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동군 월횡리에서 토륨광물과 수반된 함REE 갈렴석의 산출상태
Occurrence of REE-bearing Allanite with Th-mineral (thorite) in Wolhoengri, Hadong, Korea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o.4, 2012년, pp.295 - 304  

최진범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경상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곽지영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경상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동군 옥종면 월횡리에는 과거 개발하던 티탄철석 광산이 위치하며, 주변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지리산 편마암 복합체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이를 회장암이 관입하고 있다. 간극누적형 회장암체 내 티탄철 광체가 발달하고 있으며, Ti-광체 내 희토류원소를 포함하는 갈렴석이 맥상으로 발달하고 있다. 갈렴석의 CaO 함량은 11.02~12.81 wt%로 낮은 반면, ${\Sigma}R_2O_3$는 상대적으로 높은 17.21~21.58 wt% (R=Ce, La, Nd)의 범위를 보여준다. 갈렴석이 높은 방사능 이상치를 보여주는 이유는 갈렴석 내에 미립의 광물상으로 존재하는 토륨 광물인 톨라이트(thorite, $ThSiO_4$)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톨라이트는 $3{\sim}6{\mu}m$ 크기의 입상으로 누대구조를 보여주며, 화학분석 결과 $ThO_2$는 65~72.78 wt%, $UO_2$는 5.49~12.78 wt%의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광물학적 특성은 톨라이트를 함 REE 갈렴석을 찾는 방사능 탐사를 함에 있어 좋은 지시자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lmenite mine was developed in the anorthosites which intruded Precambrian Jirisan gneiss complex in Wolheongri, Okjong-myeon, Hadong. Ti-ore bodies are confined to the intercumulated type anorthosites, where REE-bearing allanite occurred as veins. The chemistry of allanites shows relatively low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는 티탄철석 광체 내에 관입된 희토류 원소를 함유하는 갈렴석과 함께 수반되는 토륨광물의 산출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갈렴석은 조사지역에서 티탄철 광체에 밀접히 수반되기 때문에 방사능탐사를 활용하여 Ti-광상 탐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캄브리아기 회장암의 성인연구 결과 어떻게 구분되었는가? 경남 하동-산청 지역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선캄브리아기 회장암이 분포하고 있다. 그동안 이에 대한 성인연구(Jeong, 1980, 1987; Jeong and Lee,1986)가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회장암의 유형을 괴상형(MT: massive type), 층상형(LT: layered type), 간극누적형(IT: intercumulated type), 엽상형(FT: foliated type)으로 구분하였다. 한편, 회장암 내 티탄철석 광상의 산출이 보고되었으며, 간극 누적형 암체에 국한되어 폭 2∼10 m, 연장 약 14km의 남북방향 대상으로 발달하고 있다(Jeong et al.
하동군 옥종면 월횡리에 어떤 광산이 위치하는가? 하동군 옥종면 월횡리에는 과거 개발하던 티탄철석 광산이 위치하며, 주변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지리산 편마암 복합체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이를 회장암이 관입하고 있다. 간극누적형 회장암체 내 티탄철 광체가 발달하고 있으며, Ti-광체 내 희토류원소를 포함하는 갈렴석이 맥상으로 발달하고 있다.
경남 하동-산청 지역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어떤 암석이 분포하는가? 경남 하동-산청 지역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선캄브리아기 회장암이 분포하고 있다. 그동안 이에 대한 성인연구(Jeong, 1980, 1987; Jeong and Lee,1986)가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회장암의 유형을 괴상형(MT: massive type), 층상형(LT: layered type), 간극누적형(IT: intercumulated type), 엽상형(FT: foliated type)으로 구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ampbell, F.A. and Ethier, V.G. (1984) Composition of allanite in the footwall of the Sullivan orebody, British Columbia. Canadian Mineralogist, 22, 507- 511. 

  2. Chi, S., Koh, S.M., Ko, I.S., Kim, D.U., Kim, S.Y., Kim, Y.U., Kim, Y.D., Kim, I.J., Ryoo, C.R., Park, S.J., Seo, J.R., Yoo, J.H., Lee. M.J., Lee. J.H., Lee, H.Y., and Heo, C.H. (2008) Reevaluation of strategy mineral resources and development of exploration techniques for ore deposits. KIGAM, GP2007-017-2008(2), 403p. 

  3. Cox, R.A., Wilton, D.H.C., and Ko?ler, J. (2003) Laser-ablation U-Th-Pb in situ dating of zircon and allanite: an example from the October harbour granite, central coastal Labrador, Canada. Canadian Mineralogist, 41, 273-291. 

  4. Dollase, W.A. (1971) Refinement of the crystal structures of epidote, allanite, and hancockite. American Mineralogist., 56, 447-464. 

  5. Erict, T.S. (2002) The Mess that is "allanite". Canadian Mineralogist, 40, 1411-1419. 

  6. Exley, R.A. (1980) Microprobe studies of REE-rich accessory minerals: implications for Skye granite petrogenesis and REE mobility in hydrothermal system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48, 97-110. 

  7. Finger, F., Broska, I., Roberts, M.P., and Schermaier, A. (1998) Replacement of primary monazite by apatite- allanite-epidote coronas in an amphibolite facies granite gneiss from the eastern Alps. American. Mineralogist., 83, 248-258. 

  8. Franz, G., Thomas, S., and Smith, D.C. (1986) Highpressure phengite decomposition in the Weissenstein eclogite, Munchberger Gneiss Massif, Germany.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92, 71-85. 

  9. Gaines, R.V., Skinner, H.C.W., Foord, E.E., Mason, B., and Rosenzweig, A. (1997) Dana's New Mineralogy (8th ed.). 1195-1205, John Wiley & Sons, New York. 

  10. Giere, R. (1996) Formation of rare earth minerals in hydrothermal systems. In: Jones, A.P., Wall, F., Williams, C.T. (eds.). Rare Earth Minerals; Chemistry, Origin and Ore Deposits. Mineral. Soc. Series, 105-150, Chapman & Hall. 

  11. Giere, R. and Sorensen, S.S. (2004) Allanite and other REE-rich epidote-group minerals. In Epidotes (A. Liebsher & G. Franz, eds.). Review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56, 431-493. 

  12. Gromet, L.P. and Silver, L.T. (1983) Rare earth element distributions among minerals in a granodiorite and their petrogenetic implication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7, 925-940. 

  13. Hermann, J. (2002) Experimental constrains on phase relations in subducted continental crust. Contribut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143, 219-235. 

  14. Hoshino, M., Kimata, M., Shimizu, M., Nishida, N., and Fujiwara, T. (2006) Allanite-(Ce) in granitic rocks from Japan: genetic implications of patterns of REE and Mn enrichment. Canadian Mineralogist, 44, 45-62. 

  15. Hoshino, M., Kimata, M., Arakawa, Y., Shimizu, M., Nishida, N., and Nakai, S. (2007) Allanite-(Ce) as an indicator of the origin of granitic rocks in Japan: importance of Sr-Nd isotopic and chemical composition. Canadian Mineralogist, 45, 1329-1336. 

  16. Jeong, J.G. (1980) Petrogenesis of anorthosite and related rocks in Hadong-Sancheong district,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7. Jeong, J.G. (1987) Magmatic differentiation of the anorthositic rocks in Hadong-Sancheong a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3, 216-228. 

  18. Jeong, J.G. and Lee, S.M. (1986) Regional metamorphism of anorthositic rocks in Hadong-Sancheong area. Memor. for Prof. Sang Man Lee's 60th, 87-106. 

  19. Jeong, J.G., Kim, W.S., and Watkinson, D.H. (1989) Geologic structure of Hadong anorthositic rocks and associated titanium orebody. Journal of the Geologica Society of Korea, 25, 98-111. 

  20. Jung, J.S., Kim, J.S., Cho, H., Song, C.W., Son, M., Ryoo, C.R., Chi, S., and Kim, I.S. (2010) Occurrence and deformation of Fe-Ti ores from the Proterozoic Hadong anorthosites,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9, 31-49. 

  21. Kim, S.Y. and Seo, J.R. (1990) Study on geology and ore deposits for rare metals in Korea. KIER, KR- 90-2D-1, 82p. 

  22. Kim, S.Y., Seo, J.R., Yang, J.I., and Kim, S.B. (1991a) Geology and ore deposits of rare elements in Hadong and Uljin Area, Korea. KIER, KR-91-2D-1, 78p. 

  23. Kim, Y.J., Lee, C.S., and Kang S.W. (1991b) Petrochemistry on intermediated-base plutons in Jirisan area of the Ryongnam Massif.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2, 100-122. 

  24. Kim, W.S., Jeong, J.G., Lee, K.H., and Watkinson, D.H. (1992) Rare metal occurrences within the anorthosite in the Hadong-Sanchong area, Kyungnam Province, Kor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5, 14-21. 

  25. Koh, S.M. (2010) Occurrence of ilmenite deposits in Hadong-Sancheong Ar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3, 25-37. 

  26. Koh, S.M., Yu, J.H., Kim, Y.U., Lee, H.Y., and Song. M.S. (2003) Evaluation and exploration of titanium and feldspar deposits in Hadong-Sancheong-Hapcheon Area. KIGAM, KR-03(C)-16, 70p. 

  27. Lee, J.M., Jeong, J.G., and Kim, W.S. (1999)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evolution of Hadong anorthositic rocks and their genetic relations with ilmenite- bearing ore bodies, Korea. Joru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5, 321-336. 

  28. Lee, S.M. (1980) Metamorphic facies analysis for the representatives of meta-morphic belts. CGMW Bull., 25, 21-27. 

  29. Lee, S.M., Na, K.C., Lee, S.H., Park, B.Y., and Lee, S.W. (1981) Regional metamorphism of the metamorphic rock complex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Sobaeksan massif.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7, 169-188. 

  30. Moon, J.J., Moon S.W., and Jaw, Y.J. (2012) SHRIMP zircon ages of the dioritic rocks from the Hadong area in the southeastern Yeongnam Massif (Abs.). Fal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science Societies,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11. 

  31. Morse, S.A. (1982) A partisan review of Proterozoic anorthosites. American Mineralogist, 67, 1087-1100. 

  32. Orlandi, P. and Pasero, M. (2006) Allanite-(La) from Buca Della Vena Mine, Apuan alps, Italy, an epidote- group mineral. Canadian Mineralogist, 44, 63-68. 

  33. Park, K.H., Kim, D.Y., and Song, Y.S. (2001) Sm-Nd mineral ages of charnockites and ilmenite-bearing anorthositic rocks of Jirisan area and their genetic relationship.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0, 27-35. 

  34. Seo, J.R., Park, S.W., Lee, P.G., Oh, M.S., and Lee, B.J. (1992) Study of rare metal mineral resources in the Hadong area. KIER, KR-92-1C-2, 72p. 

  35. Sorensen, S.S. and Grossman, J.N. (1989) Enrichment of trace-elements in garnet amphibolites from a paleo- subduction zone: Catalina Schist, Southern California.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76, 3155-3177. 

  36. Spandler, C., Hermann, J., Arculus, R., and Mavrogenes, J. (2003) Redistribution of trace elements during prograde metamorphism from lawsonite blueschist to eclogite facies: implication for deep subduction- zone processes.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146, 205-222. 

  37. Kwon, S.T and Jeong, J.G. (1990) Preliminary Sr-Nd isotope study of the Hadong-Sanchung anorthositic rocks in Korea: Implication for their origin and for the Precambrian tectonic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6, 341-349. 

  38. Tribuzio, R., Messiga, B., Vannucci, R., and Bottazzi, P. (1996) Rare earth element distribution during high-pressure-low-temperature metamorphism in ophiolitic Fe-gabbros (Liguria, northwestern Italy): implications for light REE mobility in subduction zones. Geology, 24, 711-7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