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흡착 공정을 활용한 홍경천(Rhodiola sachalinensis) 유산균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Rhodiola sachalinensis using Adsorption Proces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4, 2012년, pp.779 - 786  

성수경 (한국식품연구원) ,  이영경 (한국식품연구원) ,  조장원 (한국식품연구원) ,  이영철 (한국식품연구원) ,  김영찬 (한국식품연구원) ,  홍희도 (한국식품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hodiola sachalinensis fermentates by lactic acid bacteria were prepared using the adsorption process, and were investigated for changes of the main compoun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during the adsorption and fermentation process. While the R. sachalinensis extract (RSE), which did not go th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자체로는 발효되지 않는 홍경천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를 촉진시키기 위한 전처리 공정으로 흡착 처리 공정을 적용하여 보았으며, 유산균 발효 전후 생물 전환을 통한 기능성 증진 효과를 주요 활성성분 함량 분석 및 항산화활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 최근 다양한 식품 소재를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기능성 강화는 물론 관능적 품질을 향상시킨 발효 식품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경천을 대상 소재로 하여 유산균 발효 촉진을 위한 흡착 공정 확립, 이화학적 특성, 유산균 발효 전후의 활성 성분 변화 및 항산화 활성 등을 평가하였다. 홍경천은 우수한 생리활성성분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산균이 발효에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식품가공에 활용되는 다양한 흡착제를 처리하여 홍경천 발효를 시도해 보았다.
  • 흡착 공정을 통한 홍경천 추출물의 최적 발효조건을 확립하고자 이를 위하여 앞선 연구에서 가장 우수한 흡착제 처리 효과를 나타낸 산성백토와 벤토나이트를 대상으로 검토해 보았다. 산성백토 및 벤토나이트의 처리량이 홍경천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홍경천 추출물 100 ㎖ 당 1, 5, 10, 15, 20, 25, 30, 35 g씩 처리하여 하루 동안 흡착 처리시킨 후 여과한 배양액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48시간 동안 발효시키면서 발효물의 pH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경천이 고산 경천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이유는? 특히 우리나라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홍경천(R. sachlinensis)의 경우 일교차가 크고 건조하며, 산소가 희박하고, 자외선이 강한 고산지대의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특수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어 고산 경천 또는 고산 홍경천 등의 별명으로도 불리기도 하였다. 민간에서는 주로 진정제, 해열제, 수렴제 등으로 활용되었으며, 그 밖에도 원기 회복, 수명 연장, 인체 내 대사촉진 등 다양한 효능을 지닌 생약제로 알려져 왔으며(Han YK 1999; Choi 등 2004), 특히 중국에서는 신경계를 자극시켜 우울증을 개선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고산병 예방 및 수면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생약재로도 잘 알려져 있다(Stancheva & Mosharrof 1987; Ming 등 1988a).
홍경천은 민간에서 주로 무엇으로 활용되었는가? sachlinensis)의 경우 일교차가 크고 건조하며, 산소가 희박하고, 자외선이 강한 고산지대의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특수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어 고산 경천 또는 고산 홍경천 등의 별명으로도 불리기도 하였다. 민간에서는 주로 진정제, 해열제, 수렴제 등으로 활용되었으며, 그 밖에도 원기 회복, 수명 연장, 인체 내 대사촉진 등 다양한 효능을 지닌 생약제로 알려져 왔으며(Han YK 1999; Choi 등 2004), 특히 중국에서는 신경계를 자극시켜 우울증을 개선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고산병 예방 및 수면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생약재로도 잘 알려져 있다(Stancheva & Mosharrof 1987; Ming 등 1988a). 홍경천의 주요 약리 성분으로 salidroside와 p-tyrosol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monoterpene hydrocarbon 등의 정유 성분, geraniol 등의 monoterpene류와 배당체, 유기산류, 탄닌 성분과 같은 폴리페놀화합물, 단백질 등이 있다(Ranossian 등 2010).
홍경천은 어느 지역에서 자생하는가? Bor.)은 고산지대에 주로 서식하는 돌나무과(Crassulaccae) 돌꽃속(Rhodilola) 다년생 초본식물로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자생하며, 주로 뿌리와 줄기를 약용으로 활용하여 왔다(Jiang 등 1994; Ranossian 등 2010). 특히 우리나라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홍경천(R.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CS, Yuh CS, Bang IS.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mulberry leaf extract. J Korean Food & Nutr 22:272-278 

  2. Bae SJ. 2005. Anticarcinigen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302-1307 

  3. Baek YJ. 1993. Lactic acid bacteria and human health. J Korean Food & Nutr 6:53-65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5. Blumenkronz N, Asboe-Hansen G. 1973. New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s. Anal Biochem 54: 484-489 

  6. Choi DY, Ahn YA, Lee SG, Han JS, Kim EC, Lee HB, Shin JH, Kim EK, Row KH. 2004. Separation and performance test of whitening agent in Hodiola sachalinensis. J Korean Biote Bioeng 19:169-173 

  7. Choi HT, Cui CB, Kim SH, Ham YA, Lee DS, Ham SS. 2005.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extrac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158-164 

  8. Chue KT, Kim JN, Yoo YJ, Cho SH, Yang RT. 1995. Comparison of activated carbone and zeolite 13x for $CO_2$ recovery from flue gas by pressure swing adsorption. Ind Eng Chem Res 34:591-598 

  9. Cui CB, Lee DS, Ham SS. 2003.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extract. J Korean Soc Sci Nutr 32:211-216 

  10.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o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350-356 

  11. Giovannini C, Straface E, Modesti D, Coni E, Cantafora A, De Vincenzi M, Malorni W, Masella R. 1999. Tyrosol, the major olive oil biophenol, protects against oxidized-LDLinduced injury in Caco-2 cells. J Nutr 129:1269-1277 

  12. Goldin BR. 1998. Health benefits of probiotics. J British Nutr 80:203-207 

  13. Ha JH, Jeong HS, Jeong MH, Kim SS, Jin L, Nam JH, Hwang B, Ma CJ, Lee HY. 2009a. Comparison of anticancer activities of ultrasonification extracts of callus and roots from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J Korean Food Sci Technol 41:552-559 

  14. Ha JH, Jeong HS, Jeong MH, Kim SS, Jin L, Nam JH, Hwang B, Ma CJ, Lee HY, Kim CH, Oh SH, Choi GP, Park UY. 2009b. Improvement of immume activities of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by serial solvent fractionization. J Korean Medicinal Crop Sci 17:210-216 

  15. Han YK.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Rhodiola sachalinensis and its phamacological action. MS Thesis, Dept. of Agriculture & Lifesciences, Seoul National Uni. Seoul 

  16. Hong EY, Kim IH, Yun JS, Yun T, Lee CH. 2003.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arch for eligible cultivation area of Rhodiola sachalinensis A. Boriss. J Korean Plant Res 16:212-217 

  17. Jeon BS, Lee EJ, Im JS, Park CK, Kim SC. 2004. Food componentsand volatile flavors in Rhodiola sachalinensis root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9:53-57 

  18. Jiang M, Zhong W, Han H. 1994. Studies on producing effective medicinal ingredients of Rhodiola sachalinensis by tissue culture I. Callus induction and culture of Rhodiola sachalinensis. J Chin Shen Agri Univ 25:355-359 

  19. Jung HS, Kin EY, Shim ES, Lee HS, Moon EJ, Jin ZH, Kim SY, Sohn YJ, Shon NW. 2008. Effects of Rhodiola rosea (KH101) on anti-fatigue in forced swimming rats. J Korean Orient Int Med 29:922-938 

  20. Kannan N, Aravindan R, Viruthagiri T. 2011.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and kinetic on extracelluar tannase production by Lactobacillus plantarum MTCC 1407. J Indian Biotechnolgy 10:321-328 

  2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9. Official Book of Food. Munyoungsa, p.169, Seoul 

  22. Kwak YS, Kyung JS, Kim SK, Wee JJ. 2001. An isolation of crude saponin from red-ginseng efflux by Diaion HP-20 resin adsorption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1-5 

  23. Lee EJ, Im JS, Park CK, Jeon BS, Kyung JS. 2005. Antihepatotoxic activity of Rhodiola sachalinensis root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0:37-42 

  24. Lee IS, Park KY. 2003.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hurt added with cultured ginseng. J Korean Food Sci Techol 35:235-241 

  25. Lee JS, Kim MY, Kim JH, Nam JH, Lee HY, Hwang B. 2008. Production of salidroside in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callus by the elicitation and precursor. J Korean Medicinal Crop Sci 16:268-272 

  26. Lee MW, Lee YA, Park HM, Toh SH, Lee EJ, Jang HD. 2000.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the roots of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Arch Pharm Res 23:455-458 

  27. Lee YA, Cho SM, Lee MW. 2002. Flavonoids from roots of Rhodiola sachalinensis. J Korean Pharmacogn 33:116-119 

  28. Ming HQ, Xia GC, Zhang RD. 1988a. Progress in Rhodiloa rosea L. Chin. Traditional Herbal Drugs 19:37-42 

  29. Ming HQ, Xia GC, Zhang RD. 1988b. Advanced research on Rhodiola. Chin Traditional Herbal Drugs 19:229-2234 

  30. Miro-Casas E, Covas M, Fito M, Farre-Albadalejo M, Marrugat J, de la Torre R 2003. Tyrosol and hydroxytyrosol are absorbed from moderate and sustained doses of virgin olive oil in humans. J European Clinical Nutrition 57:186-190 

  31. Park CP, Cha JY, Lee CH, Doh ES, Kang IH, Cho YS. 2009. Biological activitie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onascusfermented Korean red ginseng. J Life Sci 19:1553-1561 

  32. Park KB, Oh SH. 2005.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ABA rice yogurt. J Korean Food Sci Biotechnol 14:518-522 

  33. Park KU, Yoon JH, Kim JY, Weong CH, Park CK, Song WS, Song KI. 2005. Biological activity of the fraction extracted from Rhodiola dumulosa. J Korean Food Preservation 12: 496-500 

  34. Park YS, Jang HG. 2003.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367-375 

  35. Ranossian A, Wikman G, Sarris J. 2010. Rosenroot (Rhodiola rosea): Traditional use, chemical composition, pharmacology and clinical efficacy. Phytomedicine 17:481-493 

  36. Saratikov AS. 1968. Rhodioloside, a new glycoside from Rhodiola rosea and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Die Pharmazie 69: 394-398 

  37. Sim CJ, Lee GH, Jung JH, Yi SD, Kim YH, Oh MJ.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from Rhodiola sachalinensis. J Korean Food Preservation 11:63-70 

  38. Stancheva SL, Mosharrof A. 1987. Effects of the extract of Rhodiloa rosea L. on the content of the brain biogenic monamines. Med Physiol 40:85-87 

  39. Swain T,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Korean Sci Food Agric 10:83-88 

  40. Shin JH, Choi DJ, Lee SJ, Cha JY, Sung NJ.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65-971 

  41. Song SW, Park SJ, Seong DH, Park DS, Kim SS, Dou JY, Ahn JH, Yoon WB, Lee HY. 2009.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extract of fermentated Codonopsis lanceol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983-9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