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 위성정보를 활용한 폭설재난 대응
Heavy Snowfall Disaster Response using Multiple Satellite Imagery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0 no.4, 2012년, pp.135 - 143  

김성삼 (국립방재연구원 분석평가센터 재난정보팀) ,  최재원 (국립방재연구원 분석평가센터 재난정보팀) ,  구신회 (국립방재연구원 분석평가센터 재난정보팀) ,  박영진 (국립방재연구원 분석평가센터 재난정보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조 모니터링, 피해규모 조사, 응급 구조 및 대응, 긴급 복구 등 국가적 재난관리 분야에 주기적으로 지구를 관측하는 원격탐측과 GIS 기반 의사결정 기술의 활용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여기에, 광역적이고 준실시간적 대응을 위해 단일 위성센서가 아닌 통합센서가 탑재된 위성의 운용과 각 국가별 우주개발기구간 협력을 통해 다수의 인공위성을 공동 활용함으로써 재난시 적시에 위성영상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11년 발생했던 국내 폭설재난 대응을 위해 국제재난기구 등 다양한 경로로 수집된 저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분석하고 MODIS 영상의 파장대 특성을 고려한 눈지수나 변화탐지 기법을 적용하여 적설지역을 추출하였다. 또한, 작성된 적설분포도와 다양한 공간자료와의 GIS 공간분석을 수행하여 재난상황에서 적시적으로 의사결정을 지원한 국립방재연구원의 현업적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mote sensing which observes repeatedly the whole Earth and GIS-based decision-making technology have been utilized widely in disaster management such as early warning monitoring, damage investigation, emergent rescue and response, rapid recovery etc. In addition, various countermeasures of nati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 지구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최근의 재난은 기존의 재난과 달리 예측이 어렵고, 그 규모와 피해정도가 대형화․ 복잡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난 2011년 2월 발생한 강원 동해안 폭설재난대응을 위해 국립방재연구원에서 수행되었던 현업 사례를 기술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2월 14일까지 해당 지자체로부터 소방방재청의 중앙재난관리시스템에 집계된 폭설피해는 시설물, 농작물 피해 등의 약 553억원의 사유재산 피해와 공공시설 109개소 등 98억이 넘는 공공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2월 폭설이 내렸던 강원․ 동해안 지역 및 경북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저해상 위성영상을 활용한 광역적인 폭설분석과 고해상 위성영상이 확보되었던 경북 일부 지역에 대한 폭설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적설 연구는 주로 어떤 방법으로 수행되는가? 적설탐지 관련연구는 주로 기상관측소의 관측자료를 이용하거나 시계열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수행되어 왔다. 특히,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적설 연구는 MODIS 등의 광학센서를 이용하는 방법과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광학 영상은 주로 기상이 양호한 낮 동안에만 촬영이 가능하고, 기존의 S- 및 L-밴드 레이더 영상은 공간 해상도가 낮아 적설 경계나 면적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동해안 겨울 폭설의 매커니즘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겨울 폭설은 지형 및 기후적인 특성으로 인해 1월보다 2월에 많이 발생한다. 북서 시베리아의 영하 30° 내외의 찬 고기압이 한반도로 이동하면서 남동해상에서 발달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저기압과 만나게 되고, 이 때 발생한 강한 북동풍을 타고 찬 공기가 따뜻한 동해 해수면을 따라 내려오면서 수증기를 공급받아 동해안 지역에 커다란 눈구름대가 형성되는 것이 2월 동해안 폭설의 발생 메커니즘이다. 2011년 2월 10일부터 14일까지 동해시, 강릉시, 울진군 등 강원 동해안 및 경북 울진, 포항, 경주 등지에 최고 133㎝의 폭설이 내려 관측기록 이후 하루 최대 강설량을 보였다(Kim et al.
광학 영상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특히,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적설 연구는 MODIS 등의 광학센서를 이용하는 방법과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광학 영상은 주로 기상이 양호한 낮 동안에만 촬영이 가능하고, 기존의 S- 및 L-밴드 레이더 영상은 공간 해상도가 낮아 적설 경계나 면적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위성영상만으로는 폭설 등의 기상현상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위성영상 분석결과와 지상관측 자료를 융합분석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Gupta, R. P., Haritashya, U. K., Singh, P., 2005, Mapping dry/wet snow cover in the Indian Himalayas using IRS multispectral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97, pp.458-469. 

  2. Hall, D. K., Riggs, G. A., Salomonson, V. V., 1995, Development of methods for mapping global snow cover using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54, pp.127-140. 

  3. Hall, D. K., Riggs, G. A., Salomonson, V. V., DiGirolamo, N. E., Bayr, K. J., 2002, MODIS snowcover produc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83, pp.181-194. 

  4. Jensen R. John, 1996,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2nd Edition), Prentice Hall. pp. 257-279. 

  5. Kim, Seong Sam, Choi, Jae Won, Cho, Myeong Heum, Goo, Sin Hoi, Park, Young Jin, 2011, Snowfall disaster response by co-work with International Charter,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pp. 95-100. 

  6. Kim, Seong Sam, Goo, Shin Hoi, Park, Young Jin, 2012, Time-critical disaster response by cooperating with International Char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20, No.2, pp. 109-117. 

  7. Klein, A. G., Barnett, A. C, 2003, Validation of daily MODIS snow cover maps of the upper Rio Grande River basin for the 2000-2001 snow yea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86, pp.162-176. 

  8. Kwon, Young Ah, Lee, Kyoungmi, Park, Chang Young, Kim, Jiyoun, 2007, Mapping the snowcovered region using landsat ETM+image -The case of around Gunsan and Bua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Vol.2, No.1, pp. 24-32. 

  9. Liang, T., Zhang, X., Xie, H. Wu,C., Feng, Q., Huang, X., Chen, Q., 2008, Toward improved daily snow cover mapping with advanced combination of MODIS and AMSR-E Measuremen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112, pp.3750-3761. 

  10. Lopez, P., Sirguey, P., Arnaud, Y., Pouyaud, B., Chevallier, P., 2008, Snow cover monitoring in the Northern Patagonia Icefield using MODIS satellite images (2000-2006), Global and Planetary Change, v.61, pp.103-116. 

  11. Paine, D. P. and J. D. Kiser, 2003, Aerial photography and image interpretation. 2nd ed., John Wiley and Sons Inc. New Jersey. 

  12. Shin, Hyung Jin, Park, Geun Ae, Kim, Seong Joon, 2006, Tracing march 2004 and December 2005 heavy snowfall using NOAA AVHRR images, Proceedings of 2005 KSCE Annual Convention & Civil Expo, pp. 194-1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