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까지 수행된 독도 화산체 정상부 해역의 정밀수심 및 지구물리 조사 자료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정상부 해역의 정밀해저지형 및 지구물리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독도 연안역 동도와 서도 사이 연결 수로는 약 10 m 이내의 얕은 수심을 이루고 있다. 독도 화산체 정상부해역의 전체적인 수심은 동도와 서도의 육지부부터 수면 아래 약 30 m 까지는 불규칙하며 급한 경사면을 가지고, 그 후 수심 약 30 m부터 수심 약 80 m 까지는 경사가 점차 낮아지다가 수심 약 80 m 이하로 완만한 경사를 보이면서 외해역으로 깊어진다. 독도 육지부와 그 북동쪽 및 북서쪽으로 연장되는 암반들은 독도를 생성시킨 화구륜의 잔해로 판단되며 동도와 서도는 화구륜의 남쪽 한부분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정상부 해역의 해저지형에서는 소규모의 움푹 패인 지형들이 나타나는데 이는 독도 형성 후 나중에 생성된 소규모 분화구의 흔적들로 추정된다. 독도 정상부 해역은 주로 암반이 많이 분포하지만 곳곳에서는 모래 퇴적층들도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독도 화산체 정상부에는 계단형의 경사면들이 나타나는데 이는 제4 기에 나타난 해침, 해퇴 등 해수면변화에 의해 만들어진 해저단구로 유추되며,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주로 약 30 m, 60 m, 80 m 및 약 100 m의 수심대를 위주로 하여 몇 개의 주요 해저단구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기이상도 및 아날니틱신호도를 살펴보면 수면 위 독도에서 연장되는 북동 및 북서쪽의 이상대들은 화구륜의 잔해로 예상되는 암반들의 위치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detailed bathymetry and the geo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mmit of the Dokdo volcano using mutibeam echosounding and geophysical survey data. The bathymetry around the main east and west islets of the Dokdo volcano shows very shallow within about 10 m water depth. From near is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독도 화산체 정상부의 지자기 자료를 통합 · 처리하여 지자기 분포 특성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독도의지속가능한이용연구’’사업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된 독도에서 현재 개발 및 이용이 가장 많이 일어나고 있는 연안 및 화산체 정상부 해저에 대한 다중빔 측심조사, 해저면영상 조사, 지자기 조사 등 지구물리조사의 수행결과를 분석하여 독도 화산체 정상부의 정밀해저지형 및 지구물리학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해는 어떻게 구분되나? 그리고, 동해는 서태평양 주변해(marginal sea) 중의 하나이며, 활발한 지각변형이 일어나고 있는 환태평양 화산 및 지진대에 접하고 있다. 동해는 대부분 수심이 2,000 m 이상인 해역으로서 한국, 일본, 그리고 러시아로 둘러싸여 있으며 울릉분지, 일본분지, 그리고 야마토분지로 구분된다. 이들 분지는 해령(ridge)과 한국대지(Korea Plateau) 등의 해저대지들로 경계 분리 되면서 각각 독립적으로 발달해 있고, 한국대지나 해령들은 일본 열도가 유라시아 대륙으로부터 분리될 때 동해에 남아있는 대륙지각의 조각들이다 (Jolivet et al.
독도의 동도와 서도의 특징은? 수면위의 독도는 동쪽과 서쪽 두 개의 작은 섬과 수십개의 암석군으로 이루어졌는데 동쪽의 섬은 동도, 서쪽의 섬은 서도라고 부른다. 동도는 높이가 98.6 m, 지름이 약 450 m이며 서도는 높이가 약 168.5 m, 지름은 약 500 m이다. 이 두 섬은 가파른 암반의 경사면으로 둘러싸여 있다(Sohn and Park, 1994). 독도는 울릉도 화산암류와 비슷한 알칼리 현무암, 조면 현무암, 조면 안산암 및 조면암으로 구성되어있다고 알려져 있다(Kim et al.
독도의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나? 이 두 섬은 가파른 암반의 경사면으로 둘러싸여 있다(Sohn and Park, 1994). 독도는 울릉도 화산암류와 비슷한 알칼리 현무암, 조면 현무암, 조면 안산암 및 조면암으로 구성되어있다고 알려져 있다(Kim et al., 19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uh, S., Park, C.H., Yoo, H.S. and Han, S.J. (2005) Geological Structur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in the Dok Island, East Sea. Jour. Korean Geophy. Soc., v.8, p.131-135. 

  2. Hwang, S.I. and Park, K.G. (2007) Tafoni Geomorphic Developmnet in the Western Coast of Dongdo of Dokdo, Korea. Jour. Korean assoc. reg. geogr., v.13, p.422-437. 

  3. Hwang, S.K. and Jeon, Y.G. (2003) Eruption Cycles and Volcanic Form of the Dokdo Volcano. Korea Econ. Environ. Geol., v.36, p.527-536. 

  4. Hyun, S.M., Kim, C.H., Jou, H.T., Kim, J.K. and Park, C.H. (2010)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distribution and sub marine topography around Dokdo Island, Korea. Jour. Geol. Soc. Korea, v.46, p.647-660. 

  5. Jeon, Y.G. (2005) The Regional geomorphology of Dokdo(Volcanic Island), Jour. Korean assoc. reg. geogr., v.11, p.19-28. 

  6. Jeong, J.H., Kim, D.S., Lee, T.H. and An, S.M. (2009) High Remineralization and Denitrification Activity in the Shelf Sediments of Dok Island, East Sea. Jour. Korean Soc. Ocean, v.14, p.80-89. 

  7. Jolivet, L., Huchon, P., Lepichon, X., Chamot-Rooke, N. and Thomas, J.C. (1991) Arc deformation and marginal basin opening: Japan Sea as a case study. Jour. Geophys. Res., v.96, p.4367-4384. 

  8. Kang, J.H., Sung, H.H., Park, C.H., Kim, C.H. and Jeong, E.Y. (2008) The Morphological Change by Slope Erosional Process in the Dokdo Seamount. Jour. Korean Geogr. Soc., v.43, p.791-807. 

  9. Kang, M.H., Han, H.C., Yun, H.S. and Lee, C.W. (2002) Geophysical charateristics of seamounts around Dok Island. Jour. Kor. Soc. Ocean, v.7, p.267-285. 

  10. Kang, M.H., Han, H.C., Yun, H.S., Kong, G.S., Kim, K.O. and Lee, Y.S. (2007) 3D gravity modelling for Anyongbok Seamount in the East Sea. Mar. Geophys. Res., v.28, p.257-269. 

  11. Kim, C.H., Park, C.H., Yoo, S.H., Min, K.D., Shim, J.S. (2005) The study of Dok seamount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Ulleung Basin using gravity data. Jour. Geol. Soc. Korea, v.41, p.523-531. 

  12. Kim, C.H., Park, C.H., Jeong, E.Y., Hwang J.S. and Ko, Y.T. (2009) Evolution of the Dok Do seamounts, Ulleung Basin, East Sea: constraints based on the reconstruction of virtual geomagnetic poles using paleomagnetic data. Geo-Mar. Lett., v.29, p.161-169. 

  13. Kim, C.H., Park, C.H., Jeong, E.Y., Ko, Y.T., Hwang, J.S. and Shim, T.M. (2009) Flexural isostasy and loading sequence of the Dokdo seamounts on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Jour. Asian Ear. Sci., v.35, p.459-468. 

  14. Kim, C.Y., Park, S.G., Bang, E.S. and Kim, B.C. (2008) Subsurface Investigation of Dokdo Island using Geophysical Methods. Geophysics Geophy. Exp., v.11, p.335-342. 

  15. Kim, K.H. (2000) K-Ar ages and Nd-Sr isotopes of Dokdo alkali volcanic rocks in the East Sea, South Korea. Jour. Geol. Soc. Korea, v.36, p.313-324. 

  16. Kim, Y.K., Lee, D.S. and Lee, K.H. (1987)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the Volcanic Rocks From Dog Island, Korea. Jour. Geol. Soc. Korea, v.23, p.67-82. 

  17. Kwon, I.K. (2005) I. Sequence stratigraphy of the Taebaek Group (Cambrian-Ordovician), mideast Korea. II. Seismic stratigraphy of the western South Korea Plateau, East Sea.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5p. 

  18. Park, C, Cheon, D.S., Jung, Y.B., Song, W.K., Sunwoo, C. and Kim, B.C. (2008)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s in Dokdo. Jour. Kor. Soc. for Rock Mech., v.18, p.69- 79. 

  19. Shim, S.H., Im, J.H., Jang, Y.D., Choo, C.O., Park, B.J. and Kim, J.H. (2010)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Volcaniclasts within the Massive Tuff Breccia Formation from Dokdo Island, Korea, Jour. Petrol. Soc. Korea, v.19, p.141-156. 

  20. Song, W.O., Kwon, M.S., Kim, E.S., Myung, J.G. and Park, C.H. et al. (2000) The study of on land and marine environments and ecosystems of Dokdo.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Seoul, p.385-600. 

  21. Song, Y.S., Chae, B.G., Cho, Y.C. and Lee, C.O. (2007) Investigation of Soil Characteristics and Landslides Probability in East Island of Dok-Do. Jour. Eng. Geol., v.17, p.657-663. 

  22. Song, Y.S., Park, M.E. and Park, K.H. (2006) Ages and evolutions of the volcanic rocks from Ulleung-do and Dok-do. Jour. Petrol. Soc. Korea, v.15, p.72-80. 

  23. Sohn, Y.K. and Park, K.H. (1994) Geology and evolution of Tok Island, Korea. Jour. Geol. Soc. Korea, v.30, p.242-261. 

  24. Woo, K.S., Ji, H.S., Kim, L., Jeon, J.A., Park, J.S., Park, H.S., Kim, D.S. and Park, C.H. (2009) Distribution and Origin of Carbonate Sediments near Dok Island: Preliminary Study. Jour. Kor. Soc. Ocean, v.14, p.171- 180. 

  25. Zintzen, V. (2007) Biodiversity of shipwrecks from the Southern Bight of the North Sea. Ph.D. Dissertation, Institut Royal des Sciences Naturellles de Belgique/ UniversitCatholique de Louvain: Louvain-la-Neuve, 343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