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중이용 화장실의 미생물 분포 조사
Research on Bacterial Distribution of Public Lavatory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8 no.6, 2012년, pp.520 - 528  

최한영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  권우택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  이우식 (가천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이향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bacterial distribution concerned in sanitation management of public lavatory in Seoul. Methods: In this research, bacteriological investigation on public lavatory was accomplished for bidet water, bidet nozzle, washbowl and lavatory stool in the 50 pub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2-25) 본 연구에서는 aerosol의 공중화장실 설비의 표면에 잔존할 수 있는 가능성과 청소, 소독상태를 상대적으로 비교해볼 수 있도록 배양 가능한 일반세균의 수와 함께 최근비데 사용의 증가와 함께 접촉에 의해 감염될 수 있는 요로와 피부 감염 기회성균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화장실 위생관리의 향상을 위한 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공중화장실의 미생물학적 위생 상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위생관리의 지표인 일반세균의 양적측정과 함께 직접 접촉으로 노약자에게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피부와 비뇨생식기 질환 관련 미생물인Staphylococcus aureus, Escheria coli, Enterobacter cloacae, Pseudomonas aeruginosa 등13)에 대한 검출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지 내에서의 화장실에 위생적인 개선이 이루어진 때는 언제인가? 우리나라는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과 1980년대 아파트 위주의 주거양식이 보편화되면서 수세식 변기 도입으로 주거지 내에서의 화장실은 위생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1988년 서울올림픽 및 2002년 월드컵 등 국제적 대회를 개최하면서 공중화장실에 관심이 높아져, 공중화장실의 설치 증가와 화장실의 위생적 관리도 이루어졌다.
공중화장실의 위생적인 개선을 위한 입법적 조치는? 서울올림픽은 경기의 대부분을 서울에서 진행하였기에 서울시를 중심으로 공중화장실을 개선했으나, 월드컵 경기는 전국에서 개최하였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공시설물의 공중화장실의 위생적인 개선을 추진하였다. 2004년에는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는 법률제도를 정비하였다.1-3)
공중화장실에 대한 설치와 위생관리가 실시된 배경은? 우리나라는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과 1980년대 아파트 위주의 주거양식이 보편화되면서 수세식 변기 도입으로 주거지 내에서의 화장실은 위생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1988년 서울올림픽 및 2002년 월드컵 등 국제적 대회를 개최하면서 공중화장실에 관심이 높아져, 공중화장실의 설치 증가와 화장실의 위생적 관리도 이루어졌다. 서울올림픽은 경기의 대부분을 서울에서 진행하였기에 서울시를 중심으로 공중화장실을 개선했으나, 월드컵 경기는 전국에서 개최하였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공시설물의 공중화장실의 위생적인 개선을 추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Lee KS, A study for effectiv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lavatory [dissertation]. [Daeje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2007. 

  2. Lee JB, A study for management and maintenance improvement of public lavatory[dissertation]. [Seoul]: Kyunghee University; 2006. 

  3. Kang BD, A study on using character of plumbing fixture of a lavatory in university building[dissertation]. [Pusan]: Pukyung National University; 2008. 

  4. Hutchinson RI. Some observations on the method of spread of Sonne dysentery. Mon Bull Minist Health Public Health Lab Serv. 1956; 15: 110-118. 

  5. Newsom SWB. Microbiology of hospital toilets. Lancet. 1972; 300: 700-703. 

  6. Barker J, Bloomfield SF. Survival of Salmonella in bathrooms and toilets in domestic homes following salmonellosis. J Appl Microbiol 2000; 89: 137-144. 

  7. Mendes MF, Lynch DJ. A bacteriological survey of washrooms and toilets. J Hyg. 1976; 76: 183-190. 

  8. Giannini MA, Nance D, McCullers JA. Are toilet seats a vector for transmiss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m J Infect Control 2009; 37: 505-506. 

  9. Park HS, Lim HS, Lee JY. A Study on Sustainable design elements of public toilets in parks. J. of Asian Architec. and Build. Eng. 2012; 14(2): 19-29. 

  10. Lee JB. A study of development i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public restroom [dissertation]. [Yongin]: Kyunghee University; 2007. 

  11. Yeon JW, Chang MW, Kim KH, Detection and isolation of genital mycoplasmas from public lavatory bowls, J Bacteriol and Virol, 2002; 32(3): 231-237. 

  12. Byung Uk, Lee IG, Hong, DH, Lee ES, Chong JH, Jung JH, et al. Bacterial bioaerosol concentrations in public restroom environments. Aerosol and Air Quality Res. 2012; 12: 251-255. 

  13. Lee GS, Diagnostic Microbiology, Seoul: Korea Medicine Book; 1999. 

  14. Suh HW. Trend and issue of a illuminance criterion in residential space [dissertation]. [Seoul]: Hanyangl University; 2009. 

  15. Ministry of Environment, Official Test Method of Drinking Water. Seoul: 2010. p.439. 

  16. Won Tae-Yeon, Jung Sung-Won, Hangeul SPSS 12K Statistics Survey and Analysis, SPSS Academy, 2004. 

  17. Sehulster L, Chinn RY.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infection control in healthcare facilities. Recommendations of CDC and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HICPAC). MMWR Recomm Rep. 2003; 52(RR-10): 1-42. 

  18. Sexton T, Clarke P, O'Neill E. Dillane T. Humphreys H. Environmental reservoirs of methicillinresistan Staphylococcus aureus in isolation rooms: correlation with patient isolates and implications for hospital hygiene. J Hosp Infect. 2006: 187-194. 

  19. Boone SA, Gerba CP. Significance of fomites in the spread of respiratory and enteric viral disease. Appl Environ Microbiol. 2007; 73: 1687-96. 

  20. Eckstein BC, Adams DA, Eckstein EC, Rao A, Sethi AK, Yadavalli GK, et al. Reduc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a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contamination of environmental surfaces after an intervention to improve cleaning methods. BMC Infect Dis 2007; 7: 61. 

  21. Hardy KJ, Oppenheim BA, Gossain S, Gao F, Hawkey PM.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ntamination with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patients' acquisition of MRSA.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6; 27: 127-132. 

  22. Isakbaeva ET, Widdowson MA, Beard RS, Bulens SN, Mullins J, Monroe SS, et al. Norovirus transmission on cruise ship. Emerg Infect Dis. 2005; 11: 154-158. 

  23. Cramer EH, Blanton CJ, Blanton LH, Vaughan GH Jr, Bopp CA, Forney DL. Epidemiology of gastroenteritis on cruise ships, 2001-2004. Am J Prev Med. 2006; 30: 252-257. 

  24. Barker J, Jones MV. The potential spread of infection caused by aerosol contamination of surfaces after flushing a domestic toilet. J Appl Microbiol. 2005; 99: 339-347. 

  25. Best EL, Sandoe JAT, Wilcox MH. Potential for aerosoliza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after flushing toilets: the role of toilet lids in reducing environmental contamination risk. J Hosp Infect. 2012; 80: 1-5. 

  26. Sinclair RG, Gerba CP. Microbial contamination in kitchens and bathrooms of rural Cambodian village households. Lett Appl Microbiol. 2011; 52: 144-149. 

  27. Carling PC, Bruno-Murtha LA, Griffiths JK. Cruise ship environmental hygiene and the risk of norovirus infection outbreaks: an objective assessment of 56 vessels over 3 years. Clin Infect Dis. 2009; 49:1 312-1317. 

  28. Pace NR. A molecular view of microbial diversity and the biosphere. Science. 1997; 276: 734-740. 

  29. Dancer S.J. How do we assess hospital cleaning? A proposal for microbiological standards for surface hygiene in hospitals. J Hosp Infect. 2004; 56: 10- 15. 

  30. Hannuksela A, Hannuksela M. Soaps and detergents in skin diseases. Clin Dermatol. 1996; 14(1): 77-80. 

  31. Lakshmi C, Srinivas CR, Anand CV, Mathew AC. Irritancy ranking of 31 cleansers in the Indian market in a 24-h patch test. Int J Cosmet Sci. 2008; 30(4): 277-2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