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acidophilus을 이용한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Fermented Rhodiola sachalinensis and Korean Red Ginseng Mixture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3, 2013년, pp.358 - 365  

성수경 (한국식품연구원) ,  이영경 (한국식품연구원) ,  조장원 (한국식품연구원) ,  김영찬 (한국식품연구원)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홍희도 (한국식품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for mixed fermentation of Rhodilola sachalinensis with red ginseng using Lactobacillus acidophillus 128 and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was examined. In the 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흡착 전처리 과정에서 많은 흡착제량과 흡착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발효물의 대량 생산으로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경천과 마찬가지로 항피로, 면역력 증진, 항스트레스 등의 효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adaptogen으로 알려져 있고(Park 등 2007; Panossian 등 2010), 비교적 유산균 발효가 잘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Park 등 2006) 홍삼을 홍경천과 함께 추출한 후 발효하였으며, 홍경천 성분의 생물학적 전환, 기능성 성분의 증가 및 관련된 활성의 증가 등 시너지 효과에 의한 기능성 증진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주요 활성 성분의 함량 변화와 총 페놀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 오늘날 인류의 최대 관심은 건강이며, 그 개념은 육체적ㆍ정신적으로 모든 기능을 활발하게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유용 생리활성을 가지면서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 유래의 활성물질 탐색에 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항노화, 면역 증강, 항산화 효과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경천이란 무엇인가? Bor.)은 고산지역에 주로 자생하는 돌나무과(Crassulaceae), 돌꽃(Rhodiola)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고산지역에 주로 자생하며, 진정제, 해열제, 수렴제 및 고산병 치료를 위한 생약재로 민간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Ming 등 1988; Stancheva & Mosharrof 1987). 홍경천의 대표적인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대부분의 돌꽃속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salidroside와 salidroside의 비배당체인 p-tyrosol 등이 있으며, 산소 결핍증을 개선시키고 항피로와 노화억제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Linch 등 2000;Darbinyan 등 2000).
홍경천의 용도는? Bor.)은 고산지역에 주로 자생하는 돌나무과(Crassulaceae), 돌꽃(Rhodiola)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고산지역에 주로 자생하며, 진정제, 해열제, 수렴제 및 고산병 치료를 위한 생약재로 민간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Ming 등 1988; Stancheva & Mosharrof 1987). 홍경천의 대표적인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대부분의 돌꽃속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salidroside와 salidroside의 비배당체인 p-tyrosol 등이 있으며, 산소 결핍증을 개선시키고 항피로와 노화억제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Linch 등 2000;Darbinyan 등 2000).
홍경천에 포함된 페놀성 화합물은? 홍경천의 대표적인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대부분의 돌꽃속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salidroside와 salidroside의 비배당체인 p-tyrosol 등이 있으며, 산소 결핍증을 개선시키고 항피로와 노화억제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Linch 등 2000;Darbinyan 등 2000). 또한 kaempferol-3-O-β-D-glucopyranoside (astragalin), kaempferol-3-O-β-D-sophoroside, herbacetin-3-Oβ-D-glucopyranoside 및 herbacetin-7-O-β-D-glucopyranosyl (1→3)-α-L-rhamnopyranoside와 같은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포함한 페놀성 화합물은 지방과 DNA 산화를 억제하고,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Lee 등 2002; Lee 등 2000). 홍경천에는 arginine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 linolenic acid와 같은 불포화지방산, 칼슘, 칼륨, 마그네슘 같은 무기성분 등이 비교적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품학적 가치는 높은 생약재로 인정받고 있으며(Lee 등 2004), 항암(Ha 등 2009a), 면역력 증진(Ha 등 2009b), 간독성 보호작용(Lee 등 2005), 항균 활성(Sim 등 2004), 항돌연변이성(Cui등 2003), 미백활성(Choi 등 2004), 항당뇨 활성(Choi 등 2005) 등의 다양한 효능 관련 연구 결과들도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kao T. 1992. Metabolic activation of crude drug components by intestinal bacterial enzymes. Med Pharm Soc 9:1-13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3. Blumenkronz N, Asboe-Hansen G. 1973. New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s. Anal Biochem 54: 484-489 

  4. Bradford MM. 1976. A ripid and sensitivit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g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248-254 

  5. Choi DY, Ahn YA, Lee SG, Han JS, Kim EC, Lee HB, Shin JH, Kim EK, Row KH. 2004. Separation and performance test of whitening agent in Rodiola sachalinensis. J Korean Biote Bioeng 19:169-173 

  6. Choi HT, Cui CB, Kim SH, Ham YA, Lee DS, Ham SS. 2005.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extrac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5:158-164 

  7. Cui CB, Lee DS, Ham SS. 2003.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extract. J Korean Soc Sci Nutr 32:211-216 

  8. Darbinyan V, Kteyan A, Panossian E, Wkiman G, Wagner H. 2000. Rhodiola rosea in stress induced fatigue- a double blind cross-over study of a standardized extract SHR-5 with a repeated low dose regimen on the mental performance of healthy physicicans during night duty. Phytomedicine 7:365-371 

  9. Doh ES, Chang JP, Lee KH, Seong NS. 2010. Ginsenoside change and antioxidation active of fermented ginseng. J Medicinal Crop Sci 18:255-265 

  10.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o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350-356 

  11. Ha JH, Jeong HS, Jeong MH, Kim SS, Jin L, Nam JH, Hwang B, Ma CJ, Lee HY. 2009. Comparison of anticancer activities of ultrasonification extracts of callus and roots from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J Korean Food Sci Technol 41:552-559 

  12. Ha JH, Jeong MH, Seo YC, Yong CW, Kim JS, Kim HH, Ahn JH, Lee HY.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of Berberis koreana Paliban by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421-428 

  13. Ha JH, Kim CH, Jeong HS, Jin L, Oh SH, Kim SS, Jeong MH, Ma CJ, Nam JH, Hwang B, Choi GP, Park UY, Lee HY. 2009. Improvement of immume activities of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by serial solvent fractionization. J Korean Medicinal Crop Sci 17:210-216 

  14. Kim BH, Kang JH, Lee SY, Cho HJ, Kim YJ, Kim YJ, Ahn SC. 2006. Biotransformation of ginseng to compound K by Aspergillus oryzae. J Life Sci 16:136-140 

  15. Kim HJ, Lee SG, Park SJ, Yu MH, Lee EJ, Lee SP, Lee IS. 2012.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fermented red ginseng added with medicinal herb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367-372 

  16. Kim IB, Shin S, Lim BL, Seong GS, Lee YE. 2010. Bioconversion of soybean isoflavone by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longum. J Korean Food Cookery Sci 26:214-219 

  1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9. Official Book of Food. Munyoungsa, pp169, Seoul 

  18. Lee EJ, Im JS, Park CK, Jeon BS, Kim SC. 2004. Food components and volitile flavors in Rhodiola sachalinensis root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9:53-57 

  19. Lee EJ, Im JS, Park CK, Jeon BS, Kyung JS. 2005. Antihepatotoxic activity of Rhodiola sachalinensis root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0:37-42 

  20. Lee HB, Kim HJ, Chong MS, Cho HE, Choi YH, Lim KS, Lee KN. 2008.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ixed culture of medical herbs and mycelia of Tricholoma matsutake and Cordyceps militaris by fermentation. Korean J Herbol 23:1-8 

  21. Lee IS, Park KY. 2003.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hurt added with cultured ginseng. J Korean Food Sci Technol 35:235-241 

  22. Lee MW, Lee YH, Park HM, Toh SH, Lee EJ, Jang HD, Kim YH. 2000.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from the roots of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Arch Pham Res 23:455-458 

  23. Lee YA, Cho SM, Lee MW. 2002. Flavonoids from the roots of Rhodiola sachalinensis. Kor J Pharmacogn 33:116-119 

  24. Linch PT, Kim YH, Hong SP, Jian JJ, Kang JS. 2000.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salidroside and tyrosol from the underground part of Rhodiola rosea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rch Pharm Res 23:349-352 

  25. Ming HQ, Xia GC, Zhang RD. 1988. Progress in Rhodiola rosea L. Clin Traditional Herbal Drugs 19:37-42 

  26. Panossian A, Wikman G, Sarris J. 2010. Rosenroot (Rhodiola rosea): Traditional use, chemical composition, pharmacology and clinical efficacy. Phytomedicine 17:481-493 

  27. Park CD, Jung HK, Park CH, Jung YS, Hong JH, Ko HS, Kang DH, Kim HS. 2012. Isolation of citrus peel flavonoid bioconversion microorganism and inhibitory effect on the oxidative damage in pancreatic beta cells.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27:67-74 

  28. Park KK, Oh SH, Chung WY. 2000. Inhibitory effects of red ginseng on skin tumor formation induces by ethyl carbamate metabolites. J Toxicol Pub Health 16:9-16 

  29. Park MR, Yoo C, Chang YN, Ahn BY. 2012. Change of total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and radical scavenging. Korean J Plant Res 25:379-386 

  30. Park SJ, Kim HK, Paek NS, Kim SS.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ginseng by lactic acid bacteria (FGL). J Ginseng Res 30:88-94 

  31. Peterson G, Barnes S. 1991. Genistein inhibition of the growth of human breast cancer cell: Independence from estrogen receptors and the multi-grug resistance gene. Biochem Biophys Res Comm 179:661-667 

  32. Sim CJ, Lee GH, Jung JH, Yi SD, Kim YH, Oh MJ.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from Rhodiola sachalinensis. J Korean Food Preserv 11:63-70 

  33. Son SJ, Lee SP. 2011. Evaluation of rhe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roasted soybean flour and mixed cereals fermented by Bacillus sp..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450-470 

  34. Song HS, Hong KK, Min HO, Choi JD, Kim YM. 2011.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 by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Kor J Fish Aquat Sci 44:104-110 

  35. Stancheva SL, Mosharrof A. 1987 Effects of the extract of Rhodiola rosea L. on the content of the brain biogenic monoamines. Med Physiol 40:85-87 

  36. Sung SK, Rhee YK, Cho CW, Lee YC, Kim YC, Hong HD.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Rhodiola sachalinensis using adsorption process. J Korean Food & Nutr 25:779-786 

  37. Swain T,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Korean Sci Food Agric 10:83-88 

  38. Trinh HT, Han SJ, Kim SW, Lee YC, Kim DH. 2007. Bifidus fermentation increases hypolipidemic and hypoglycemic effects of red ginseng. J Microbiol Biotechnol 17:1127-1133 

  39. Zhou W, Feng MQ, Li JY, Zhou P. 2006. Studies on the preparation, crystal structure and bioactivity of ginsenoside compound K. J Asian Nat Prod Res 8:519-5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