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7년~2011년 하절기에 양식 넙치, 조피볼락, 참돔, 새우의 세균 및 기생충 감염 현황
Monitoring of bacteria and parasites in cultured olive flounder, black rockfish, red sea bream and shrimp during summer period in Korea from 2007 to 2011 원문보기

韓國魚病學會誌= Journal of fish pathology, v.25 no.3, 2012년, pp.231 - 241  

정승희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최혜승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도정완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김명석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권문경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서정수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황지연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김석렬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조영록 (서해수산연구소) ,  김진도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박명애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지보영 (수산생물방역과) ,  조미영 (수산생물방역과) ,  김진우 (수산생물방역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7년~2011년 하절기에 국내 동 서 남해안과 제주의 육상양식장, 가두리 및 축제식 양식장에서 사육중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참돔 (Pagrus major),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의 총 2,413마리에 대하여 세균과 기생충의 감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2007년~2011년) 사이 어종별 병원체에 대한 감염양상을 종합하면, 기생충과 세균의 단독감염이 혼합 감염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단독감염 가운데 기생충이 세균보다 감염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동안 넙치, 조피볼락, 새우에서 Vibrio spp. (V. harveyi, V. ichthyoenteri, Vibrio sp.)가 가장 우점종으로 검출된 세균의 위치를 차지하였으며, 참돔에서는 Vibrio sp.와 P. damselae가 우점종 세균으로 검출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가장 우점종으로 검출된 기생충은 넙치에서 스쿠티카충 (M. avidus)과 트리코디나충 (Trichodina sp.), 조피볼락에서 아가미흡충 (M. sebastes), 참돔에서 아가미흡충 (M. tai), 새우에서 섬모충 (Zoothamnium sp.) 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agnostic monitoring in fish farms with land-based tanks and netpen cases were conducted in eastern, western, southern and Jeju island of Korea during summer of 2007~2011. In total, 2413-fish samples of 4 marine fish species were tested for the detection of bacteria and parasite. Fish species tes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보 (김 등, 2006) 에 이어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하절기에 실시한 어류이동병원 운영을 통해 주요 양식어종인 넙치, 조피볼락, 참돔, 새우에서 분리된 세균 및 기생충 병원체의 감염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양식어류에 대한 연도별 질병 발생상황은 무엇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는가? 국내 양식어류에 대한 연도별 질병 발생상황은 넙치, 조피볼락, 뱀장어, 연어를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제주도 양식넙치에 있어서 오 등 (1998) 은 1991년∼1997년 동안 세균성 질병의 발생상황, 진 등 (2007) 은 1995년∼2004년 동안 스쿠티카증의 발생동향을 보고하였다.
국외에서 양식어류에 대한 연도별 질병 발생상황에 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국외에서 양식어류에 대한 연도별 질병 발생상황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특정 질병을 중심으로 조사되었다. 핀란드에서 1986년∼1991년 동안 연어과 어류의 Pseudomonas anguilliseptica (Wiklund and Lönnström, 1994), 스페인에서 1990년∼2002년 동안 연어과 어류의 세균성 신장병 (Balebona et al., 1998), 일본에서 1996년∼2000년 동안 해산양식어종의 참돔 이리도 바이러스병 (松岡 등, 1996; 川上ㆍ中島, 2002), 스위스에서 1984년∼1985년 및 2000년∼2001년 동안 연어과 어류의 바이러스성 질병 (Knuesel et al., 2003), 스코틀랜드에서 1990년∼1996년 동안 양식 gilt-head sea bream (Sparus aurata L.) 의 세균성 질병 (Bruno, 2004) 에 대한 보고가 있다. 그렇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지금까지 양식어류에 있어서 연도별 질병발생 상황이나 병원체 감염양상에 관한 국외 연구보고는 미미한 실정이다.
수 산동물질병관리법은 언제 시행되었는가? 우리나라에는 수산동물전염병의 발생을 예방하고 그 확산을 방지하며, 수입되는 수산동물에 관한 검역을 강화하는 등 수산동물전염병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수산동물의 안정적인 생산ㆍ공급과 국민건강의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수 산동물질병관리법’이 2007년 12월 21일 제정되어 2008년 12월 22일 시행되었다. 이 법은 수산동물의 질병관리를 국가차원에서 책임지고 수행하는 전 세계에서도 독자적 법률이며, 2012년 7월 22일부터 수산식물이 새로 포함되어 수산생물질병관리법으로 개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lebona, M.C., Zorrilla, I., Morinigo, M.A. and Borrego, J.J.: Survey of bacterial pathologies affecting farmed gilt-head sea bream (Sparus aurata L.) in southwestern Spain from 1990 to 1996. Aquaculture, 166: 19-35, 1998. 

  2. Bruno, D.A.: Prevalence and diagnosis of bacterial kidney disease (BKD) in Scotland between 1990 and 2002. Dis. Aquat. Org., 59: 125-130, 2004. 

  3. Jeon, C.H., Kim, S.R., Kim, W.S., Lee, C.H., Seong, K.B., Lee, C.S., Oh, M.J. and Kim, J.H.: Monitoring of viruses in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migrating to Korea. Arch. Virol., 156: 1025-1030, 2011. 

  4. Knuesel, R., Segner, H. and Wahli, T.: A survey of viral diseases in farmed and feral salmonids in Switzerland. J. Fisf Dis., 26: 167-182, 2003. 

  5. Wiklund, T. and Lonnstrom, L.: Occurrence of Pseudomonas anguilliseptica in Finnish fish farms during 1986-1991. Aquaculture, 126: 211-217, 1994. 

  6. 松岡學, 井上潔, 中島員洋: 1991年から1995年にマダイイリドウィルス病が確認された海産養殖魚種. 魚病硏究, 31: 233-234, 1996. 

  7. 川上秀昌, 中島員洋: 1996年から2000年にマダイイリドウィルス病が確認された海産養殖魚種. 魚病硏究, 37: 45-47, 2002. 

  8.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2011 수산용의약품 제품요약 해설집, pp. 63-65, pp. 66-68, 보성인쇄, 부산, 2011. 

  9. 김위식, 옥하나, 김도형, 김흥윤, 오명주: 2000∼2010년 우리나라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병원체 감염현황. 한국어병학회지, 24: 237-245, 2011. 

  10. 김진우, 정승희, 박명애, 도정완, 최동림, 지보영, 조미영, 김명석, 최혜승, 김이청, 이주석, 이창훈, 방종득, 박미선, 서정수: 2000년∼2006년 하절기 양식어류의 병원체 감염현황. 한국어병학회지, 19: 247-254, 2006. 

  11. 김진우, 조미영, 박경현, 원경미, 최혜승, 김명석, 박명애: 2005년부터 2007년 사이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질병에 대한 통계 자료. 한국어병학회지, 23: 369-377, 2010. 

  12. 오상필, 김대환, 이정재, 이창훈: 제주도 양식넙치의 세균성질병 발생상황 (1991-1997년). 한국어병학회지, 11: 13-27, 1998. 

  13. 조미영, 김명석, 권문경, 지보영, 최혜승, 최동림, 박경현, 이창훈, 김진도, 이주석, 오윤경, 이덕찬, 박신후, 박명애: 2005년부터 2006년 사이 우리나라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세균성 질병에 대한 역학 조사. 한국어병학회지, 20: 61-70, 2007. 

  14. 조미영, 김명석, 최혜승, 박경현, 김진우, 박미선, 박명애: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질병에 대한 통계적 고찰. 한국어병학회지, 21: 271-278, 2008. 

  15. 진창남, 강현실, 문영건, 이창훈, 이영돈, 이제희, 송춘복, 허문수: 제주도지역 넙치 양식장의 스쿠티카증 발생동향. 한국어병학회지, 20: 93-98, 2007. 

  16. 최혜승, 지보영, 조미영, 박명애: 2006∼2008년 남해안 통영.거제해역의 양식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병원체 감염 현황. 한국어병학회지, 23: 27-3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