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세 가지 구강간호방법에 따른 수술 후 환자의 갈증정도 및 구강상태 비교
Postoperative Patients' Thirst and Oral Status by Three Oral Care Method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8 no.3, 2012년, pp.403 - 412  

김미영 (전북대학교병원) ,  두미정 (전북대학교병원) ,  강수경 (전북대학교병원) ,  임연호 (전북대학교병원) ,  김현미 (전북대학교병원) ,  김미경 (전북대학교병원) ,  온지원 (전북대학교병원) ,  설혜선 (전북대학교병원) ,  강정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three oral care methods on thirst and oral status in patients after general anesthesia surgery. Methods: Sixty five surgical patients were prospectively randomized into three groups. Each group received one of three oral care methods: wet water gauze, fro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세 가지 구강간호 방법이 수술 후 환자의 갈증과 구강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 측정을 실시한 순수실험연구이다(Figure 1. 참조).
  • 본 연구는 젖은 정수 거즈, 얼린 정수 거즈, 얼린 생리식염수 거즈 등의 세 가지 구강간호 방법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과 횟수를 찾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과 그에 따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수술 후 젖은 정수 거즈, 얼린 정수 거즈, 얼린 생리식염수 거즈를 적용하여 환자가 경험하는 갈증과 간호사가 사정한 구강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수술 후 수분을 섭취하기 전까지 입과 목이 마르고, 말하기 힘들며, 침이 넘어가지 않는 등의 환자 호소에 일반적으로 차가운 물에 젖은 거즈를 적용하는 현실에서 물에 적신 후 얼린 거즈나 생리식염수로 구강간호를 실시하여 비교함으로써 수술 후 환자의 갈증과 구강상태 완화에 가장 효과적인 구강간호 방법을 모색하여 근거중심 간호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도하였다.
  • 그러므로 현재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인 차가운 물에 적신 거즈를 활용하되 더욱 차갑게 해서 효과를 증대시키고, 생리식염수를 적용해서 기존의 방식과 비교해보고, 간호중재 적용 횟수를 2회 이상으로 확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즉, 본 연구는 기존의 냉수에 적신 거즈를 2회 적용했을 때와 4회 적용했을 때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냉수에 적신 후 냉동시킨 거즈와 생리식염수에 적신 후 냉동시킨 거즈를 냉수 거즈의 효과와 비교하고 각 중재별로 중재 횟수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여 향후 수술 후 환자들이 겪는 갈증 및 구강 불편감을 완화시키는 근거중심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구강간호 방법에 따른 세 집단 간 갈증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구강간호 방법에 따른 세 집단 간 구강상태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구강간호 횟수에 따른 세 측정시기 간 갈증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구강간호 횟수에 따른 세 측정시기 간 구강상태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액의 역할은? 환자의 구강상태는 전반적인 건강 측정을 위한 최상의 척도이며 감염의 1차 방어선으로서(최선희, 2004) 간호표준 지침의 중요한 지수로도 평가되고 있다(Josephine, 2000). 구강상태 변화와 관련이 깊은 타액은 구강의 정화, 구강 점막의 건조 방지와 윤활 작용, 항세균작용, 수분대사 조절 등의 역할을 하고(김기은, 최미혜, 2001), 혀는 언어, 저작, 연하 기능을 도우며, 혀에 분포되어 있는 미각 봉우리는 다양한 맛을 느끼게 하는 기능을 한다(변영순, 1994). 구강점막은 스트레스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일차적으로 쉽게 영향을 받고 신체의 다른 부위 점막의 상태를 보여주는 창과 같고(Eilers & Epstein, 2004), 정상적으로는 습하고 부드러우며 분홍빛을 띠고 있다 (정연이, 1996).
간호사는 수술 후 환자의 구강상태에 관심을 가지고 간호하는 것이 필수적인 이유는? 환자의 구강상태는 전반적인 건강 측정을 위한 최상의 척도이며 감염의 1차 방어선으로서(최선희, 2004) 간호표준 지침의 중요한 지수로도 평가되고 있다(Josephine, 2000). 구강상태 변화와 관련이 깊은 타액은 구강의 정화, 구강 점막의 건조 방지와 윤활 작용, 항세균작용, 수분대사 조절 등의 역할을 하고(김기은, 최미혜, 2001), 혀는 언어, 저작, 연하 기능을 도우며, 혀에 분포되어 있는 미각 봉우리는 다양한 맛을 느끼게 하는 기능을 한다(변영순, 1994). 구강점막은 스트레스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일차적으로 쉽게 영향을 받고 신체의 다른 부위 점막의 상태를 보여주는 창과 같고(Eilers & Epstein, 2004), 정상적으로는 습하고 부드러우며 분홍빛을 띠고 있다 (정연이, 1996). 그러므로 간호사는 수술 후 환자의 구강상태에 관심을 가지고 간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혀에 분포되어 있는 미각 봉우리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환자의 구강상태는 전반적인 건강 측정을 위한 최상의 척도이며 감염의 1차 방어선으로서(최선희, 2004) 간호표준 지침의 중요한 지수로도 평가되고 있다(Josephine, 2000). 구강상태 변화와 관련이 깊은 타액은 구강의 정화, 구강 점막의 건조 방지와 윤활 작용, 항세균작용, 수분대사 조절 등의 역할을 하고(김기은, 최미혜, 2001), 혀는 언어, 저작, 연하 기능을 도우며, 혀에 분포되어 있는 미각 봉우리는 다양한 맛을 느끼게 하는 기능을 한다(변영순, 1994). 구강점막은 스트레스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일차적으로 쉽게 영향을 받고 신체의 다른 부위 점막의 상태를 보여주는 창과 같고(Eilers & Epstein, 2004), 정상적으로는 습하고 부드러우며 분홍빛을 띠고 있다 (정연이,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권은정 (2006). 간호중재분류체계를 이용한 회복실 간호중재 분석: 일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 김기은, 최미혜 (2001). 타액분비와 구강관리 및 구취와의 관계. 중앙간호 논문집, 5(2), 55-60. 

  3. 변영순 (1994). 갈증 간호에 관한 문헌고찰. 간호과학, 6, 55-65. 

  4. 변영순, 김애경 (1996). 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구강간호전략을 위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6, 428-442. 

  5. 변정란, 김지선, 이순남 (1993). 구강 냉동 요법의 항암 치료 유발성 구내염에 대한 예방 효과. 대한암학회지, 25(5), 760-766. 

  6. 병원간호사회. (2009). 최신 임상간호매뉴얼(제 8판). 서울: 현문사. 

  7. 이경남, 태영숙 (1999). 찬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구강간호가 화학요법 암환자의 구강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11, 785-795. 

  8. 이인선, 심명숙, 나은희, 강재연, 김지혜, 황민영, 윤계숙, 성영희 (2006). 냉수 가글링과 젖은 거즈를 이용한 구강간호가 비강수술 환자의 갈증 및 구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비교. 임상간호연구, 11(2), 21-33. 

  9. 이진호, 오아영, 김성덕 (1999). 수술전 금식과 경구 수분섭취가 위 내용물의 양과 산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마취과학회지, 36, 377-386. 

  10. 정연이 (1996). 악성종양환자의 구강 사정지침에 대한 신뢰도 검증. 간호학논문집, 10(1), 45-51. 

  11. 조은아, 김계하, 박진영 (2010).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냉동거즈와 얼음 제공이 복강경 담낭절제술 환자의 갈증 및 구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Pilot study. 대한간호학회지, 40,714-723. 

  12. 최선희 (2004). 생리식염액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중환자실 환자의 구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부산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13. Beck, S. L., & Yasko, J. (1993). Guidelines for oral care (2nd ed.). Crystal Lake, IL: Sage Products Inc. 

  14. Brunstrom, J. M., & Macrae, A. W. (1997). Effects of temperature and volume on measures of mouth dryness, thirst and stomach fullness in males and females. Appetite, 29, 31-42. 

  15. Deaux, E. (1973). Thirst satiation and the temperature of ingested water. Science, 181, 1166-1167. 

  16. DeWalt, E. M., & Haines, A. K. (1969). The effects of specified stressors on healthy oral mucosa. Nursing Research, 18(1), 22-27. 

  17. Drain, C. B. (2008). Perianesthesia nursing: A critical care approach (5th ed.). New York, NY: Saunders. 

  18. Eilers, J., Berger, A. M., & Petersen, M. C. (1988). Development, testing, and application of the Oral Assessment Guide. Oncology Nursing Forum, 15, 325-330. 

  19. Eilers, J., & Epstein, J. B. (2004). Assessment and measurement of oral mucositis.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0(1), 22-29. 

  20.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21. Guggenheimer, J., & Moore, P. A. (2003). Xerostomia: Etiology, recognition and treatment.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34(1), 61-69. 

  22. Josephine, R. (2000). Developing an oral assessment and interveniton tool for older people. The British Journal of Nursing, 9, 2073-2078. 

  23. McDowell, S. (1991). Are we using too much betadine. RN, July, 43-45. 

  24. Pai, S., Ghezzi, E. M., & Ship, J. A. (2001). Development of a visual analogue scale questionnaire for subjective assessment of salivary dysfunction.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Oral Radiology, and Endodontics, 91(3), 311-316. 

  25. Porth, C. M., & Erickson, M. (1992). Physiology of thirst and drinking: Implication for nursing practice. Heart & Lung, 21(3), 273-282. 

  26. Potting, C. M., Uitterhoeve, R., Op Reimer, W. S., & Van Achterberg, T. (2006). The effectiveness of commonly used mouthwashes for the prevention of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A systematic review.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15(5), 431-439. 

  27. Woodtli, A. O. (1990). Thirst: A critical care nursing challenge.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9(1), 6-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