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형제섬 화산체의 지질과 화산활동
Geology and Volcanism of Hyeongjeseom (Islet) Volcano, Jeju Island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4 no.2, 2021년, pp.187 - 197  

박준범 (미육군극동공병단) ,  고기원 (제주개발공사) ,  전용문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  박원배 (제주연구원) ,  문수형 (제주개발공사) ,  문덕철 (제주개발공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형제섬은 송악산에서 북동쪽으로 약 2 km 떨어진 해상에 위치한 침식 잔존 화산체로서, 하부로부터 화산쇄설층, 집괴암 및 분석층, 분화구 용암, 아아 용암류와 이를 피복하는 재동퇴적층과 해빈퇴적층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형제섬 화산체는 초기 증기 마그마성에서 후기 마그마성 분출과 용암분류로 변화한 화산분화를 기록하고 있는 분출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두로 남아있는 화산쇄설층은 응회구의 외륜 일부로 해석된다. 화산탄과 분화구 용암류는 현무암질 조면안산암의 조성(SiO2 51.3 wt%, Na2O+K2O 6.0 wt%)이며 감람석 현무암류에 해당한다. 단계별 가열에 따른 Ar-Ar 연대측정법에 의한 형제섬 용암류의 플래토 연대는 9.2±3.6 ka로서, 약 3천 7백 년 전의 분화 기록을 가지고 있는 인접한 송악산 화산체보다 앞서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여전히, 약 천 년 전 화산분화의 역사 기록에 부합되는 화산체를 찾는 숙제가 남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yeongjeseom (Islet) is an erosional remnant of volcano which is located about 2 km northeast of sea shore of the Songaksan tuff ring, and is composed of volcaniclastic deposit, agglomerate and scoria deposit, ponded lava, aa lava flows, reworked deposit and beach deposit in ascending order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형제섬에 대한 야외지질조사와 더불어 용암류에 대한 암석화학 분석 및 Ar-Ar 연대 측정, 주변 해저지형 검토 등을 통해 형제섬 화산체의 구성지질과 화산층서를 밝히고 화산활동 시기와 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 형제섬의 지질, 용암류의 주성분자료를 포함한 Ar-Ar 연대를 보고하고 형제섬 화산체의 화산활동사를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U.S. (2106) Study of the Last Volcanic Activity on Historical Records on Jeju Island, Korea. Jour. Petrol. Soc. Korea, v.25, p.69-83. doi: 10.7854/JPSK.2016.25.1.69 

  2. Ahn, U.S., Sohn, Y.K., Yoon, W.S., Ryu, C.K., Jeong, J.O. and Kang, C.W. (2015) Geochemical fingerprinting of basaltic glass in tephra deposits underlying the human footprints-bearing strata in Jeju Island, Korea: Provenance of tephra and age of the human footprint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1, p.105-1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14770/jgsk.2015.51.2.105 

  3. Brenna, M., Cronin, S.J., Smith, I.E.M., Sohn, Y.K. and Nemeth, K. (2010) Mechanisms driving polymagmatic activity at a monogenetic volcano, Udo, Jeju Island, South Korea. Contrib Mineral Petrol., v.160, p.931-950. DOI 10.1007/s00410-010-0515-1. doi: 10.1007/s00410-010-0515-1 

  4. Brenna, M., Cronin, S.J., Nemeth, K., Smith, I.E.M. and Sohn, Y.K. (2011) The influence of magma plumbing complexity on monogenetic eruptions, Jeju Island, Korea. Terra Nova, v.23, p.70-75. doi: 10.1111/j.1365-3121.2010.00985.x 

  5. Brenna, M., Nemeth, K., Cronin, S.J, Sohn, Y.K., Smith, I.E.M. and Wijbrans, J. (2015) Co-located monogenetic eruptions -200 kyr apart driven by tapping vertically separated mantle source regions, Chagwido,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Bull Volcanol, v.77: 43 DOI 10.1007/s00445-015-0928-9. 

  6. Go, S.Y., Kim. G.B., Jeong, J.O. and Sohn, Y.K. (2017) Diatreme evolution during the phreatomagmatic eruption of the Songaksan tuff ring, Jeju Island, Korea. Bulletin of volcanology, v.79, 23, 10.1007/s00445-017-1103-2 

  7. Hwang, S.K. (1998) Volcanic Processes of Dangsanbong Volcano, Cheju Island.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7, p.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eon, Y., Koh, G.W., Park, J.B., Moon, D.C., Kim, G.P. and Ryu, C.K. (2019) Geology and volcanic activities of Biyangdo volcano, the northwest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5, p.291-3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dx.doi.org/10.14770/jgsk.2019.55.3.291 

  9. Kereszturi, G and Nemeth, K. (2012) Monogenetic Basaltic Volcanoes: Genetic Classification, Growth, Geomorphology and Degradation, Updates in Volcanology - New Advances in Understanding Volcanic Systems, Karoly Nemeth, IntechOpen, DOI: 10.5772/51387. Available from: https://www.intechopen.com/books/updates-in-volcanology-new-advances-in-understanding-volcanic-systems/monogenetic-basaltic-volcanoes-genetic-classification-growth-geomorphology-and-degradation. 

  10. Koh, G.W., Jeon, Y., Park, J.B., Park, W.B., Moon, S,H., and Moon, D.C. (2019) Understanding of Historical Records about Volcanic Activities in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5, p.165-17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14770/jgsk.2019.55.2.165 

  11. Koppers, A.A. (2002) ArArCALC software for 40 Ar- 39 Ar calculations. Computers & Geosciences, v.28, p.605-619. doi: 10.1016/S0098-3004(01)00095-4 

  12. Le Maitre, R.W., Streckeisen, A., Zanettin, B., Le Bas, M.J., Bonin, B., Bateman, P., Bellieni, G., Dudek, A., Efremova, S., Keller, J., Lameyre, J., Sabine, P.A., Schmid, R., SOrensen, H. and Woolley, A.R. (2002) Igneous rocks: A classification and glossary of terms.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Geological Sciences Subcommission on the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6p. doi: 10.1017/CBO9780511535581 

  13. Macdonald, G.A. and Katsura, T. (1964) Chemical composition of Hawaiian Lavas. Journal of Petrology, v.5, p.82-133. doi: 10.1093/petrology/5.1.82 

  14. Marsden, R.C., Danisik, M., Ahn, U.-S., Friedrichs, B., Scmitt, A.K., Kirkland, C.L., McDonald, B. and Evans, N.J. (2021) Zircon double-dating of Quternary eruptions on Jeju Island.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v.410. ISSN 0377-0273, https://doi.org/10.1016/j.jvolgeores.2020.107171. 

  15. Middlemost, E.A.K. (1989) Iron oxidation ratios, norms and the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Chemical Geology, v.77, p.19-26. doi: 10.1016/0009-2541(89)90011-9 

  16. Nemeth, K. and Kosik, S. (2020) Review of explosive hydrovolcanism. Geosciences, 10, 44; doi:10.3390/geosciences10020044. 

  17. Park, K.H., Cho, D.L. and Kim, J.-C. (2000) Geologic report of the Moseulpo-Hanlim Sheet (1:50,000). Jeju Provincial Government, 56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Renne, P.R., Swisher, C.C., Deino, A.L., Karner, D.B., Owens, T.L. and DePaolo, D.J. (1998) Intercalibration of standards, absolute ages and uncertainties in Ar-40/Ar-39 dating. Chemical Geology, v.145, p.117-152. doi: 10.1016/S0009-2541(97)00159-9. 

  19. Sohn, C. and Sohn, Y.K. (2019) Volcaniclastic tide-modulated tempestite in a coastal tuff ring, Jeju Island, Korea. Sci. Rep., 9, 3561, https://doi.org/10.1038/s41598-019-39784-0 

  20. Sohn, Y.K., Park, J.B., Khim, B.K., Park, K.H. and Koh, G.W. (2003) Stratigraphy, petrochemistry and Quaternary depositional record of the Songaksan tuff ring, Jeju Island, Korea. J. Volcanol. Geotherm. Res., v.119, p.1-20. doi: 10.1016/S0377-0273(02)00302-5 

  21. Sohn, Y.K., Yoon, W.S., Ahn, U.S., Kim, G.B., Lee, J.H., Ryu, C.K., Jeon, Y.M. and Kang, C.H. (2015) Stratigraphy and age of the human footprints-bearing strata in Jeju Island, Korea: Controversies and new finding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Reports, v.4, p.264-275. doi: 10.1016/j.jasrep.2015.09.014 

  22. Walker, G.P.L. (1993) Basaltic-volcano system. In: Prichard, H.M., Alabaster, T., Harris, N.B.W., Neary, C.R. (Eds.), Magmatic processes and plate tectonics. Geol. Soc. Sp. Pub., v.76, p.3-38. doi: 10.1144/GSL.SP.1993.076.01.0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