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리분류를 이용한 쇠무릎 분류군의 외부형태 연구
Morphometric Study of Achyranthes bidentata Complex Using Numerical Taxonomy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0 no.6, 2012년, pp.466 - 471  

안영섭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김관수 (목포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김휘 (목포대학교 한약자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ul' is a traditional medicinal herb, which ha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s distributed in India, Nepal, China, Korea, Japan. Korea pharmacopeia listed 'Usul' as either a species of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or A. bidentata Blume. Recent taxonomic studies in China and Japan delimit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본의 경우 털쇠무릎도 약전에서 우슬의 기원식물로 취급하고 있어 정확한 분류학적 검토와 함께 관련종의 기원 연구가 이루어어 져야한다 (The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01). 본 연구에서는 분류학적 검토를 위하여 국내에 분포하는 우슬관련 자연집단에 대한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외부 형태 연구를 통한 분류학적 검토를 실시하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용식물의 기원이란? 생약의 품질관리뿐 아니라 수입산물과의 구별을 위해 약용작물의 기원판별기술 개발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약용식물의 기원이란 작물의 원산지와는 다른 개념으로 약용작물의 진위판별과 품질검사 및 식물의 동정시 올바른 한약재의 원료를 말한다. 기원식물은 약용식물의 효능이나 특성과 분류학에 기반한 생물종의 계통관계에 따라 정의된다 (Kim and Kim, 2003).
분자유전학적 기원판별의 장점은? 약용작물의 기원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표본 및 문헌 연구를 통한 분류학적 판단과 함께 최근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한 기원 판별을 이용한다. 분자유전학적 기원판별은 기존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식별 및 분류학적 기원판별과 달라 재료의 상태에 구애 받지 않고 비교적 정성적인 판별이 가능하여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Sung et al., 2004).
A. bidentata Blume var. bidentata의 분포 범위는? 두 변종의 분포범위는 var. bidentata의 경우 북부지역을 제외한 중국 전 지역과 네팔, 미얀마, 일본, 한국, 필리핀 등 아시아 전체에 분포하고 var. japonica의 경우 안휘, 호남, 절강 및 대만과 일본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o BJ, Steven EC and Thomas BS. (2003). Amaranthaceae In Wu Z. et al. (ed.). Flora of China(Vol. 5).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issouri, USA. p.415-429. 

  2. Chang CS, Chang KS, Ahn YS and Kim H. (2012). Georeferencing of primary species occurrence data and necessity of data quality control: A case study of two varieties of Ox-Knee, Achyranthes bidentata Blum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1:185-194. 

  3. Clemants SE. (2006). Amaranthaceae. In Iwatsukik et al. (ed.). Flora of Japan(Vol. 2a). Kodansha Ltd. Tokyo, Japan. p.222-230. 

  4. Henderson A. (2006). Traditional morphometrics in plant systematics and its role in palm systematic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51:103-111. 

  5. James FC and McCulloch CE. (1990). Multivariate analysis in ecology and systematics: Panacea or pandora's box? Annual Review of Ecological System. 21:129-166. 

  6. Kim H and Chang CS. (2001). Reconsideration of Deutzia uniflora Shirai in Japan and D. coreana H. Lev. in Korea. Korean Journal Plant Taxonomy. 32:7-32. 

  7. Kim DH, Sung JS, Kim MS, Park CG and Park HW. (2006). Growth characteristics and adaptability of introduced Achyranthes bidentata Blume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4:158-162. 

  8. Kim KS and Kim HC. (2003). Review on original plants of oriental medicines used in Korea.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8:79-95. 

  9. Kim YO, Lee SW and Lee SE. (2009). Effects of Achyranthes japonica on carrageenan-induced arthritis rat mode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470-474. 

  1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 The 9th Korean Herbal Pharmacopoeia(Vol. 255).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958-959. 

  11.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322-322. 

  12. Lee W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 Academy Books. Seoul, Korea. p.450-485. 

  13. Ohwi J. (1965).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USA. p. 417-420. 

  14. Radford AE, Dickinson WC, Massey JR and Bell CR. (1974). Vascular Plant Systematics. Harper & Row Publisher. New York. New York, USA. p.250-255. 

  15. R Development Core Team. (2012).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ISBN 3-900051-07-0, URL http://www.R-project.org/. 

  16. Suh YB. (2007). Amaranthaceae. In Park CW (ed.).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303-305. 

  17. Sung JS, Bang KH, Park CH, Park CG, Yu HS, Park HW and Seong NS. (2004). Discrimination of angelicae radix based on anatomical character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67-72. 

  18. The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01). The Japanese Pharmacopoeia 16th edition. The Society of Japanese Pharmacopoeia. Tokyo, Japan. p.1594. 

  19. Yun JS, Son SY, Kim IK, Hong EY, Yun T, Lee CH, Jong SK and Park SI. (2002). Classification of Polygonatum spp. collections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333-3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