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동 초염기성암 복합체의 함금운모 사방휘석암
Phlogopite-Bearing Orthopyroxenite in Andong Ultramafic Complex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o.4, 2012년, pp.249 - 261  

정기영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이승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권석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안동 초염기성암 복합체에서 발견된 함금운모 사방휘석암의 산출과 광물학적 특성을 보고한다. 사방휘석암은 복합체 내에서 1 m 내외 두께의 층상암체로 산출되며, 대부분 조립 자형-반자형 사방휘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량광물로서 단사휘석, 금운모, 사장석이 미량의 크롬 스피넬, 펜틀란다이트, 인회석, 저어콘과 함께 수반된다. 단사휘석은 사방휘석 내에 용리되어 있거나, 후기에 사방휘석 간극을 충전한다. 전자현미분석에 의하면 사방휘석과 단사휘석은 각각 엔스태타이트와 투휘석이며, 시료별 조성 차이가 거의 없다. 금운모와 사장석도 사방휘석의 간극을 충전하며 거의 일정한 조성을 보인다. 후기변질작용으로 사방휘석, 단사휘석, 사장석이 각각 활석, 각섬석, 사문석으로 변질되었다. 사방휘석암은 초염기성 마그마로부터 분별결정작용으로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상인 안동 초염기성암 복합체의 지질시대가 사방휘석암의 금운모와 저어콘에 대한 연대측정으로 규명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logopite-bearing orthopyroxenite occurs in Andong ultramafic complex in a planar body of about 1 meter thick, and consists mostly of coarse subhedral to euhedral orthopyroxene crystals. Minor minerals are clinopyroxene, phlogopite, and plagioclase with trace chromian spinel, pentlandite, apati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지만 안동 초염기성암 복합체의 형성 시기가 아직 규명되지 않아서, 지체구조적 해석이 현재 매우 제한적이다. 저자들은 연대미상인 안동 초염기성암 복합체의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중이며, 이 과정에서 대부분 사방휘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대측정이 가능한 광물들을 함유한 사방휘석암(orthopyroxenite)을 발견하여 그 산상 및 광물학적 특성을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Note geological hammer in the circle. (b) Orthopyroxenite collapsing readily to angular blocks of light greenish yellow color. (c) Coarse granular orthopyroxenite including reddish brown phlogiopite flak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염기성암은 대부분 심한 사문암화작용을 받는데, 비교적 신성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는 경우는? , 2010; Choi, 2012). 암체규모로 분포하는 초염기성암은 대부분 심한 사문암화작용을 받아서 원암의 광물 조성, 화학조성, 조직을 판별하기 어렵지만, 현무암 내 포획암으로 산출되는 경우에는 비교적 신선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어서 여러 가지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연구들이 이루어진 바 있다. 초염기성 포획암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Choi, 2012), 초염기성암의 암종은 대부분 광물조성상 감람석(40∼83%), 사방휘석(14∼32%), 단사휘석(2∼23%), 첨정석(0.
암석학적으로 초염기성암을 연구했을 때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는가? 국내에 분포하는 초염기성암은 한반도와 그 주변 지각의 하부를 구성하는 암석질 맨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지체구조 진화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므로 암석학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Park, 2010). 그러나 초염기성암의 산출규모는 매우 빈약하며, 안동, 홍성, 청양, 울산 일원에 수 km 이하의 소규모암체로 분포하며(Hwang et al.
초염기성암 소규모 암체의 연속 추적이 어려운 이유는? 초염기성압 복합체는 고결된 후, 현위치에 정치하기까지 반복적인 변형작용을 받아서 내부적으로 많은 소규모 단층, 파쇄대, 절리들이 발달되어 있다. 채굴장(신립 및 풍산) 노두는 매우 신선하긴 하지만, 거의 수직인 경사, 그리고 절리를 따라 떨어지는 각력 낙석으로 인하여 소규모 암체의 연속 추적이 어려운 형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i, P.-Y., Lee, S.R., Choi, H.-I., Hwang, J.-H., Kwon, S.-K., Ko, I.-S., and An, G.-O. (2002) Movement history of the Andong Fault System: Geometric and tectonic approaches. Geosciences Journal, 6, 91-102. 

  2. Choi, S.H. (2012) Lithospheric mantle beneath the Korean Peninsula: Implications from peridotite xenoliths in alkali basalts.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235-2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S.H., Kwon, S.-T., Mukasa, S.B., and Sagong, H. (2005) Sr-Nd-Pb isotope and trace element systematics of mantle xenoliths from Late Cenozoic alkaline lavas, South Korea. Chemical Geology, 221, 40-64. 

  4. Choi, S.H., Mukasa, S.B., Zhou, X.-H., Xian, X.H., and Andronikov, A.V. (2008) Mantle dynamics beneath East Asia constrained by Sr, Nd, Pb and Hf isotopic systematics of ultramafic xenoliths and their host basalts from Hannuoba,North China. Chemical Geology, 248, 40-61. 

  5. Heo, S., Yang, K., and Jeong, H. (2012) Hydrous minerals (phlogopite and amphibole) from basaltic rocks, Jeju Island: Evidences for modal metasomatism.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13-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wang, J.Y., Kim, J.J., and Ock, S.S. (1993) Genesis and mineralogy of the serpentinite deposi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26,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ng, J.-H., and Lee, D.-S. (2008) Geological structure around Andong Fault System, Pungcheon-myeon, Andong,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7, 83-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l, Y.W., Shin, H.J., Yun, S.H., Koh, J.-S., and Ahn, U.-S. (2008)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neral phases in the mantle xenoliths from Sunheul-ri, Jeju Island.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1, 373-3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B.K., Lee, H.Y., Kim, S.J., and Jeong, J.G. (1988) Geological map of the Andong sheet (1: 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Seoul, Korea, 20p. 

  10. Lee, H.Y. (1995) Petrochemical study on the mantle xenoliths in alkali basalts from S. Korea: P-T regime of upper mantl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4, 104-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M.W. (1984) Petrology of mafic inclusion in Jeju volcanic rock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0, 306-3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S.R. and Walker, R.J. (2006) Re-Os isotope systematics of mantle xenoliths from South Korea: Evidence for complex growth and loss of lithospheric mantle beneath East Asia. Chemical Geology, 231, 90-101. 

  13. Oh, C.W., Rajesh, V.J., Seo, J., Choi, S.G., and Lee, J.H. (2010) Spinel composition and tectonic relevance of the Bibong ultramafic bodies in the Hongseong collision belt, South Korea. Lithos 117, 198-208. 

  14. Oh, C.W., Seo, J., Choi, S.G., Rajesh, V.J., and Lee, J.H. (2012) U-Pb SHRIMP zircon geochronology, petrogenesis, and tectonic setting of the Neoproterozoic Baekdong ultramafic rocks in the Hongseong Collision Belt, South Korea. Lithos, 128-131, 100-112. 

  15. Park, G., Hwang, J., Oh, J., and Lee, H. (2012) Occurrence and mineralogy of serpentinite from Bibong mine in Chungyang area, Kor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5, 9-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ark, K-H. (2010) Evolution of the subcontinental lithospheric mantle of Korean Peninsula: Partial loss and its timing.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9, 199-2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Shin, H.-J., Kil, Y.-W., Jin, M-S., and Lee, S.-H. (2006) Petrological study on upper mantle xenoliths from Asan and Pyeongtaek a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 95-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Song, S., Choi, S.G., Oh, C.H., Seo, J.E., and Choi, S. (2004) Petrography and geochemistry of the ultramafic rocks from the Hongseong and Kwangcheon areas, Chungcheongnam-Do.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7, 477-4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Song, S.H., Choi, S.G., and Woo, J.G. (1997) Genetic implications of ultramafic rocks from the Bibong area in the Kyeonggi gneiss complex.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0, 477-491. 

  20. Streckeisen, A. (1973) Plutonic rocks.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recommended by the IUGS Subcommission on the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Geotimes, 63, 773-785. 

  21. Whattam, S.A., Cho, M., and Smith, I.E.M. (2011) Magmatic peridotites and pyroxenites, Andong Ultramafic Complex, Korea: Geochemical evidence for supra-subduction zone formation and extensive melt-lrock interaction. Lithos, 127, 599-618. 

  22. Woo, Y.-K. and Suh, M.-C. (2000) Petrological society on the ultramafic rocks in Choongnam a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 323-3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Yang, K. and Hwang, B.-H. (2005) Origins of clinopyroxenes in alkaline basalt from Jeju Island.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18, 33-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Yu, J.-E., Yang, K., and Kim, J. (2010) Textur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ation of spinel peridotite xenoliths from Jeju Island.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010, 227-2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