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독거노인돌보미의 고독사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Caregivers in Perception of Lonely Death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6, 2012년, pp.647 - 658  

권미형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  권영은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d the types of subjectivity that elderly who live alone caregivers have about the lonely death. Methods: This study objectified the subjective area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It studied 24 caregivers in H region, who responded to 34 Q sample statements. The met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고독사의 문제를 독거노인 개인적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측면에서 깊이있게 성찰하고 문제해결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시도되었다. 고독사에 관한 인식은 각 개인에 따라 독특하게 나타나는 주관적인 성향이므로 개별 인간이 가지는 주관성의 세계를 객관적인 절차를 통해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상호비교할 수 있게 하는 Q 방법론(Kim, 2008)을 적용하여 독거노인돌보미들의 고독사 인식에 관한 주관성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제공될 수 있는 죽음에 관한 올바른 이해 및 죽음준비를 위한 간호중재 내용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고독사의 문제를 독거노인 개인적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측면에서 깊이있게 성찰하고 문제해결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시도되었다. 고독사에 관한 인식은 각 개인에 따라 독특하게 나타나는 주관적인 성향이므로 개별 인간이 가지는 주관성의 세계를 객관적인 절차를 통해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상호비교할 수 있게 하는 Q 방법론(Kim, 2008)을 적용하여 독거노인돌보미들의 고독사 인식에 관한 주관성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제공될 수 있는 죽음에 관한 올바른 이해 및 죽음준비를 위한 간호중재 내용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독거노인돌보미들의 고독사 인식에 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이해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주관적인 영역을 객관화시켜 표현함으로써 인간의 주관적 구조에 따른 각 유형별 특성에 대한 이해와 설명을 가능하게 하는 Q 방법론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효과적인 Q 분류를 위해 Q 표본으로 선정된 진술문 34개 항목이 각각 적힌 카드를 읽게 하여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게 한 뒤 의문이 있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문항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런 다음 대상자가 진술문을 자신의 의견에 따라 가장 긍정하는 것(+), 중립(0), 가장 부정하는 것(-)으로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게 한 후 긍정 진술문 중에서 가장 긍정하는 것을 차례로 골라 바깥쪽부터(+4) 안쪽으로 분류를 진행하여 중립부분(0)에서 마무리 하게 하였고 같은 방법으로 부정하는 진술문들도 분류하도록 하였다(Figure 1).
  • 본 연구는 고독사의 문제를 독거노인 개인적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측면에서 깊이있게 성찰하고 문제해결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독거노인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독거노인돌보미들의 고독사 인식에 관한 주관성의 유형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고 4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거노인이란? 독거노인이란 노인이 속한 세대를 구분하는 하나의 범주로써 그 누구와도 함께 거주하거나 가계를 함께하지 않는 ‘혼자 사는 노인’을 의미한다(Kim, 2004). 독거노인에게 발생하는 문제는 일반적인 노인이 노화과정으로 인하여 겪게 되는 신체적 ‧ 정신적 기능 저하, 활동 능력의 약화, 심리적 부담감, 일상생활에 대한 통제력 약화와 함께 은퇴와 관련된 사회적 역할 상실이나 경제적 능력 상실로 인한 소외감, 고립감, 우울, 비애, 무력감, 고독감을 느끼는 것(Park, 2002) 뿐만 아니라 동거노인에 비해 열악한 환경에서 고독한 삶을 살아가기 때문에 노화로 인한 문제들에서 느끼는 부정정서를 이겨내기 힘들고 더 우울해 질 수 있다는 점이다(Kim & Hwang, 2008; Schwartz, Snyder, & Peterson, 1984).
노인돌봄사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독거노인의 사회적 소외와 우울, 자살, 고독사, 방임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고자 2007년 독거노인생활지도사 파견사업을 시작으로 2009년 노인돌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독거노인의 욕구에 맞추어 안전 확인, 생활교육, 서비스 연계, 가사지원, 활동지원 등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돌봄서비스는 노인돌보미들이 1인당 약 26.8명의 독거노인을 담당하여 수행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독거노인에게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이 있는가? 독거노인이란 노인이 속한 세대를 구분하는 하나의 범주로써 그 누구와도 함께 거주하거나 가계를 함께하지 않는 ‘혼자 사는 노인’을 의미한다(Kim, 2004). 독거노인에게 발생하는 문제는 일반적인 노인이 노화과정으로 인하여 겪게 되는 신체적 ‧ 정신적 기능 저하, 활동 능력의 약화, 심리적 부담감, 일상생활에 대한 통제력 약화와 함께 은퇴와 관련된 사회적 역할 상실이나 경제적 능력 상실로 인한 소외감, 고립감, 우울, 비애, 무력감, 고독감을 느끼는 것(Park, 2002) 뿐만 아니라 동거노인에 비해 열악한 환경에서 고독한 삶을 살아가기 때문에 노화로 인한 문제들에서 느끼는 부정정서를 이겨내기 힘들고 더 우울해 질 수 있다는 점이다(Kim & Hwang, 2008; Schwartz, Snyder, & Peterson, 1984). 또한, 독거노인은 동거노인에 비해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더 나쁘다고 느끼며 거주특성 및 생활 환경의 특성상 타인을 포함한 사회와의 교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고독감을 더 빈번하게 경험하고 자긍심과 삶의 질도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 Park, 2000; Park,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cker, C. (2004). Death education in america reasons, levels, contents. International Seminar on the World's Education for Preparing Death, 20-35. 

  2. Belsky, J. (1999). The psychology of aging. Monterey, California: Brooks/Cole. 

  3. Chung, H. K., Kim, K. H., Yeun, E. J., Ryu, E. J., Yeoum, S. G., Chung, Y. K., et al. (1999). A study on the subjectivity about dea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8 (1), 5-16. 

  4. Erikson, E.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Norton. 

  5. Jang, H. S. (2009). The relationships of subjective health, personality traits, happiness and death attitude of the Korean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2 (2), 23-40. 

  6. Kim, C. J., & Hwang, J. S.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senile disease and depression on the seniors' ideation of suicid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ety, 28 (3), 425-442. 

  7. Kim, H. G. (2008).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Seoul: Communication Books, Inc. 

  8. Kim, K. A. (2004). Research on the posture of the elders who live alone to dea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9. Kim, K. T., & Park, B. G. (2000).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Network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 (1), 153-168. 

  10. Kim, M. H., Kwon, G. J., & Lim, Y. O. (2004). A study on the good death of the elderly-blessing death.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 (2), 195-213. 

  11. Kim, M. S., Ha, C. K., & Kim, H. S. (2011).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the view of the afterlife and readiness for death.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6 (1), 111-136. 

  12. Kim, S. M., Lee, Y. J., & Kim, S. I. (2003). Attributes considered important for a good death among elderly and adult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ety, 23 (3), 95-110. 

  13. Kim, T. H., & Son, Y. S. (1984). A study on attitude of the aged toward death centering on family environment, physical and psychological varianc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4 (1), 3-19. 

  14. Kim, Y. S., Lee, C. M., Namgoung, S. J., & Kim, H. K. (2011). A study on the social networks effectiveness to prevent the lonely death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Research in Social Science, 50 (2), 143-169. 

  15. Klenow, D. J., & Bolin, R. C. (1989). Belief in an afterlife: A national study. Omega: The Journal of Death and Dying, 20 (1), 63-74. 

  1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Korean families prospects: 2010. Retrieved August 20, 2012, from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eb site: http://kosis.kr/ abroad/abroad_01List.jsp?parentldA 

  17. Ko, S. D., Kim, E. J., & Kim, Y. K. (1999).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preparative education on the elderly's attitude for death.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6 (2), 81-92. 

  18. Kwon, Y. S., & Kim, J. N. (2003). A correlation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and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4 (1), 132-143. 

  19. Lee, Y. J.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consciousness regarding preparation for death and anxiety of dea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0. Ministry Health & Welfare. (2010). 2010 Eldery care service guidance. Retrieved August 20, 2012, from Ministry of health & welfare Web site: http://www.mw.go.kr 

  21. Oh, J. T. (2004). Death, a Way to Life. Seoul: Chunglim Press. 

  22. Park, C. H. (2002). Qualitative study on the old man's loneli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3. Park, J. E. (2009).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the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of the elderly.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8, 79-109. 

  24. Schwartz, A. N., Snyder, C. L., & Peterson, J. A. (1984). Aging and life: An introduction to gerontology (2nd ed.). NY: The Dryden Press. 

  25. Song, Y. M., & Yoo, K. (2011). A study on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death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er adul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4, 111-13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