 

  12.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72. 

  13. 수덕사 근역성보관 편 (2004), 至心歸命禮-韓國의 佛腹藏, 충남: 수덕사 근역성보관, p. 86, pp. 254-255. 

  14.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254-256. 

  15.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316. 

  16.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292-293. 

  17.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95. 

  18.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292 

  19.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95. 

  20.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327. 

  21.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251. 

  22.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79. 

  23.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81. 

  24.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97. 

  25.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343. 

  26. 안동대학교박물관 편 (2000), 포항 내단리 장기정씨 묘 출토 복식 조사보고서,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p. 99. 

  27. 안동대학교박물관 편 (2000), 포항 내단리 장기정씨 묘 출토 복식 조사보고서,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p. 100. 

  28.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313. 

  29.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279. 

  30. 단국대학교출판부 (2008), 정사공신 신경유공 묘 출토 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49. 

  31. 조효숙 (2008), 신경유 묘 출토직물 연구, 한국복식, 26, p. 76. 

  32.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313. 

  33.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101. 

  34.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105. 

  35. 경기도박물관 편 (2003), 동래정씨묘 출토 복식조사보고서, 경기: 경기도박물관, p. 26. 

  36. 경기도박물관 편 (2003), 동래정씨묘 출토 복식조사보고서, 경기: 경기도박물관, p. 140. 

  37.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363. 

  38.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109. 

  39.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83. 

  40.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107. 

  41.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473. 

  42. 김영자 외 (1999), 조선시대복식연구, 서울: 學硏文化社, p. 106. 

  43.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42. 

  44.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53. 

  4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69. 

  46.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73. 

  47.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79. 

  4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97. 

  49.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110. 

  50.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210. 

  51.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323 

  52. 이경자 외 (2003), 우리 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226. 

  53.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209. 

  54.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219. 

  55.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316. 

  56.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483. 

  57.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87. 

  58.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449. 

  59.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124. 

  60. 심연옥 (2002), 한국직물 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 153. 

  61.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296. 

  62. 경운박물관 (2003), 근세복식과 우리문화, 서울: 경운회, p. 128. 

  63.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88. 

  64.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180. 

  65.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127. 

  66.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334. 

  67. 김영숙, 박윤미 (2007), 조선조왕실복식, 서울: 十月, p. 120. 

  68. 김영숙, 박윤미 (2007), 조선조왕실복식, 서울: 十月, p. 122. 

  69. 김영숙, 박윤미 (2007), 조선조왕실복식, 서울: 十月, p. 118. 

  70. 경운박물관 (2003), 근세복식과 우리문화, 서울: 경운회, p. 132. 

  71. 김영숙, 박윤미 (2007), 조선조왕실복식, 서울: 十月, p. 306. 

  72. 이은진 (2004),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4. 

  73. 교단, 이은진 (2010),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服飾, 60(1), p. 107. 

  74. 교단, 이은진 (2010),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服飾, 60(1), p. 107-109. 

  75. 교단, 이은진 (2010),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服飾, 60(1), p. 112. 

  76. 교단, 이은진 (2010),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服飾, 60(1), p. 110-111. 

  77. 교단, 이은진 (2010),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服飾, 60(1), p. 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