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몰 시간의 경과에 따른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Water Quality and Bacteria of Leachate from Animal Carcass Disposal on the Disposal Lapse Time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6 no.4, 2013년, pp.345 - 350  

최낙철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 ,  최은주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김봉주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박정안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 ,  김성배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 ,  박천영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매몰경과시간에 따라 4지점의 가축매몰지 침출수에 대하여 물리화학적 특성과 분자미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침출수내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침출수에 대한 물리화학적 분석 결과, 매몰중기 (매몰경과 20개월)에서 매몰초기 (매몰경과 5개월) 자료에 비하여 EC, DO, $HCO_3{^-}$, TOC, T-N 과 $SO_4{^{2-}}$ 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16S rRNA방법을 이용한 침출수의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매몰초기에 Lysinibacillus sphaericus, Bacillus pumilus, Pseudoclavibacter helvolus, Pseudochrobactrum saccharolyticum 과 Corynebacterium callunae 이 동정되었으며, 매몰중기에는 Bacillus cereus, Lysinibacillus sphaericus, Bacillus circulans 과 Corynebacterium glutamicum이 검출되었고, Bacillus cereus, Lysinibacillus sphaericus과 같은 병원성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가축매몰지로부터 형성되는 침출수에 대한 지질 매체 내에서의 거동특성, 처리 및 위해성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achate and the bacteria existence in leachate using molecular biology methods for 4 animal carcass disposals on the disposal lapse time was analyzed. The result of leachate physicochemical analysis in the middle stage (been buried 20 months) show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를 대상으로 매몰시간의 경과에 따른 침출수의 물리 · 화학적 특성 변화와 유해 미생물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 이를 통하여 가축 매몰에 따라 발생되는 침출수내 유해 미생물의 종류와 특성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환경위해성평가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가축 매몰지 사후관리기법 정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축 매몰지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내 유해 미생물에 관한 연구의 국내외 사례는 무엇인가? 특히 침출수내 존재하는 유해 미생물은 미량 존재에도 불구하고 인간 및 가축이 섭취시 추가적인 질병이 발생할 수 있어 가축 매몰지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내 유해 미생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가축 매몰지 침출수내 미생물에 관한 국외 연구는 유출 확산평가(Ritter and Chirnside, 1995), 위해성에 관한 연구(Davies and Wray, 1996; Turnbull, 2001) 등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국내에서는 Kim et al. (2010)이 가축 매몰지 주변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도 평가를 통하여 매몰지 주변의 지하수에서 매몰지 기원으로 예상되는 바실러스균속(Bacillus)을 발견하였으며, Kang et al. (2012)은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에 대한 유기물질 성상분석, 물리적 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매몰경과에 따른 침출수내 일반세균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침출수내 유기물의 기원을 조사하였다. Choi et al.(2013)은 침출수의호기성 미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매몰지내에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악취제거목적으로 주입 가능한 EM(effective microorganisms)미생물이 아닌 가축사체에서 유래된 Bacillus pumilus, Lysinibacillus sphaericus 및 Bacillus sphaericus 등이 동정한 것이 전부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를 대상으로 매몰시간의 경과에 따른 침출수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와 유해 미생물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가축 매몰지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내 유해 미생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매몰처리는 가축사체의 부패에 따른 침출수로 인해 토양, 지하수 및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고, 사후환경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2차 환경 오염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침출수내 존재하는 유해 미생물은 미량 존재에도 불구하고 인간 및 가축이 섭취시 추가적인 질병이 발생할 수 있어 가축 매몰지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내 유해 미생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가축 매몰지 침출수내 미생물에 관한 국외 연구는 유출 확산평가(Ritter and Chirnside, 1995), 위해성에 관한 연구(Davies and Wray, 1996; Turnbull, 2001) 등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국내에서는 Kim et al.
16S rRNA방법을 이용한 침출수의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는 어떠했는가? 침출수에 대한 물리화학적 분석 결과, 매몰중기 (매몰경과 20개월)에서 매몰초기 (매몰경과 5개월) 자료에 비하여 EC, DO, $HCO_3{^-}$, TOC, T-N 과 $SO_4{^{2-}}$ 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16S rRNA방법을 이용한 침출수의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매몰초기에 Lysinibacillus sphaericus, Bacillus pumilus, Pseudoclavibacter helvolus, Pseudochrobactrum saccharolyticum 과 Corynebacterium callunae 이 동정되었으며, 매몰중기에는 Bacillus cereus, Lysinibacillus sphaericus, Bacillus circulans 과 Corynebacterium glutamicum이 검출되었고, Bacillus cereus, Lysinibacillus sphaericus과 같은 병원성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가축매몰지로부터 형성되는 침출수에 대한 지질 매체 내에서의 거동특성, 처리 및 위해성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bbey, N. and Mark, S. (2004) Carcass disposal: a comprehensive review. National Agricultural Biosecurity Center Consortium USDA APHIS Cooperative Agreement Project Carcass Disposal Working Group, p.1-12. 

  2. Choi, N.C., Choi, E.J., Kim, B.J., Kim, S.B., Park, J.A. and Park, C.Y. (2013) Characterization of water quality and the aerobic bacterial population in leachate derived from animal carcass disposal. The J. Eng. Geol., v.23(1), p.37-46. 

  3. Davies, R.H. and Wray, C. (1996) Seasonal variations in the isola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Bacillus ce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from environmental samples, J. Prev. Vet., v.43(2), p.119-127. 

  4. Division of Enteric Bacterial Infections, Division of Enteric and Hepatitis viruses (2007) Division of Malaria and Parasitic Diseases. Surveillance Network of Water-borne and Food-borne disease. 1th ed. Seoul; Center for Infectious Diseases,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p.7-31. 

  5. Engel, B.A., Lim, K.J., Choi, J.Y. and Theller, L. (2004) Evaluating environmenal impacts. Carcass Disposal: A Comprehensive Review. National Agricultural Biosecurity Center Consortium USDA. Kansas State University. 

  6. Fernandes, C.F., Flick, G.J., Cohen, J. and Thomas, T.B. (1998) Role of organic acids during processing to improve quality of channel catfish fillets. J. Food Prot., v.61, p.495-498. 

  7. Granum, P.E. (2001) Bacillus cereus. In: Food Microbiology. Fundamentals and Frontiers, 2nd Ed. (Doyle, M.P., Beuchat, L.R., Montville, T.J. eds.) ASM Press, Washington, D.C. p. 373-381. 

  8. Ita, P.S. and Hutkins, R.W. (1991) Intracellular pH and survival of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in trypic soy broth containing acetic, lactic, citric and hydrochloric acid. J. Food Prot., v.54, p.15-19. 

  9. Kang, M., Kim, M.S., Choi B.W. and Sohn, H.Y. (2012) Organic matter analysi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achate from a foot-and-mouth disease landfill sit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v.40(2), p128-134. 

  10. Kim, D.J., Kwon, O.J. and Byun, M.W. (1997) Combination effects of benzoate, sorbate and pH for control of Escherichia coli O157:H7. J. Food Hyg. Saf., v.12, p.200-204. 

  11. Kim, E. S., Hong, S. W. and Chung, K.S.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Intestinal Tract of Earthworm (Eisenia fetida) using DGGE and Pyrosequencing.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v.39(4), p.374-381. 

  12. Kim, K.H., Kim, K.R., Kim, H.S., Lee, G.T. and Lee, K.H. (2010) Assessment of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at two animal carcass disposal sites. Korean J. Soil Sci. Fert., v.43(3), p.384-389. 

  13. Kramer, J.M. and Gi1bert, R.J. (1989) Bacillus cereus and other Bacillus species ln Food borne Bacterial Pathogens. Marcel Dekker Inc., London. p.21-70. 

  14. MAF Biosecurity Authority, (2005) Construction specifications for carcass burial facilities. p.1-8. 

  15. Marinda, C.O, Bridgitta, S., Jacques, T., Pascal C., Denise L., Alexander V.H. and Volker S.B. (2002) Proteomic analysis reveals differential protein expression by Bacillus cereus during Biofilm formation. Appl. Environ. Microbiol., v.68, p.2770-2780. 

  16. Masuda, S., Hara-Kudo, Y. and Kuagai. S. (1998) Reduction Escherichia coli O157:H7 population in soy sauce, a fermented seasoning. J. Food Prot., v.61, p.657-661. 

  17. Monika, E.S., Fricker, M. and Scherer, S. (2004) Bacillus cereus the causative agent of an emetic type of foodborne illness, Mol. Nutr. Food Res., v.48, p.479-487. 

  18. Oh, D.H. and Marshall, D.L. (1994) Enhanced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glycerol monolaurate with organic acids. J. Food Sci., v.59, p.1258-1261. 

  19. Rice, K.M. and Pierson, M.D. (1997) Inhibition of Salmonella by sodium nitrite and potassium sorbate in frankfurters. J. Food Sci., v.47, p.1615-1617. 

  20. Ritter, W.F. and Chirnside, A.E.M. (1995) Impact of dead bird disposal pits on ground-water quality on the Delmarva Peninsula. Bioresour Technol., v.53, p.105-111. 

  21. Ryu. J.H. and Beuchat, L.R. (2005) Biofilm formation and sporulation by Bacillus cereus on a stainless steel surface and subsequent resistance of vegetative cells and spores to chlorine, chlorine dioxide, and a peroxyacetic acid-based sanitizer. J. Food Prot., v.68, p.2614-2622. 

  22. Turnbull, P. (2001) Guidelines for the surveillance and control of anthrax in humans and animals, 3rd Edi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p.13. 

  23. Yonng, K.M. and Foegding, P.M. (1993) Acetic, lactic, citric acid and p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and the effect on intracellular pH. J. Appl. Bacteriol. v.74, p.515-5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