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세미오이(Sponge-gourd: Luffa cylindrica L.) 추출물의 항산화,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and Hyperplasia Inhibitory Activity of Cancer Cells from Luffa cylindrica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4, 2012년, pp.888 - 896  

오세인 (서일대학 식품영양과) ,  이미숙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idering the dearth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medicinal properties of Luffa cylindrica, we assessed the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hyperplasia inhibitory activity of cancer cells from Luffa cylindrica extracts by employing biological and biochemical assays. Ethanol extracts of Luffa cy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약효가 있다고 알려진 수세미오이의 malondialdehyde(MDA)와 bovine serum albumin(BSA)의 conjugation 억제 효과,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라디칼 소거효과, 지질과산화 저해효과를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고, Ames test를 이용하여 Salmonella typhimurium TA98,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직접 및 간접 돌연변이 유발 억제능을 탐색하였으며, 3-(4,5-dimethylthiazol-2- 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assay를 이용하여 인체 자궁경부암 세포인 HeLa cell, 인체 유방암 세포인 MCF-7 cell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수세미오이에 대한 식품영양학적 평가 및 기능성 물질 발굴을 통하여 식품의 이용가치 및 가공식품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로 수세미오이는 항산화성과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수세미오이를 이용함으로써 광범위하게는 만성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수세미오이를 기능성 식품의 식품소재의 제품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가설 설정

  • 2) Values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001.
  • 2) Values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세미오이 수액에 함유된 유효성분은 무엇인가? 그러나 식품으로서는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수세미오이 수액은 유기산, 지방산, hydrocarbon, 휘발성 정유성분, 무기 성분, 스테롤,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등의 유효성분(Chang 등 1991; Park 등 1996)을 포함하고 있으며, 수세미오이는 백혈병세포의 하나인 L1210에 대해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Bae 등 1991),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에서 중성지방 합성감소와 중성지방 분해 증가로 인한 항비만 효과(Cha 등 2010)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수세미오이의 원산지는? 수세미오이(Luffa cylindrica L.)는 박과식물(Cucurbitaceae)에 속하는 덩굴성의 1년생 초본식물로 원산지는 열대아시아로서,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배 이용되어 왔고, 국내에서도 재배되어 왔다. 어린 과실은 식용으로 이용하며 수액은 화장품이나 건강보조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Lee TB 2003; Kwan 등 2012).
한방에서는 수세미오이 잎을 어디에 사용하고 있는가? 또한 수세미오이의 과실의 내부 그물 섬유는 약용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주방용 세척기구, 육류의 오일여과기, 목욕용 때밀이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한방에서는 잎을 악성종양, 악성피부병, 살균, 해열에, 줄기를 살충, 폐렴, 진해에 사용하고, 종자를 해열, 치질, 부종, 살균 등의 치료 목적으로 한방약재로 사용되고 있다(강소신의학원편 1997). 그러나 식품으로서는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e KH, Chi JM, Chang KW. 1991. The study on effective components in various parts of Luffa cylindrica and development for removal of the flesh from its fruits: (III) Cytotoxic activity of leaf, stem and seed extracts against L1210 cells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ts OMZ176. Kor J Pharm 22:249-251 

  2.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248-254 

  3. Cha SY, Jang JY, Lee YH, Lee GO, Lee HJ, Hwang KT, Kim YJ, Jun WJ, Lee JM. 2010. Lipolytic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Luffa cylindrica in mature 3T3-L1 adipocytes. J Kor Soc Food Sci Nutr 39:813-819 

  4. Cha WS, Shin HR, Park JH, Oh SL, Lee WY, Chun SS, Choo JW, Cho Y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mponents from mulberry fruits. Kor Food Preserv 11:383-387 

  5. Chang KW, Moon CS, Lee HD, Lee CJ, Lee UC. 1991.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components in the various parts of Luffa cylindrica (L.) Roemer and development to remove the flesh from its fruit: (I) Determination of chemical components in the various parts of Luffa cylindrica (L.) Roemer by GC and GC/MS. J Kor Agric Chem Soc 34:366-372 

  6. Chen HM, Muramoto K, Yamauchi F, Fujimoto K, Nokihara K. 1998. Antioxidative properties of histidine-containing peptides designed from peptide fragments found in the digests of a soybean protein. J Agric Food Chem 46:49-53 

  7. Cheng GC, Lee JY, Kim DC, Suh SO, Hwang WI. 2000. Inhibitory effect of Salvia miltiorhiza extract on growth of some cancer cells. J Kor Soc Food Sci Nutr 29:726-731 

  8. Comporti M. 1993. Lipid peroxidation: An overview. In: Free Radicals: From Basic Science to Medicine: Molecular and Cell Biology Updates (Poli G, Albano E & Dianzani MU, eds.). pp. 65-79. Birkhauser Verlag, Basel, Switzerland 

  9. Denizot F, Lang R. 196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ility. J Immunol Methods 89:271-277 

  10. Eriksson CJ, Na A. 1996. Antioxidant agents in raw materials and processed food. Biochem Soc Symp 61:221-234 

  11. Gomez-Sanchez A, Hermonsin I, Mayo I. 1990. Cleavage andoligomerization of malondialdehyde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Tetrahedron Letters 28:4077-4080 

  12. Haase G, Dunkley WL. 1969. Ascorbic acid and copper in linoleate oxidation. I. Measurement of oxidation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and the thiobarbituric acid test. J Lipid Research 10:555-560 

  13.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93.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2nd ed. pp. 86-133. Glarendon Press, Oxford, UK 

  14. Hwang EJ, Cha YU, Park MH, Lee JW, Lee SY. 2004. Cytotoxicity and chemosensitizing effect of Camelia tea extract. J Kor Soc Food Sci Nutr 33:487-493 

  15.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 J Food Sci Technol 28:232-239 

  16. Kim HK, Na GM, Ye SH, Han HS.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Kor J Food Culture 19:484-490 

  17. Kim SJ, Han D. 2005. Effect of plants extracts on lipid peroxidation of rat brain tissue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Kor J Food Sci Technol 37:976-982 

  18.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3:626-632 

  19. Kwan JH, Kim JW, Lee YH, Shim HS. 2012. Sclerotium rot of sponge gourd caused by Sclerotium rotlfsii. Res Plant Dis 18:54-56 

  20. Lee IS, Nishikawa A. 2003. Polyzellus multiplex, a Korean wide mushroom, as a potent chemopreventive agent against stomach cancer. Life Sci 73:3225-3234 

  21. Lee SR, Nam DY, Lee HJ, Park CH, Heo JC, Kim JG, Lee JM, Lee CY, Park HJ, Lee SH. 2009. Analysis of anti-tumor activity of Flammulina velutipes extract on B16 cells. Kor J Food Preserv 16:599-603 

  22.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p.914. Hyangmoonsa, Seoul, Korea 

  23. Maron DM,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173-215 

  24. Meneghini R, Martins EA, Calderaro M. 1993. DNA damage by reactive oxygen species: The role of metal. In: Free Radicals: From Basic Science to Medicine: Molecular and Cell Biology Updates (Poli G, Albano E & Dianzani MU, eds.). pp. 102-112. Birkhauser Verlag, Basel, Switzerland 

  25. Mutsushima T, Sugimura T, Nagao M, Yahagi T, Shirai A, Sawamura M. 1980. Factors modulating mutagenicity in microbial test, In "Short-term Test, Systems for Detecting Carcinogens". Norphth KH and Garner RC (eds.). p. 273. Springer, Berling 

  26. Oh SI, Lee MS. 2007. Antioxidative stress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Lentinus edodes ethanol extracts. Kor J Food Nutr 20:341-348 

  27. Park JS, Chang KW, Lee JI. 1996. Inorganic components and some physical properties of sap from sponge-gourd (Luffa cylindrica L.) as affected by collection time. Agric Chem Biotech 39:67-69 

  28. Park YH. 2000. Effect of polyamine on modification of biomodics by aldehyde. Ph.D. in Medicine Thesis, Seoul National Uni. Seoul, Korea 

  29. Pichumoni SS, Doraiswamy PM. 1998. Current status of antioxidant therapy for Alzheimer's disease. J Am Geriatr Soc 46:1566-1572 

  30. Ramaranthnan N, Osawa T, Ochi H, Kawakishi S. 1995.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 antioxidants to human health. Trend Food Sci Technol 6:75-82 

  31. Saija A, Scalese M, Lanza M, Marzullo D, Bonina F, Castelli F. 1995. Flavonoids as antioxidant agents: Importance of their interaction with biomembranes. Free Radical Biol Medicine 19:481-486 

  32. Shim JH, Park MW, Kim MR, Lim KT, Park ST. 2002. Screening of antioxidant in fructus mune (Prunes mune Sieb. ct Zucc.) extracts.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5:119-123 

  33. Shon MY, Seo JK, Kim HJ, Sung NY. 2001. Chemical composition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J Kor Soc Food Sci Nutr 30:717-720 

  34. Song JH, Lee HS, Hwang JK, Chung TY, Hong SR, Park KM. 2003.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uns ribis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5:690-695 

  35. Yun MJ, Oh SI, Lee MS. 2009.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Agaricus bisporus ethanol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38:19-24 

  36. 강소신의학원편. 1977. 중약대사전. pp. 791-795. 상해과학출판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