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의 해발고도에 따른 환경방사선 측정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Radiation according to Altitude above Sea Level i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12, 2012년, pp.694 - 701  

지태정 (가야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인식 (가야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환경방사선 자동감시망이 설치되지 않은 국립공원의 산악 지역을 대상으로 환경방사선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지표 1m 높이에서 공간선량과 지표면에서의 지표선량을 측정하였다. 국립공원 선정은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을 같은 분포로 하여 전국에 10곳을 선정하였다. 측정장비는 감마선측정에 활용되는 INTERCEPTOR$^{TM}$(Thermo, USA, 2006)를 사용하였다. 방사선측정은 국립공원 입구와 정상에서는 필수적으로 측정하였고, 그 외 지점은 해발 고도를 500m 단위로 구분하여 탐방객이 많이 다니는 곳에서 측정하였다. 측정횟수는 각 지점에서 2분간 장비를 안정시킨 후 5회 이상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공간감마선량의 경우 1,000m 이하 국립공원에서는 해발 고도 500m 지점에서 높은 선량이 측정되었다. 그 중 북한산, 계룡산, 월출산에서 $0.23{\mu}Svh^{-1}$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1,000m 이상의 국립공원에서는 설악산 1,500m 지점에서 $1.77{\mu}Svh^{-1}$로 측정되어 백그라운드 기준 선량보다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선량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은 국립공원은 내장산, 소백산, 지리산으로 확인되었다. 환경방사선량이 낮게 측정된 산은 가야산 정상(1,430m)에서 $0.04{\mu}Svh^{-1}$, 한라산 정상(1,950m)에서 $0.03{\mu}Svh^{-1}$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표선량 측정에서도 중간 높이인 500m, 1,000m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지각 구성물질의 종류에 따른 측정에서는 암석으로 구성된 국립공원에서 높은 선량으로 조사되었으며, 화산활동이 일어났던 한라산에서는 환경방사선량이 낮게 측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t put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radiation for mountainous regions of National Parks where Integrated Environmental Radiation Monitoring Network is not installed. For the measurement method, the space dose was classified at 1 meter high from the surface and the index dose at the surf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환경방사선은 지리적요인, 암석과 토양의 구성 및 해발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국가환경방사선측정소 이외의 지역에서 일반인들의 출입이 많은 전국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해발 고도와 지각 구성 물질 및 지리적 위치에 따른 지표선량과 지표 1m에서 계측한 공간선량을 측정하여 환경방사선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방사선으로 무엇이 있는가? 환경방사선은 생활환경 내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이 있다. 이중 인공방사선은 원자력시설을 포함한 산업, 의료, 군사 및 연구시설 등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엄격한 기준과 법령으로 통제된다.
인공방사선이 발생되는 곳은 어디인가? 환경방사선은 생활환경 내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이 있다. 이중 인공방사선은 원자력시설을 포함한 산업, 의료, 군사 및 연구시설 등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엄격한 기준과 법령으로 통제된다. 하지만 자연방사선은 인류와 함께 공존하는 것으로 지각이나 대기 중에 부유하거나 음식물, 건재 등에 포함되는데 그중 라돈가스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
방사성물질을 검출하기 위해 설치한 것은 무엇인가? 특히 원자력 이용률이 높은 국가에서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감시 체계를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원자력안전법에 의해 국토전역에 환경방사선측정소를 설치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국가환경방사선 지방측정소는 12개, 간이방사선측정소는 36개, 군부대와 연계된 측정소가 19개, 원자력발전소 주변에 4개소가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E. J. Hall and A. J Giaccia, Radiobiology for the radiologist, 6th ed, LWW. USA, pp.187-219, 2006. 

  2. Y. Y. Youn, S. Y. Cho, K. Y. Lee, and Y. J. KIM, "The Study of Radon and Uranium Distribution in the Groundwater at Regional Difference of Daejeon," J. korea Asso, Radiat Prot, Vol.31, No.1, pp.25-30, 2006. 

  3. J. S. Jeon and D. C. Kim, "Distribution of Rn222 Concentration in Seoul Subway Stations," J. korean Soc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28, No.6, pp.588-595, 2006. 

  4. http://iernet.kins.re.kr 

  5. Http://main.knps.or.kr/general/parkutil/view.do?nttid10958&bbsidstatistics&g_parkcd&page20&keyword&keyfield 

  6. 지태정, 곽병준, 민병인, "콘크리트 공동주택과 근린생활 시설의 환경방사선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00-104, 2009. 

  7. http://blog.daum.net/jslenginc/1934691 

  8.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국환경방사능조사 2010년 기관고유사업보고서 전국환경방사능감시, KINS/ER-028, Vol.42, 2010. 

  9.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국환경방사능조사 2011년 기관고유사업보고서 전국환경방사능감시, KINS/ER-028. Vol, 43, 2011. 

  10. 과학기술부, 방사선 표준진료 지침서, 과학기술부, pp.119-156, 2001. 

  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제단위계(SI), 8판, 2007. 

  12. 이재기, 후쿠시마원전사고로 인한 국내방사선 영향: 방사선과 안전기준, 대한방사선방어학회, pp.13-36, 2011. 

  13. 한겨레신문, 남부지역 흙에서 후쿠시마발 세슘, 2012. 05.29 11면, 2012. 

  14. 이상석, 박영선, 김흥태, 고성진, 의료방사선생물학, 정문각, pp.25-31,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