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소분석기를 이용한 형도 퇴적물의 총탄소 및 총유기탄소 특성
Characteristics of Total Carbon and Total Organic Carbon Using Elemental Analyzer in Hyung-Do Intertidal Zone Sediment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6, 2012년, pp.673 - 684  

이준호 (한국외국어대학교 환경학과) ,  박갑성 (한국외국어대학교 환경학과) ,  우한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 퇴적물내 함유된 총탄소(total carbon; TC), 총무기탄소(total inorganic carbon; TIC)와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의 정량적 이해는 해양 저서 퇴적 환경 해석을 위한 기본 자료이다. 원소분석기(elemental analyzer; EA)는 내륙 토양 및 해양 퇴적물의 탄소성분 분석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원소분석기로 분석한 표준시료샘플(soil reference material; SRM)의 탄소 및 질소함량은 평균 2.30%와 0.21%이었으며,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는 각각 0.02, 0.01이었다,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는 각각 0.01, 0.06으로 높은 정밀도를 나타내었다. 형도 부지의 총유기탄소(TOC) 2.0% 이하 샘플에 대해 총유기탄소(TOC)와 총탄소(TC) 분석치의 회귀분석은 기울기가 0.9743인 직선형 관계($R^2$=0.9989, n=38)를 보였으며, 2개 샘플을 제외한 총유기탄소 0.5% 이하의 총유기탄소량 및 평균입도의 관계 회귀분석 결과는 기울기가 0.0444인 직선형 관계($R^2$=0.6937 n=36)를 나타내었다. 형도 표층퇴적물의 총유기탄소(TOC) 함량은 0.10~1.67%(평균 $0.26{\pm}0.37%$) 범위로 S02 정점에서 1.67%, S07 정점에서 1.31%이고 나머지 점점은 1.00% 이하의 총유기탄소(TOC) 함량을 나타냈다. 주상퇴적물 PC 01 정점의 경우 70 cm 부근에서 총유기탄소(TOC)가 가장 높은 0.20%을 보였고, 주상퇴적물 PC 02 정점의 경우 60 cm 부근에서 가장 높은 0.24%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형도 샘플의 총유기탄소(TOC) 0.5% 이상 함유 샘플에 대해서는 탄산염 같은 무기탄소량이 높은 퇴적물 분석시 오차가 발생할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얻어진 유기탄소분석 방법은 해양 퇴적물의 유기탄소분석에 적용 될 수 있다. 그리고 원소분석기(EA) 정밀도 및 정확도로 해양 퇴적물 표층 및 주상 퇴적물 유기탄소분석 분석 실험에 유용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ntitative understanding of total carbon, total inorganic carbon and total organic carbon contained in ocean sediments is a basic data for interpretation of oceanic sediment environments. Elemental analyzer(EA) is frequently used for the analysis of carbon contents in inland soils and ocean sedi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동해지역 유기물의 TOC/TN, δ13Corg와 δ15Norg 의 값을 비교해 퇴적물 내 유기물의 특징 및 해수면 변화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고(Kim et al., 2010), 퇴적물 밝기의 주요 조절 요인이 총유기탄소 함량과의 높은 상관계수로 파악하고자 하였다(Chun et al., 2010).
  • 이 연구은 원소분석기(EA)를 이용한 총탄소(total carbon; TC), 총무기탄소(total inorganic carbon; TIC) 및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시화호 형도 표층 및 주상퇴적물의 퇴적 환경 해석을 위한 기본 자료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총유기탄소(TOC) 농도에 따라 무기탄소량이 높은 퇴적물 분석시 오차 발생을 형도 샘플에서 찾아 그 원인을 알아보고 샘플 분석시 오차를 줄이는 방법 등에 논하고자 한다.
  • 시화호 형도 근처 표층퇴적물 및 주상퇴적물 정점을 선정하여 입도 및 갯벌의 지화학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형도 샘플의 실험 과정을 통해 어떠한 분석 항목 및 변수들이 결과값에 작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 또한 시화호는 현재 주단위로 해수를 유통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연구은 원소분석기(EA)를 이용한 총탄소(total carbon; TC), 총무기탄소(total inorganic carbon; TIC) 및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시화호 형도 표층 및 주상퇴적물의 퇴적 환경 해석을 위한 기본 자료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총유기탄소(TOC) 농도에 따라 무기탄소량이 높은 퇴적물 분석시 오차 발생을 형도 샘플에서 찾아 그 원인을 알아보고 샘플 분석시 오차를 줄이는 방법 등에 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탄소 함량의 분석기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유기탄소 함량의 분석기법은 직접측정법과 간접측정법으로 분류된다. 직접측정법은 시료에서 직접 유기탄소 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무기탄소를 제거한 후 유기탄소를 분석하는 고온연소법(high temperature combustion) 과 무기탄소의 제거없이 직접 유기탄소를 분석하는 습 산화법(wet oxidation) 및 연소법(loss-on ignition)이 있다.
해양의 유기탄소 공급은 무엇으로 분류할 수 있는가? , 2006b). 해양의 유기탄소 공급은 육상 또는 대기 기인과 같은 외부 기원과 해양생물에 의한 자생 기원으로 분류 할 수 있다(Wu et al., 2004; Michaelis et al.
직접측정법과 간접측정법은 각각 무엇인가? 유기탄소 함량의 분석기법은 직접측정법과 간접측정법으로 분류된다. 직접측정법은 시료에서 직접 유기탄소 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무기탄소를 제거한 후 유기탄소를 분석하는 고온연소법(high temperature combustion) 과 무기탄소의 제거없이 직접 유기탄소를 분석하는 습 산화법(wet oxidation) 및 연소법(loss-on ignition)이 있다. 간접측정법은 산처리를 통해 이산화탄소로 전환된 무기탄소를 분석하고 총탄소량에서 무기탄소량을 감하여 유기탄소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한다(전기량 분석법, coulometeric method). 직접측정법 중 습산화법 (wet oxidation)은 분석이 쉽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유기퇴적물, 토양 및 폐기물 등의 유기물 정량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환원환경 퇴적물에서는 유기물량이 과대평가되고, 휴믹(humic) 물질과 같은 난분해성 유기물이 함유된 경우 유기물량이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adee, G.C. (1984) Particulate and dissolved organic carbon and chlorophyll a in the Zaire River, estuary and plume, Netherlands Journal of Sea Research, v.17, p.426-440. 

  2. Calvert, S.E. (1976)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nearshore sediments. Chemical Oceanography, 2nd edited by Riley, J.P. and R. Chester. Academic Press, London, v.6, p.187-280. 

  3. Cauwet, G. (2002) DOM in the coastal zone, In: Biogeochemistry of marine dissolved organic matter, edited by D.A. Hansell and C.A. Carlson. Academic Press, Amsterdam, Boston, p.579-609. 

  4. Chen, R.F. and Bada, J.F. (1992) The fluorescence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eawater. Marine Chemistry, v.37, p.191-221. 

  5. Chun. J.H., Son. B.K., Kim. J.H., Ryu. B.J., Kim. H.J., Lee. Y.J. and Bahk. J.J. (2010) Controlling factor of lightness variations in marine core sediments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Controlling factor of lightness variations in marine core sediments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v.46, p.331-344. (in Korean) 

  6.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 Austin. Texas, p.170. 

  7. Google maps. (2012) http://maps.google.co.kr. 

  8. Hedges, J.I. (2002) Why dissolved organic matter, In: Biogeochemistry of marine dissolved organic matter, edited by Hansell, D.A. and C.A. Carlson. Academic Press, Amsterdam, p.1-33. 

  9. Hwa-Seong City Cultural Foundation. (2009) A Survey on the Natural Heritage of Gojeong-ri Dinosaur Egg Fossil Area. BSPG47360-2129-5, 48p. (in Korean) 

  10. Jeong. C.H. (2004) Relationship between Hydrochemical Variation of Groundwater and Gas Tigtness in the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14, p.259-272. (in Korean) 

  11. Kim. I.S. and Park. M.H. (2006a) The study of correlation with distribution of sediment grains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in core sediment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2, p.353-361. (in Korean) 

  12. Kim. I.S., Park. M.H., Lee. Y.J., Ryu. B.J. and Yu. K.M. (2003) Geo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n the Late Quaternary Sedimentary Environment of Southwestern Ulleung Basin, East S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6, p.9-15. (in Korean) 

  13. Kim. I.S., Park. M.H., Ryu. K.M. and Ryu. B.J. (2004)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re Sediments from the northwestern Ulleung Basin, East Sea: Implications for Paleoenvironmental Chang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0, p.1-12. (in Korean) 

  14. Kim. J.H., Park. M.H., Kong. G.S., Han. H.C., Cheong. T.J., Choi. J.Y., Kim. J.H., Kang. M.H., Lee. C.W. and Oh. J.H. (2010) Geochemical Results and Implication of the Organic Matter in the Holocene Sediments from the Hupo Basin.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3, p.1-12. (in Korean) 

  15. Kim. K.H., Son. S.K., Son. J.W. and Ju. S.J. (2006b) Methodological Comparison of the Quantification of Total Carbon and Organic Carbon in Marine Sedi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antal Engineering, v.9, p.235-242. (in Korean) 

  16. King, P. Kennedy, H. Newton, P.P. Jimkells, T.D. Brand, T. Calvert, S. Cauwet, G. Etcheber, H. Head, B. Khripounoff, A. Manighetti, B. and Miquel, J.C. (1998) Analysis of total and organic particles and marine sediment: an interlaboratory comparition. Mar. Che, v.60, p.203- 216. 

  17. Klinkhammer, G.P. McManus, J. Colbert, D. and Rudnicki, M.D. (2000) Behavior of terrestrial dissolved organic matter at the continent-ocean boundary from high-resolution distributions. Geochim. Cosmochim. Acta, v.64, p.2765-2774. 

  18. Lee. Y.J., Yun. H.S., Cheong T.J., Kwak. Y.H. and Oh. J.H. (1998)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in the Tertiary Sediments from the Blocks, Offshore Korea. The Korean Society of Petroleum Geology, v.6, p.25-36. (in Korean) 

  19. Michaelis, W. Ittekkot, V. and Degens, E.T. (1986) River inputs into oceans, In: Biogeochemical processer at the landsea boundary, edited by Lasserre, P. and J.-M. Martin. Elsevier. Amsterdam, p.37-52. 

  20.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4)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Shi-Hwa Lake. BSPM226-00-1607-4, 3p. (in Korean) 

  21. Murrell, M.C. and Hollibaugh, J.T. (2000)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Northern san Francisco Bay during low flow condition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51, p.75-90. 

  22. Nieuwenhuize, J. Mass, Y.E.M. and Middelburg, J.J. (1994) Rapid analysis of organic carbon and nitrogen in particulate materials. Marine Chemistry, v.45, p.217-224. 

  23. Park. J.K., Kim E.S., Kim K.T., Cho S.R., Song T.Y., Yoo. J.K., Kim S.S. and Park. Y.C. (2009) Characteristics in Organic Carbon Distribution in the Seamangeum Area During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Sea Dike,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12, p.75-83. (in Korean) 

  24. Park. M.H., Kim I.S. and Lee Y.J. (2002) Characterization of Orhanic Matter in Upper Jurassic Core Samples Drilled in Southern Germany.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5, p.429-436. (in Korean) 

  25. Park. M.H., Ryu. B.J., Kim I.S., Cheong T.C., Lee Y.J. and Yu. K.M. Stratigraphical and Sedimentological Studies on Core Sediments from the Southwestern Ulleung Basin, East S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5, p.171-177. (in Korean) 

  26. Richelle, M. King, A. Albanese, C.L. and Martin, J.O. (1997) Discussion of Papers. Ground Water, v.35, p.1107-1109. 

  27. Son. B.K., Kim. H.J. and Ahn. G.O. (2009) Mineral Composition of the Sediment of Ulleung Basin, Kor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2, p.115- 127. (in Korean) 

  28. Ruttenberg, K.C. (1992) Development of a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for different forms of phophorous in marine sediment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37, p.1460-1482. 

  29. Udden, J.A. (1914) Mechanical composition of clastic sediments.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v.25, p.655-644. 

  30. Urbansky, E.T. (2001) Total organic carbon analyzers as tools for measuring carbonaceous matter in natural waters. Journal of Environmental Monitoring, v.3, p.103-112. 

  31. Van Iperen, J. and Holde, W. (1985)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organic in calcareous marine sediments. Marine Geology. v.64, p.179-187. 

  32. Warnken, K.W. and Santschi, P.H. (2004) Biogeochemical behavior of organic carbon in the Trinity River downstream of a large reservoir lake in Texas, US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329, p.131-144. 

  33. Wu, Y. Zhang, J. Cho, K.W. Hong, G.H. and Chung, C.C. (2004) Origin and transport of sedimentary organic matter in the Yalujiang estuary, North China. Estuaries. v.27, p.583-592. 

  34. Zhang, J. Liu, S.M. Xu, H. Yu, Z.G. Lai, S.Q. Zhang, H. Geng, G.Y. and Chen, J.F. (1998) Riverine source and estuarine fate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from North China in late summer,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46, p.439-4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