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마에서 분리한 Kaempferol과 그 배당체의 항균 및 주름억제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Wrinkle Effect of Kaempferol and Kaempferol Rhamnosides isolated from Hibiscus cannabinus L.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0 no.6, 2012년, pp.454 - 460  

이근하 ((주) 모아캠 기술연구소) ,  공혜진 ((주) 모아캠 기술연구소) ,  조영롱 ((주) 모아캠 기술연구소) ,  주철규 ((주) 모아캠 기술연구소) ,  권순상 ((주) 모아캠 기술연구소) ,  황재성 (경희대학교 피부생명공학센터) ,  박청 ((주) 모아캠 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kaempferol and its rhamnosides (${\alpha}$-rhamnoisorobin, afzelin, kaempferitrin) were isolated electively by bioconversion technology from Hibiscus cannabinus L. leaves to evaluate the anti-wrinkles effects and anti-microbial effects. In order to evaluate anti-wrinkles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마에서 분리한 flavonoid계의 일종인 kaempferol과 그 배당체인 α-rhamnoisorobin, afzelin, kaempferitrin의 parameter를 중심으로 항주름 및 항균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kaempferol과 그들의 rhamnoside 구조에 따른 생리활성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기능성 식품, 의약품, 화장품 소재로의 응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본 시험을 통해 시험물질이 섬유아세포 내 콜라게나제 생성 억제 정도를 공시료액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HDF-N cell을 24 well plate에 1 × 104 cells/well 농도로 분주한 다음 세포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양마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종류인 시료 4종 (kaempferol, α-rhamnoisorobin, afzelin, kaempferitrin)을 대상으로 항염증 효능을 평가함으로서 kaempferol과 그들의 rhamnoside의 구조적 활성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 자연노화 및 광노화로 인하여 주름이 생성되는 여러 기전 중에 본 시험은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활성 정도를 immuno ELISA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서 시료의 주름개선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라보노이드의 효능은 무엇인가? 플라보노이드는 항바이러스 작용, 항산화 작용, 항염작용 외에도 암 발생을 낮추며 다양한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Tapiero et al., 2002) 수용성, 지용성 또는그 중간극성 등 다양한 용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인체에 섭취될 경우 세포의 여러 부분에서 기능을 발휘한다는 것이 임상학적으로 많이 증명되고 있으며 (Ross et al.
피부노화 중 주름생성은 어떤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가? 또한 피부노화 중 주름생성은 나이의 증가와 환경적 요인 외에 근육의 분포와 움직임, 유전적인 요인, estrogen 등의 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궁극적으로는 진피 내의 기질 단백질이 결핍되어 주름이 발생한다. 피부의 기질 단백질은 피부에 강도와 장력을 주는 콜라겐이 90% 이상 함유되어 있는데 type Ⅰ collagen이 대부분이고 type Ⅲ collagen이 소량 포함 되어 있으며 피부에 탄력을 주는 탄력섬유가 3 ~ 4% 정도 함유되어 있다.
양마 잎에는 어떤 물질이 존재하는가? )는 아욱목 아욱과에 속하는 쌍떡잎 식물로 상업적으로는 밧줄, 마대감으로 목질부가 많이 이용되며 인도, 아프리카에서 자생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잎에는 많은 양의 플라보노이드 (flavonoid)계의 물질이 존재하며 그 중 캠페리트린 이라고 명명되는 플라보노이드는 약 5 ~ 10%가 잎에 다량으로 존재하고 있다. 캠페리트린의 생리활성작용에 대해서는 우수한 항산화 활성 (J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rakaki PA, Marques MR and Santos MC. (2009). MMP-1 polymorphism and its relationship to pathological processes. Journal of Biosciences. 34:313-320. 

  2. Boller S, Soldi C, Marques MC, Santos EP, Cabrini DA, Pizzolatti MG, Zampronio AR and Otuki MF. (2009). Antiinflammatory effect of crude extract and isolated compounds from Baccharis illinita DC in acute skin inflammatio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30:262-266. 

  3. Choi JW, Kim SI, Kim JY, Yang HJ, Lee KH and Park SN. (2006). Antioxidative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I).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32:181-191. 

  4. De Melo GO, Malvar Ddo C, Vanderlinde FA, Rocha FF, Pires PA, Costa EA, de Matos LG, Kaiser CR and Costa SS. (2009).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kaempferol glycosides from Sedum dendroideum.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2:4228-4232. 

  5. Fang SH, Rao YK and Tzeng YM. (2005).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l glycosides from Cinnamomum osmopholeumon inflammatory mediators in $LPS/IFN-{\gamma}-activatedmurine$ macrophages.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13:2381-2388. 

  6. Im DY and Lee KI. (2011).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Taraxacum coreanum Nakai.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238-245. 

  7. Jin CW, Eom SH, Park HJ, Ghimeray AK, Yu CY and Cho DH.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Hibiscus cannabinus L. leaves in different growth tim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21-25. 

  8. Jorge AP, Horst H, de Sousa E, Pizzolatti MG and Silva FR. (2004). Insulinomimetic effects of kaempferitrin on glycaemia and on $^{14}C-glucose$ uptake in rats oleusmuscle. Chmico- Biological Interactions. 14:989-996. 

  9. Lee KH, Cho YL, Joo CG, Joo YJ, Kwon SS and Park C. (2011).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kaempferol and kaempferol rhamnosides isolated from Hibiscus cannabinus 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426-434. 

  10. Navarro-Nunez L, Castillo J, Lozano ML, Martinez C, Benavente-Garcia O, Vicente V and Rivera J. (2009). Thromboxane $A^2$ receptor antagonism by flavonoids: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7:1589-1594. 

  11. Neena P, Susan A and Raul H. (2011). Beneficial regul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for skin health. Enzyme Research. 42:72-85. 

  12. O'Leary KA, Day AJ, Needs PW, Sly WS, O'Brien NM and Williamson G. (2001). Flavonoid glucuronides are substrates for human liver ?-glucuronidase. FEBS Letters. 503:103-106. 

  13. Oikarinen A, Karvonen J, Uitto J and Hannuksela M. (1985). Connective tissue alterations in skin exposed to natural and therapeutic UV-radiation. Photo-Dermatology. 2:15-26. 

  14. Oikarinen A and Kallioinen M. (1989). A bi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collagen in sun-exposed and protected skin. Photo-Dermatology. 6:24-31. 

  15. Regasini LO, Vellosa JC, Silva DH, Furlan M, de Oliveira OM, Khalil NM, Brunetti IL, Young MC, Barreiro EJ and Bolzani VS. (2008). Flavonols from Pterogyne nitens and their evaluation as myeloperoxidase inhibitors. Phytochemistry. 69:1739-1744. 

  16. Rothwell JA, Day AJ and Morgan MR. (2005).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s of quercetin and related flavonoid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3:4355-4360. 

  17. Ross D, Mendiratta S, Qu ZC, Cobb CE and May JM. (1998). Ascorbate 6-palmitate protects human erythrocytes from oxidative damage.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6:81-89. 

  18. Scharffetter-Kochanek K, Wlaschek M, Briviba K and Sies H. (1993). Singlet oxygen induces collagenase expression in human skin fibroblasts. FEBS Letter. 331 :304-306. 

  19. Seo YC, Choi W Y, Kim JS, Zou Y, Lee YG, Ahn JH, Shin IS and Lee HY. (2010). Enhance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nano-encapsulated horseradish aqueous extrac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389-397. 

  20. Tzeng YM, Chen K, Rao YK and Lee MJ. (2009). Kaempferitrin activates the insulin signaling pathway and stimulates secretion of adiponectin in 3T3-L1 adipocytes.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ica Neerlandica. 60:727-734. 

  21. Tapiero H, Tew KD, Ba GN and Mathe G. (2002). Polyphenols: do they play a role in the prevention of human pathologies? Biomedicine and Pharmacotherapy. 56:200-207. 

  22. Tyrrell RM and Pidoux M. (1989). Singlet oxygen involvement in the inactivation of cultured human fibroblast by UVA and near visible radiations. Photochemistry Photobiology. 49:407-412. 

  23. Vishnu Prasad CN, Suma Mohan S, Banerji A and Gopalakrishnapillai A. (2009). Kaempferitrin inhibits GLUT4 translocation and glucose uptake in 3T3-L1 adipocyte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80:39-43. 

  24. Vile GF and Tyrrell RM. (1995). UVA radiation- induced oxidative damage to lipid and protein in vitro and in human skin fibroblasts is dependent on iron and singlet oxygen.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18:721-725. 

  25. Wlaschek M, Briviba K, Stricklin GP, Sies H and Scharffetter- Kochanek K. (1995). Singlet oxygen may mediate the ultraviolet A in induced synthesis of interstitial collagenase. The Journal of Ivestigative Dermatology. 104:194-198. 

  26. Zuo Z, Zhang L, Zhou L, Chang Q and Chow M. (2006). Intestinal absorption of hawthorn flavonoids - in vitro, in situ and in vivo correlations. Life Science. 79:2455-2462. 

  27. Zurick KM, Qin C and Bernards MT. (2012). Adhesion of MC3T3-E1 cells bound to dentin phosphoprotein specifically bound to collagen type I. Journal of Biomedical Materials Research. 100:2492-24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