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 영서 및 영동지역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생육특성과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in Yeongseo and Yeongdong of Gangwon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40 no.4, 2020년, pp.251 - 258  

이홍주 (상지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  변지은 (상지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  류종원 (상지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  황선구 (상지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개발된 품종 중 추위에 강한 내한성을 가진 품종 중 조생종으로는 '코윈어리', 극조생종은 '그린콜' 을 공시 시료로 하여 강원지역의 기상과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두 품종(코윈어리, 그린콜)의 생육 간 상관관계를 보고, 지역별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두 품종의 재배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지역별 월동 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에서는 춘천지역이 출현율과 분얼경, 지하부의 생육이 가장 좋고, 초장의 경우 다른 지역의 중간 정도이며, 원주 지역은 출현율이 춘천보다 낮았으나, 초장의 생육이 춘천, 강릉지역보다 좋았다. 강릉지역은 태풍으로 원주와 춘천지역보다 월동전 생육과 출현율이 많이 저조하였다. 하지만 수확기인 5월에는 초장의 길이가 강릉, 춘천, 원주 순으로 강릉이 특히 매우 높게 나타났고, 수확기의 초장은 최저기온 및 평균 기온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월동 중 및 월동 후 이후 생육기에 변화하는 기상 조건 중 최저기온과 적산온도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제시한다. 지역별 코윈어리의 건물수량은 강릉이 7,490 kg/ha로 춘천, 원주보다 많았다. 그린콜의 경우에도 강릉의 건물수량이 6,490 kg/ha로 춘천, 원주보다 많았다. 재배 적지인 강릉을 기준으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상대 건물수량 지수는 춘천이 77~78%, 원주가 71~84%을 보여 춘천 지역에서 IRG 재배가 가능지역으로 평가되지만, 최적 재배 지역은 아니고 재배 불안전 지대로 판단된다. 따라서 중북부 지역인 강원도 경우 IRG 재배에 미치는 환경 요인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생육과 수량에 주요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suitable growing area for Italian ryegrass (cv. Kowinearly and cv. Green-Call), we survey the different effects of climatic conditions on plant growth in the east (hereafter termed Yeongdong) and west (hereafter termed Yeongseo) of the passes in Gangwon Province. The Italian rye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개발된 품종 중 추위에 강한 내한성을 가진 품종 중 조생종으로는 ‘코윈어리(Kowinearly)’, 극조생종은 ‘그린콜(Green Call)’ 을 공시 시료로 하여 강원지역의 기상과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두 품종(코윈어리, 그린콜)의 생육간 상관관계를 확인해 보고, 강원지역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생산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개발된 품종 중 추위에 강한 내한성을 가진 품종 중 조생종으로는 ‘코윈어리’, 극조생종은 ‘그린콜’ 을 공시 시료로 하여 강원지역의 기상과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두 품종(코윈어리, 그린콜)의 생육 간 상관관계를 보고, 지역별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두 품종의 재배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지역별 월동 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에서는 춘천지역이 출현율과 분얼경, 지하부의 생육이 가장 좋고, 초장의 경우 다른 지역의 중간 정도이며, 원주 지역은 출현율이 춘천보다 낮았으나, 초장의 생육이 춘천, 강릉지역보다 좋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G.J., Choi, K.C., Hwang, T.Y., Lee, K.W., Kim, J.H., Kim, W.H., Lee, E.J., Sung, K.I. and Jung, J.S. 2018a. Effect of difference in cold-tolerance of variety on forage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in middle region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8(4):210-216. 

  2. Choi, J.C., Choi, K.C. Hwang, T.Y., Jung, J.S., Kim, J.H., Kim, W.H., Sung, K.I and Lee, K.W. 2018b. Impact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production techniques on forage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in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8(4): 231-242. 

  3. Choi, G.J., Ji, H.C., Kim, K.Y., Park, H.S., Seo, S., Lee, K.W. and Lee, S.H. 2011.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cold-tolerant 'Kowinearly' Italian ryegrass in the northern part of South Korea. African Journal of the Biotechnology. 10:2676-2682. 

  4. Gangwon province. 2010. Statistical year book of Gangwon 2010 (Area of Land Category). Gangwon province. 

  5. Ji, H.C., Whang, T.Y., Lee, K.W., Kim, W.H., Woo, J.H., Hong, K.H. and Choe, K. W. 2018.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New Variety, 'Green C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8(4):247-252. 

  6. Jung, M.W., Lim, Y.C., Yoon, S.H., Choi, K.C., Kim, M.J., Lee, K.W., and Yook, W.B. 2011. Effect of application of composted cattle manure on forage productivity in double cropping system of Italian ryegrass-whole crop rice.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53(5):469-477. 

  7. Kim, K.D., Sung, K.I., Jung, Y.S., Lee, H.I., Kim, E.J., Nejad1, J.G., Jo, M.H. and Lim, Y.C. 2012. Suitability classes for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using soil and climate digital database i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2(4):437-446. 

  8. Kim, K.Y., Lee, S.H., Ji, H.C., Hwang, T.Y., Lee, K.W. and Park, S.M. 2015.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Comparisons of Domestic and Foreign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Varieties in Yecheon area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5(1):43-49. 

  9. Ko, K.H., Kim, J.K. and Kim, J.D. 2015. Evaluati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of Domestic and Foreign Italian Ryegrass Cultivar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5(4):297-302. 

  10. Lee, S.M. 2013. Effects of seeding dates on yield and feed value of Italian ryegrass in paddy field cultiv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3:185-192. 

  11. Lee, H.J., Byeon, J.E., Hwang, S.U. and Ryoo, J.W. 2020. Change of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s According to Different Growth Stages of Italian Ryegrass and Triticale Cultivated in the Central Northern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40(1):50-56. 

  1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2010. Strategies for Increasing Forage Production. pp. 29-73. 

  13.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NAAS). 201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23-144. 

  14.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NAAS). 2017. Methods of soil physical analysi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13-33. 

  15. Park, B.H., Park, B.S. and Kang, J.H. 1987. A comparison between diploid and tetraploid cultivars of Lolium multiflorum Lam, italicu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7:135-139. 

  16. Stokes, G.G. 1851. On the Effect of the Internal Friction of Fluids on the Motion of Pendulums. Transaction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Part II, 9, 8-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