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여대생의 체지방률분류 비만도에 따른 체성분, 혈압, 혈중지질 및 혈당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Lipids, and Glucose according to Obesity Degree by Body Fat Percentag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4 no.4, 2012년, pp.231 - 238  

장은희 (중앙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  박영례 (국립군산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lipids, and glucose according to obesity degree by body fat percentag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31 subjects were participated between July and December 2010. The anthropometric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비만을 체지방률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거나, 체지방률에 따른 체성분을 조사한 연구는 중년여성 또는 전체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Cho, Lee, Ou, & Kim, 2003)가 대부분이었으며, 생애 발달주기에서 성인기 건강의 기본이 되는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20대 초반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체지방률에 의한 비만도와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비교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여 체지방률분류 비만도에 따른 체성분, 혈압, 혈중지질, 혈당을 확인하고, 체지방률과 혈압, 혈중지질 및 혈당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여대생들의 맞춤형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체지방률과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도를 확인하고 체지방률분류 비만도에 따른 체성분, 혈압, 혈중지질 및 혈당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체성분 분석을 통하여 여대생의 체지방률과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도를 확인하고, 체지방률분류 비만도에 따른 체성분, 혈압, 혈중지질 및 혈당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체지방률과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도를 확인하고, 체지방률분류 비만도에 따른 체성분, 혈압, 혈중지질 및 혈당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먼저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 익명성의 보장, 그리고 본인이 원하지 않을 때는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철회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는 연구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설명한 내용의 서면화된 동의서를 받고 일반적 특성을 간략히 조사한 후 측정 방법에 익숙한 연구자와 보건진료소 간호사가 혈압, InBody, 혈중지질 및 혈당 순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이 끝나고 나서 결과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건강관리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7월부터 12월까지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성질환의 기준이 되고 있는 WHR의 관리 뿐 아니라 허리둘레의 측정 및 관리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체지방률을 이용하여 저체중군, 정상군, 과체중군, 비만군으로 분류한 비만도에 따른 허리-엉덩이둘레 비(WHR)는 과체중, 비만일수록 증가하였다. 전체 WHR 0.81± 0.05, 정상군의 평균은 0.78± 0.02이었다. 이는 Chaung과 Paek (2005)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평균은 0.75± 0.05로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으나, Chaung과 Paek (2005)의 연구에서 평균 WHR 0.80 이상 복부비만군과 정상군 사이에 고혈압 유병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허리둘레 80 cm 이상 복부비만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대사성질환의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는 WHR의 관리뿐 아니라 허리둘레의 측정 및 관리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은 체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Yoon, Lee, Kim, & Lee, 2003)로 최근 들어 전반적인 신체활동 감소, 에너지섭취 증가 등의 영향으로 비만인구가 급속히 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주요 만성질병의 위험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Haslam & James, 2005). 세계적으로 20세 이상에서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 과체중인구는 15억, 체질량지수 30 kg/m2 이상 비만은 남성 2억, 여성 3억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WHO, 2011), 우리나라에서도 성인의 비만율은 1998년 26.
체중 자체보다 체지방 비율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미국 스포츠의학회에서는 혈중지질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처방 및 식생활 개선프로그램에서 체중과 비만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나, 중성지방과 LDL의 증가를 야기하는 혈중지질 개선을 위해서는 체지방감소가 우선적임을 강조하고 있어서(NationalInstitute Health [NIH], 2002), 체중 자체보다는 체지방 비율에 관심을 가져야 함을 알수있다(Chang,Kim,&Shi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amlage, P., Pittrow, D., Wittchen, H. U., Kirch, W., Boehler. S., Lehnert, H., et al. (2004). Hypertension in overweight and obese primary care patients is highly prevalent and poorly controlled. American Journal of Hypertension, 17, 904-910. 

  2. Burkhauser, R. V., & Cawley, J. (2008). Beyond BMI: The value of more accurate measures of fatness and obesity in social science research.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7, 519-529. 

  3. Chang, E. Y., Kim, J. S., & Shin, S. J. (2009). Health promotion lifestyle according to self-perception of obesity and objective status measured by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in colleg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693-699. 

  4. Chaung, S. K., & Paek, K. S. (2005). The comparison of waist circumference, waist to hip ratio and body mass index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6, 527-533. 

  5. Chaung, S. K. (2009).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for screening obesity in young adul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14-20. 

  6. Cho, B. L., Lee, H. J., Ou, S. W., & Kim, J. S. (2003). The comparison of body fat rate and body mass index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4, 731-738. 

  7. Flahault, A., Cadilhac, M., & ?omas, G. (2005). Sample size calculation should be performed for design accuracy in diagnostic test studi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8, 859-862. 

  8. Han, J. H. (2003). Rela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ith body fat percent and body mass index.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2, 154-161. 

  9. Haslam, D. W., & James, W. P. T. (2005). Obesity. The Lancet. 366, 1197-1209. 

  10. Janssen, I., Katzmarzyk, P. T., & Ross, R. (2002).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health risk: Evidence in support of curren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guideline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2, 2074-2079. 

  11. Jeong, Y. J., Park, J. Y., Cha, K. C., & Park, H. S. (2002). Accuracy of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hip ratio measured by InBody 3.0.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1, 115-122. 

  12. Jung, Y. M., Chung, K. S., & Lee, S. E. (2005).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 body composition and body image in college women by BMI (Body Mass Index).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1), 87-102. 

  13. Kang, H. Y. (2009). Relationship among life style,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 325-332. 

  14. Kim, M. H., & Kim, J. S.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lleg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312-320. 

  15. Kim, M. J.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obesity education on the women students - the point of recognition and change of health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Kim, M. S., & Ahn, H. S. (2003). Study on the effect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in middle aged abdominal obese wome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2(1), 5-67. 

  17.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KSSO, 2000). 2000 Guide to obesity treatment. Seoul: Han-Wui Hak. 

  18. Lee, W. B. (2011). The effect of body pump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insulin resistance, and blood Adipocytokine levels in obese college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w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19. Lee, Y. E., Park, J. E., Hwang, J. Y., & Kim, W. Y. (2009). Comparison of health risk according to the obesity types based upon BMI and waist circumference in Korean adults: The 1998-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2, 631-638.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9-1st year). Author 

  21.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02).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NIH Publication N0. 025215). Bethesda, MD: Author. 

  22. Park, J. W., Park, H. M., & Ha, N. S. (2004). A study on the obesity and weight control method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3(1), 5-13. 

  23. Park, J. Y. (2011). The BMI, Body Image Recognition, and Weight Control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 444-451. 

  24. Pichard, C., Kyle U. G., Bracco, D., Slosman, D. O., Morabia, A., & Schutz, Y. (2000). Reference values of fat-free masses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 3393 healthy subjects. Nutrition, 16, 245-254. 

  25. Sim, S. J., & Park, H. S. (2004). The cut-off value of body fat to identify cardiovascular risk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3(1), 14-21. 

  26. Wang, M. J., Kim, J. A. (2004) Comparative study on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between obese women and normal weight women.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4), 48-60. 

  27. Wardle, J., Haase, A. M., & Steptoe, A. (2006).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in young adults: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22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0, 644-651.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1). Obesity and overweight Retrieved April 1, 2011, from http://www.who.int/medicentre/factsheets/fs311/en 

  29. Yoon, H. K., Lee, C. W., Kim, J. S., & Lee, M. S. (2003). Comparison of obesity treatment effect according to improve side-symptoms by herbal medicine and exercise 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2, 389-396. 

  30. Zhu, S., Wang, Z., Heshka, S., Heo, M. S., Faith, M., & Heymsfield, S. (2002). Waist circumference and obesity-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whites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linical action threshold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6, 743-7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