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ive factors on quality of life (QOL) in the urban residents by age.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A total of 592 urban residents, ages of 20 to 59,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cluding WHO QOL Sca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삶의 질에 영향하는 요인을 연령 그룹별로 분석해보면 대상자의 연령별 삶의 질 증진 전략 수립에 매우 유용할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진 요인 중 일반적 특성과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관리역량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20대-50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Lee, Lee, Choi와 So(2012)의 자료를 기초로 이차분석을 통하여 연령별 삶의 질과 이에 영향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 지역 성인의 삶의 질이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하기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도시지역 성인의 삶의 질 정도를 연령대별로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연령에 따른 도시지역 성인의 삶의 질 정도를 삶의 질 총점,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경영역으로 확인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20세에서 59세까지의 성인으로 남자 299명, 여자 293명 총 5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연령에 따른 도시지역 성인의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연구들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Kang & Lee, 2004; MOHW & KCDC, 2010; MOHWFA & KCDC, 2009; MOHW & KIHASA, 2006).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진 요인 중 일반적 특성과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관리역량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20대-50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Lee, Lee, Choi와 So(2012)의 자료를 기초로 이차분석을 통하여 연령별 삶의 질과 이에 영향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지역 성인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이므로 대도시인 S시와 중소도시인 W시 두 도시에 거주하는 20세에서 59세까지의 성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대도시와 중소도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것은 도시지역이라고 하면 대도시, 중소도시로 이루어졌기 때문이고 이렇게 하여 도시를 대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자가보고 설문지를 스스로 응답할 수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20-50대로 연령을 제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의 삶의 질 수준을 보여 주는 지표 중 하나로 행복지수에서 우리나라의 수준은?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은 개인 차원 뿐 아니라 복지국가 지향을 위한 국가차원의 노력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Yoon & Kim, 2010). 국민의 삶의 질 수준을 보여 주는 지표 중 하나로 행복지수를 이용하여 국가 간 삶의 질을 비교할 수 있는데,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행복지수를 측정한 결과 우리나라는 전체적인 행복수준이 30개 회원국 중 25위로 하위권에 위치하였으며, 주관적 만족도, 형평성과 사회적 연 대부분에서 순위가 아주 낮았다(Kang, 2010; Yoon & Kim, 2010). 그렇다면 우리 국민의 삶의 질은 어떠한가?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1998년부터 실시하여 왔는데, 세 번째 조사가 이루어진 2005년부터는 Euro-Quality of Life-5 Dimension (EQ-5D)를 이용하여 국민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측정하고 있다.
우리 국민의 삶의 질은 어떠한가? 국민의 삶의 질 수준을 보여 주는 지표 중 하나로 행복지수를 이용하여 국가 간 삶의 질을 비교할 수 있는데,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행복지수를 측정한 결과 우리나라는 전체적인 행복수준이 30개 회원국 중 25위로 하위권에 위치하였으며, 주관적 만족도, 형평성과 사회적 연 대부분에서 순위가 아주 낮았다(Kang, 2010; Yoon & Kim, 2010). 그렇다면 우리 국민의 삶의 질은 어떠한가?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1998년부터 실시하여 왔는데, 세 번째 조사가 이루어진 2005년부터는 Euro-Quality of Life-5 Dimension (EQ-5D)를 이용하여 국민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측정하고 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소득이 적을수록, 읍면지역에서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OHW & KCDC], 2010;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OHWFA &KCDC], 200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OHW& KIHASA], 2006).
보건의료 측면에서도 무엇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삶의 질이 중요시 되었는가? 과학과 첨단의학의 발전은 평균수명의 증가와 생활 수준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신체적, 정신적인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삶의 질에 대한 관심 또한 크게 증가되었다. 보건의료 측면에서도 만성질환 유병률의 증가, 보건의료전달체계의 변화, 의료서비스의 효과에 대한 정량화를 위한 지표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삶의 질이 중요시 되었다(Min, Kim, Suh, & Kim, 2000).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신체적인 증상과 생리적인 기능 외에 심리적인 기능(Kim, Hong, Lee, & Park, 2005), 연령과 성(Kim & Park, 2004), 교육 수준과 경제적 상태(Lee, 2002), 건강증진행위(Oh, 2000),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 및 인간관계(Jang, Park, & Kim, 2008;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ung, M. S. (2011). Resilience, coping method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4), 345-354. 

  2. Jang, W. G., Park, Y. S., & Kim, U. (2008).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on quality of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parent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XXIX International Congress of Psychology, 308, Berlin, Germany. 

  3. Jung, Y. M., & Lee, H. Y. (2011).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 Prevalence, risk factors,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2), 149-156. http://dx.doi.org/ 10.4040/jkan.2011.41.2.149 

  4. Kang, E. J. (2010). A comparison of health between Korean and other OECD countries, Health-welfare Policy Forum, 167, 104-112. 

  5. Kang, H. S., & Lee, D. H. (2004). A study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residents -Focused on west areas of Chungnam provinc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16, 201-225. 

  6. Kim, S., & Kim, S. Y. (2008). A study on aging anxiety and self-efficacy of middle aged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7(3), 281-291. 

  7. Kim, H. K., Lee, H. J., & Park, S. M. (2010).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a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279-292. 

  8. Kim, K. B., & Lee, K. H. (2001). The correlation among health status,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the adult stroke patient's family and elderly stroke patient's fami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3(2), 262-276. 

  9. Kim, U., Hong, C. S., Lee, J. G., & Park, Y. S. (2005). Factors influenc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allergy and asthma patients: With specific focus 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health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1(2), 143-181. 

  10. Kim, U. & Park, Y. S. (2004).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for Korean adolescents and adults at home, school, work and leisure settings: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4), 973-1002. 

  11. Lee, E. H., Lee, K-S., So, A. Y., & Smith-Stoner, M. (2010). Scale development: The personal power of health care (PPHC).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129-139. 

  12. Lee, K-S., Lee, E. H., Choi, J. S., & So, A. Y. (201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rsonal competence of health care (PCHC) scal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9(2), 197-209. http://dx.doi.org/10.5953/JMJH.2012.19.2.197 

  13. Lee, Y. W. (2002). A study of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4), 539-549. 

  14. Min, S. K., Kim, K. I., Lee, C, I., Jung, Y. C., Suh, S. Y., & Kim, D. K. (2002).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s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nd WHOQOL-BREF. Quality of Life Research, 11, 593-600. 

  15. Min, S. K., Kim, K. I., Suh, S. Y., & Kim, D. K.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WHOQOL).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1), 78-88. 

  16. Min, S. K., Lee, C, I., Kim, K. I., Suh, S. Y., & Kim, D. K. (2000).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s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nd 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571-579. 

  17. Min, S. Y. (2010). Depress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a community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9(1), 1-10. 

  18. Min, S. Y. (2011). Effects of a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a community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2), 132-142. 

  19.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2). Seoul: Author.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2008. Seoul: Author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Seoul: Author. 

  22. Oh, H. J. (2000). Investigation on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arthrit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2(3), 431-451. 

  23. Oh, H. S. (1993).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women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4), 617-630. 

  24. Sherer, M., Maddux, J.,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5. Shin, K. R., & Yang, J. H. (2003).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living in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7), 999-1007. 

  26. Skevington, S. M., Lofty, M., & O'Connell. (2004).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metric properties and results of the international field trial. A report from the WHOQOL group. Quality of Life Research, 13, 299-310. 

  27. Walker, S. N., & Hill-Polerecky, D. M. (1996).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s Profile II.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Omaha, Nebrasca. 

  28. Yeo, J. H. (2004).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7), 1334-1342. 

  29. Yoon, K. J., & Kim, K. Y. (2010). Calculation and comparison of "well-being Indicator" for OECD countries. Health-welfare Policy Forum, 159, 86-98.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6). WHOQOL-BREF introduction, administration, scoring and generic version of the assessment. from www.who.int/mental_health/media/en/76.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