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험 가축 매몰지 토양 및 침출수 내에서의 구제역 바이러스 검출
Detection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and coxsakievirus in the soil and leachate of modeled carcass burial site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5 no.4, 2012년, pp.255 - 261  

조호성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및 전북대학교 생체안전성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ot and mouth disease (FMD) is highly infectious disease of cloven-hoofed animals, particularly cattle, sheep, pigs and goats. Last outbreak reported in November, 2010 induced the enormous social and economical impacts. Culling of infected animals, movement control, and vaccination are the major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이설과정에서 작업자들은 차단방역 절차(Cho와 Kim, 2012)를 준수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FMDV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에 의뢰하여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매몰지 토양 및 침출수 내 FMDV 부재 검사와 가축전염병예방법에서 규정한 3년간의 발굴 금지 규정 사이에서 매몰지 토양 내 FMDV의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이번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가축 매몰지 내에서의 구제역 바이러스의 생존력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적인 간이 가축 매몰 장치를 제작하고 구제역 바이러스 백신(FMDV O1 Manisa strain)과 구제역 바이러스와 같은 형태적 특징을 갖는 Coxsakievirus B1 (CVB1) strain을 돼지에 접종한 후 안락사 및 매몰한 다음 매몰 토양과 침출수 내에서의 이들 바이러스의 검출 양상을 확인하여 가축 매몰지 내에서의 매몰 기간에 따른 구제역 바이러스에 안전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제역이란? 구제역(Foot and mouth disease)은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등의 우제류 동물에서 발열 및 입, 혀, 유두 및 발굽 사이에 수포가 생기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병이다(Bachrach, 1968). 구제역에 걸린 동물은 수포에 의한 통증으로 발육, 운동 및 비유장애가 유발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 아니라 구제역이 발생하면 살처분 등 질병방제 비용, 생산성 감소, 동물 및 축산물의 국제적인 교역 제한 등으로 막대한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세계동물보건기구(Office International des Epizooties, OIE)에서 List A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Grubman 등, 1985; Krystynak와 Charlebois, 1987; Sáiz 등, 2002; Yoo, 2011).
2012년 농림수산식품부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확인된 구제역이 발생한 경우는? 국내 구제역은 1917년 처음 발생한 이래 1934년까지는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이후 2000년 3월에 경기도, 충북 및 충남지역의 소에서 다시 발생하여 182농가에서 2,216두를 살처분하였고, 25,914농가 1,522,470두의 우제류 동물에 대하여 이동통제 및 예방 접종을 하였고 그 후 2002년 5월 경기도와 충북지역의 돼지에서 발생하여, 162농가 160,155두를 살처분, 매몰하여 근절하였다(농림수산식품부, 2012). 최근에는 2010년 1월 경기도 포천의 소에서 8년 만에 6농가 29두에서 발생하여, 55농가 5,956두의 우제류에 대하여 살처분을 하였고 4월과 5월에 인천광역시 강화군, 경기도 김포시, 충청북도 충주시 및 충청남도 청양군 지역에서 11농가에서 총 26두가 발생하여, 49,784두의 우제류 동물을 살처분하였다(환경부, 2011). 그 후 2010년 11월부터 2011년 4월까지 발생한 구제역으로 996만 마리 가축이 살처분, 매몰되었고 이로 인한 가축 매몰지는 4,799곳으로 확인되었다(농림수산식품부, 2012).
구제역이 발생하는 경우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는 이유는? 구제역(Foot and mouth disease)은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등의 우제류 동물에서 발열 및 입, 혀, 유두 및 발굽 사이에 수포가 생기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병이다(Bachrach, 1968). 구제역에 걸린 동물은 수포에 의한 통증으로 발육, 운동 및 비유장애가 유발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 아니라 구제역이 발생하면 살처분 등 질병방제 비용, 생산성 감소, 동물 및 축산물의 국제적인 교역 제한 등으로 막대한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세계동물보건기구(Office International des Epizooties, OIE)에서 List A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Grubman 등, 1985; Krystynak와 Charlebois, 1987; Sáiz 등, 2002; Yoo,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농림수산식품부. 2012. 구제역 긴급 행동 지침[SOP]. pp. 1-245. 

  2. 환경부. 2011. 가축매몰지 환경관리지침. pp. 1-29. 

  3. Bachrach HL. 1968. Foot-and-mouth disease. Annu Rev Microbiol 22: 201-244. 

  4. Cho HS, Kim GH. 2012. Needs of Biosecurity and Protocols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Carcasses Burial. J Korean Soc Water Environ 28: 305-312. 

  5. Chou CC, Yang SE. 2004. Inactivation and degradation of O Taiwan97 foot-and-mouth disease virus in pork sausage processing. Food Microbiol 21: 737-742. 

  6. Cottral GE, Cox BF, Baldwin DE. 1960. The survival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in cured and uncured meat. Am J Vet Res 21: 288-297. 

  7. Grubman MJ, Morgan DO, Kendall J, Baxt B. 1985. Capsid intermediates assembled in a foot-and-mouth disease virus genome RNA-programmed cell-free translation system and in infected cells. J Virol 56: 120-126. 

  8. Guan J, Chan M, Grenier C, Brooks BW, Spencer JL, Kranendonk C, Copps J, Clavijo A. 2010. Degradation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during composting of infected pig carcasses. Can J Vet Res 74: 40-44. 

  9. Hindson BJ, Reid SM, Baker BR, Ebert K, Ferris NP, Tammero LF, Lenhoff RJ, Naraghi-Arani P, Vitalis EA, Slezak TR, Hullinger PJ, King DP. 2008. Diagnostic evaluation of multiplexed reverse transcription-PCR microsphere array assay for detection of foot-and-mouth and look-alike disease viruses. J Clin Microbiol 46: 1081-1089. 

  10. Krystynak RHE, Charlebois PA. 1987. The potential economic impact of an outbreak of foot-and-mouth disease in Canada. Can Vet J 28: 523-527. 

  11. Park JH, Lee KN, Kim SM, Ko YJ, Lee HS, Cho IS. 2009. Resistance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in various environments. Kor J Vet Publ Hlth 33: 197-204. 

  12. Park JH, Lee KN, Kim SM, Ko YJ, Lee HS, Heo EJ, Kweon CH, Yang CB. 2008. The condition for air-borne transmission of foot-and-mouth disease. Kor J Vet Publ Hlth 32: 205-212. 

  13. Saiz M, Nunez JI, Jimenez-Clavero MA, Baranowski E, Sobrino F. 2002. Foot-and-mouth disease virus: biology and prospects for disease control. Microbes Infect 4: 1183- 1192. 

  14. Wijnker JJ, Haas B, Berends BR. 2007. Removal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infectivity in salted natural casings by minor adaptation of standardized industrial procedures. Int J Food Microbiol 115: 214-219. 

  15. Yoo HS. 2011. Foot and mouth disease: etiology, epidemiology and control measures. Infect Chemother 43: 178-1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