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에서 토양과 기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재배 적지 구분
Suitability Classes for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Using Soil and Climate Digital Database in Gangwon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32 no.4, 2012년, pp.437 - 446  

김경대 (강원도농업기술원) ,  성경일 (강원대학교 동물생명시스템학과) ,  정영상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이현일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김은정 (강원대학교 동물생명시스템학과) ,  (강원대학교 동물생명시스템학과) ,  조무환 (농어촌청소년육성재단) ,  임영철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사료 재배 적지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가적 사업으로 구축되어 있는 토양과 기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를 대상으로 강원도에서의 재배 가능 지역을 분류하였다. 토양 데이터베이스는 국립농업과학원의 흙토람에서, 기상 데이터베이스는 국립농림기상센터에서 받았다. 토양 요인 항목으로는 토양 물리성인 토성, 배수, 경사, 유효 토심 및 암반노출 등, 토양 화학성인 토양 산도, 토양 염류도 및 유기물 함량 등을 선정하고, 이들의 기준값 및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기후 요인 항목으로는 1월 일최저평균온도, 3~5월의 평균온도, 9~12월의 $5^{\circ}C$ 이상 일수, 10월~익년 5월의 강수일수와 강수량을 선정하고 기준값 및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토양 요인의 관점에서 강원도에서 IRG의 재배가능지 및 재배최적지는 영동지방의 경우 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 및 삼척이며 주로 경사가 완만한 해안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영서지방은 철원, 양구, 춘천, 원주, 횡성, 평창 및 정선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다. 단 영동지방의 경우 서쪽 급경사인 태백산맥은 재배불가지이며, 경사가 완만한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재배가능지 이상이었다. 기후요인의 관점에서 강원도에서 IRG의 재배가능지 또는 재배최적지로 영동지방의 경우 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 및 삼척의 해안 지역이 해당되었다. 영서지방의 경우 대부분의 지역이 재배 불리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일부 춘천과 원주에서 60점 이상인 지역에서는 재배 관리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part of establishing suitability classification for forage production, use of the national soil and climate database was attempted for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 in Gangwon Province. The soil data base were from Heugtoram of th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2012)에서는 전국의 정밀 토양 조사 결과를 활용한 토양 디지털 데이터베이스인 토양 환경 정보 시스템(흙토람)의 구축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기상청의 기후 정보와 국가농림기후센터의 농업 전자 기후도를 가공하고 농진청 흙토람의 토양 환경 정보(토양 전자 지도, 일반 작물 재배 적지 기준 등)를 이용하여 강원도에서의 IRG 재배 가능 지역을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talian ryegrass의 장점은? 남부지방의 대표적인 월년생 사료작물인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는 일반적으로 수량의 안정적인 확보가 가능하며, 호밀보다 영양가치 및 기호성이 높고 사일리지 조제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강원도의 한우 및 젖소 농가에서는 IRG 사일리지가 남부지방으로부터 운반비 등의 경비가 추가되어 가격이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Italian ryegrass는 우리나라에서 어떤 작물인가? 이것은 기온 상승으로 목초나 사료작물에 대한 재배 지역이 남부지방에서 중부지방으로 북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남부지방의 대표적인 월년생 사료작물인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는 일반적으로 수량의 안정적인 확보가 가능하며, 호밀보다 영양가치 및 기호성이 높고 사일리지 조제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의 목초나 사료작물에 대한 재배 지역이 남부 지방에서 중부지방으로 북상하게 된 기온 상승 정도는? 기후 변화로 우리나라의 지난 100년간 기온이 지구 평균 상승 수준보다 훨씬 높은 1.5°C 상승하여 농작물의 재배 적지 한계선이 변화하고 있다 (Kim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 M.H. 2007. http://www.putso.com.ne.kr/frame.html. 

  2. Gangwon prvince. 2010. Statistical Year book of Gangwon 2010 (Area of Land Category). Gangwon provice. 

  3. Gangwon province. 2011. White book of Gangwon provincial government. Gangwon province. 

  4. Hyun, B.K., Jung, S.J., Sonn, Y.K., Park, C.W., Zhang, Y.S., Song, K.C., Kim, L.H., Choi, E.Y., Hong, S.Y., Kwon, S.I. and Jang, B.C. 2010. Comparison Between Methods for Suitability Classification of Wild Edible Green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5):696-704. 

  5. Kim, C.G., Lee, S.M., Jeong, H.K., Jang, J.K. and Lee, C.K. 2009. Impacts and Countermeasures of Climate Change in Korean Agricultur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6. Kim, K.D., Sung, K.I., Jung, Y.S., Lee, H.I., Ghassemi Nejad, J., Lee, B.H., Kim, Y.J., Cho, M.H. and Lim, Y.C. 2012. Suitability classes for Italian ryegrass using soil and climate digital database in Gangwon Province. 2012 Proceedings 50th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pp. 168-169. 

  7. MIFAFF. 2008. http://kosis.kr/abroad/abroad_02List. jsp.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8. MIFAFF. 2010. Digital Climate Modeling for Agrometeorological Forecasting at watereshed scal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9. NAAS. 2010. http://asis.rda.go.kr.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10. NAAS. 2012. http://soil.rda.go.kr/soil/.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11. RDA. 1975. Standard Farming Handbook-25 'Fodder Crops'. Rural Development Administr- ation. 

  12. RDA. 2005. Standard Farming Handbook-91 'Forag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3. Sung, K.I., Kim, E.J., Ghassemi Nejad, J., Cho, M.H., Jung, Y.S. and Yoon, S.H. 2011. Development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based soil and climate map for forage production. in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stainable animal agriculture for developing countries. p. 178, Nakhon Ratchasima, Thailand. 

  14. Yun, J.I. 2010. Agroclimatic Maps Augmented by a GIS Technolog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1):63-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