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을 이용한 주거 환경 중 거실과 화장실의 세균 특성
Characteristics of Bacteria in the Living Room and Bathroom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the Pyrosequencing Method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4 no.1, 2016년, pp.84 - 88  

이시원 (국립환경과학원 상하수도연구과) ,  정현미 (국립환경과학원 상하수도연구과) ,  박응로 (국립환경과학원 상하수도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을 이용하여 주거 환경 중 거실과 화장실의 세균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주거 환경 중 거실과 화장실에 존재하는 세균의 총 유전자량과 다양성 지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존재하는 세균의 종류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Phylum-level에서는 거실에서 나타나지 않은 Acidobacteria, Chlorobi, Chloroflexi, Fusobacteria, Nitrospirae 및 Planctomycetes문이 화장실 공기중에서 분석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의 세균 분포가 추정되었으며, class-level에서는 우점하는 Proteobacteria문 중 ${\beta}$-Proteobacteria와 ${\delta}$-Proteobacteria강이 거실에 비해 화장실에서 높은 비율로 분석되었다. 한편 genus-level에서는 거실이 화장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속이 분석되었으나, 모두 Methylobacterium속이 우점하였으며 두 주거 환경에서 각각 특징적으로 분포하는 미생물이 존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bacterial diversity in the living room and bathroom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was analyzed using the pyrosequencing metho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iversity index of bacteria between the 2 rooms; however,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composition of bacteria. The clas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주거 환경 중 거실과 화장실을 대상으로 분자생물학적 세균 다양성을 비교하였다. 이번 연구는 실내 공간 중 미생물에 대한 분석 방법적인 측면 및 연구 결과는 일반 주거환경 중 세균 다양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 환경의 공기 특성은 무엇인가? 최근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실내 공기 중 존재하는 미생물에 대한 공중보건학적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4]. 실내 환경은 실외에 비해 공기의 순환이제한적이고 자외선에 대한 노출이 적어서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상대적으로 장기간 생존 할 수 있는 특징이 있 으며[12], 이들은 대부분 미세입자나 수증기에 부착된 상태인 바이오에어로졸 형태로 존재한다[16]. 바이오에어로졸 중 미생물은 인체 면역기능 저하 및 각종 호흡기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등 대부분 부정적 측면이 보고됨에 따라[2−6, 15, 20], 병원 환경, 요양 시설, 지하철 역사 및 학교 등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1, 9, 12−14], 주거 환경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파이로시퀀싱 방법은 어떤 조건에서 적합한가? 한편, Moon 등(2012)에 의하면 거실에 비해 화장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세균 수가 측정된 바 있다[18]. 본 연구에서 사용한 파이로시퀀싱은 배양이라는 특수한 조건을 주지 않고 직접적으로 그 공간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대한 다양성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방법이지만, 국립환경과학원 실내환경 부유 미생물에 관련된 고시 등에서 필요한 배양성 미생물 수를 설명할 수는 없었다. 또한 실질적으로 살아있는 세포인가에 대한 유무를 설명을 할 수 없는 분자생물학적 방법의 한계가 존재하므로, 장단점을 이용한 연구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바이오에어로졸 중 미생물에 대한 연구에 충돌법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들은 무엇이고 그 특성은 무엇인가? 또한 물이나 토양과 같은 매질에 비해 공기 중 미생물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시간 및 공간적 변화의 폭이 크므로[11], 일시적으로 채취한 충돌법으로 분석한 미생물 모니터링은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방법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를 활용하여 시료를 포집하고, 핵산을 추출한 후 clon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또는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등의 분석 방법이 적용되었으며[8], 최근에는 파이로시퀀싱 분석 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21, 24], 주거 환경을 대상으로한 보고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을 활용하여 주거 환경 중 생활 빈도가 높은 거실과 상대적으로 특이적 환경인 화장실을 선정하여 공기 중 세균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en PS, Li CS. 2008. Concentration profiles of airborne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a hospital. Aerosol Sci. Technol. 42: 194−200. 

  2. Douwes J, Thorne P, Pearce N, Heederik D. 2003. Bioaerosol health effects and exposure assessment: progress and prospects. Ann. Occup. Hyg. 47: 187−200. 

  3. Fung F, Hughson WG. 2003. Health effects of indoor fungal bioaerosol exposure. Appl. Occup. Environ. Hyg. 18: 535−544. 

  4. Gravesen S. 2000. Microbiology on indoor air '99--what is new and interesting? An overview of selected papers presented in Edinburgh, August, 1999. Indoor Air 10: 74−80. 

  5. Hua NP, Kobayashi F, Iwasaka Y, Shi GY, Naganuma T. 2007. Detailed identification of desert-originated bacteria carried by Asian dust storms to Japan. Aerobiologia 23: 291−298. 

  6. Kellogg CA, Griffin DW. 2006. Aerobiology and the global transport of desert dust. Trends Ecol. Evol. 21: 638−644. 

  7. Kelley ST, Gilbert JA. 2013. Studying the microbiology of the indoor environment. Genome Biol. 14: 202−210. 

  8. Kim DH, Lee SH, Cho JC. 2008. Evaluation of various oligotrophic media for cultivation of previously uncultured soil bacteria. Korean J. Microbiol. 44: 352−357. 

  9. Kim JH. 2010.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air in subway station. Master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10. Kim N, Kim YR, Kim MK, Cho DW, Kim J. 200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Korean J. Microbiol. 43: 193−200. 

  11. Kim MW. 2012. Assessment and quality control of indoor microbial parameters. J. Korean Soc. Indoor Environ. 9: 161−171. 

  12. Kim SH, Kim YK. 2009. A study on microbial pollution of indoor air at elderly care facilities. J. Acad. Indoor Technol. 10: 2485−2491. 

  13. Lee A, Kim N, Kim S, Kim J. 2005.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airborne microorganisms in indoor environment of schools. Korean J. Microbiol. 41: 188−194. 

  14. Lee CM, Kim YS, Lee TH, Park WS, Hong SC. 2004.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ioaerosol concentration in public facilities. J. Environ. Sci. 13: 215−222. 

  15. Lee S, Choi B, Yi SM, Ko G. 2009.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community during Asian dust events in Korea. Sci. Total Environ. 407: 5308−5314. 

  16. Lee S, Chung HM, Park SJ, Choe B, Kim JH, Lee BR, et al. 2015. Identific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culturable bacteria in the bioareosol from several environments. Microbiol. Biotechnol. Lett. 43: 142?149. 

  17. Lee S, Oh HW, Lee KH, Ahn TY. 2009. Methylobacterium dankookense sp. nov., isolated from drinking water. J. Microbiol. 47: 716?720. 

  18. Moon HJ, An KA, Choi MS. 2012. The status and caused of indoor airborne micro-organisms activities in residential buildings.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19: 669−675. 

  1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5. Study on the Microorganisms of Bioaerosol for Surroundiings(II). Research report. 

  20. Robbins CA, Swenson LJ, Nealley ML, Gots RE, Kelman BJ. 2000. Health effects of mycotoxins in indoor air. Appl. Occup. Environ. Hyg. 15: 773−784. 

  21. Wang X, Hu M, Xia Y, Wen X, Ding K. 2012. Pyrosequencing analysis of bacterial diversity in 14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in China. Appl. Environ. Microbiol. 78: 7042−7047. 

  22. Weon HY, Kim BY, Joa JH, Son JA, Song MH, Kwon SW, et al. 2008. Methylobacterium iners sp. nov. and Methylobacterium aerolatum sp. nov., isolated from air samples in Korea. Int. J. Syst. Evol. Microbiol. 58: 93?96. 

  23. Yoo J, Jang SK, Seo SY, Youn TI, Kim HD. 2008. A study on error of the impaction method for indoor bioaerosol. Proceeding of the 47 th Meeting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4. Zhang T, Shao MF, Lin Y. 2012. 454 Pyrosequencing reveals bacterial diversity of activated sludge from 14 sewage treatment plants. ISME J. 6: 1137−1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