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사진측량에 의한 암석의 절리면 거칠기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of Rock Joint Roughness Using the Digital Photogrammetry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2 no.6 = no.101, 2012년, pp.438 - 448  

서현교 (부경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엄정기 (부경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암석 절리면의 거칠기 측정을 위하여 범용의 일안반사식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측량의 방법론 및 적용성을 고찰하였다. 암석 절리면에 대한 사진측량 및 레이저 프로파일러에 의한 측정을 통하여 다양한 이차원적 거칠기 단면을 구성하고 통계적 거칠기 파라미터를 산정한 결과 디지털 사진측량이 레이저 프로파일러에 비하여 거칠기를 과소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칠기의 정도에 따른 거칠기 파라미터의 변화양상은 두 측정법에서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카메라의 촬영방향은 거칠기 측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디지털 사진측량은 현장에서 비교적 큰 제약 없이 저비용으로 다양한 규모의 거칠기를 측정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pplicability of the digital photogrammetry technique for measurement of rock joint roughness is addressed in this study using the DSLR camera. Measurements of roughness were performed for two rock joint specimens using the laser profiler and the digital photogrammetry technique. The statistical 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사진측량 및 레이저 프로파일러에 의해 추출된 거칠기 단면에 대하여 통계적 거칠기 파라미터를 산정하고 두 측정방법에 의한 결과가 제시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사진촬영 조건이 측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레이저 프로파일러를 이용하여 측정한 절리면 거칠기를 기준으로 사진측량에 의한 절리면 거칠기를 비교함으로서 거칠기 연구를 위한 사진측량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 사용된 암석 시료는 국내에 널리 분포하는 화강암이다.
  • 예로서 측점 간의 간격이 10 mm 정도로 큰 경우라고 가정 하면 레이저 프로파일러나 사진측량에 의한 방법 모두 매우 평탄한 절리면에 해당하는 거칠기 파라미터 값을 도출할 것이다. 이 연구는 사진측량 기법이 가질 수 있는 문제점 및 현장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자하며 측점 간의 거리에 의한 거칠기 값의 변화에 관계된 사항은 논외로 한다.
  • 이 연구는 암석 절리면의 거칠기 측정을 위하여 범용의 일안반사식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측량의 방법론 및 적용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암석 절리면에 대한 거칠기 측정이 사진측량 및 레이저 프로파일러를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절리 거칠기 면에 대한 각각의 수치표고모델로부터 다양한 거칠기 정도를 갖는 거칠기 단면이 추출되었다.
  • 이 연구에서는 카메라의 촬영방향과 절리면의 수직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40° 이내로 제한하고 이에 따른 거칠기 파라미터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 8에 나타난 GR-2의 결과에서도 디지털 사진측량에 의한 거칠기 값이 레이저 프로파일러에 의한 거칠기 값보다 전체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지만 거칠기의 정도에 따른 파라미터의 변화양상은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범용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근접사진측량이 미세 거칠기의 진폭 또는 기울기를 레이저 프로파일러 만큼의 정밀도로 고려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디지털 사진측량이 거칠기의 측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시한다.

가설 설정

  • 측점 간의 간격이 거칠기 파라미터 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기존에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논의된 바 있으며(Seo and Um, 2012), 간격이 커질수록 두 방법에 의한 결과가 더욱 일치할 것으로 사료된다. 예로서 측점 간의 간격이 10 mm 정도로 큰 경우라고 가정 하면 레이저 프로파일러나 사진측량에 의한 방법 모두 매우 평탄한 절리면에 해당하는 거칠기 파라미터 값을 도출할 것이다. 이 연구는 사진측량 기법이 가질 수 있는 문제점 및 현장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자하며 측점 간의 거리에 의한 거칠기 값의 변화에 관계된 사항은 논외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레이저 프로파일러의 단점은 무엇인가? , 2012), 라이더(Kim and John, 2009) 등을 이용한 거칠기 측정 방법으로 암석 절리면의 표고가 측정되었다. 이들 중 레이저 프로파일러가 고해상도로 비교적 정밀하게 암석표면의 형상화 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내실험실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는 점과 장비가 고가라는 점으로 인하여 현장 기술자들은 현재에도 프로파일게이지를 이용한 JRC에 의한 거칠기 정량화를 선호하는 실정이다.
암석 절리면 거칠기는 무엇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가? 암석 절리면 거칠기는 암반의 강도 및 변형, 수리학적 특성, 파괴 거동 등을 좌우하는 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절리면 거칠기가 암반의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며 현재에도 암석 절리면의 거칠기는 암반공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픅점 간의 간격이 0.5mm인 거칠기 단면에 대하여 통계적 거칠기 파라미터를 산정한 결과 디지털 사진 측량이 거칠기를 과소평가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5 mm인 거칠기 단면에 대하여 통계적 거칠기 파라미터를 산정한 결과 디지털 사진 측량이 거칠기를 과소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범용의 디지털카메라와 렌즈를 사용한 사진측량이 미세 거칠기의 진폭 또는 기울기를 레이저 프로파일러의 정밀도로 고려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K. Y. and C. I. Lee, 2002, Development of a 3D roughness measurement system of rock joint using laser type displacement meter,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12, pp. 268-276. 

  2. Barton, N., 1973, Review of a new shear strength criterion for rock joints. Engrg. Geology, Vol. 7, pp. 287-332. 

  3. Barton, N. and V. Choubey, 1977, The shear strength of rock joints in theory and practice, Rock Mechanics (Springer-Verlag), Vol. 10, pp. 1-54. 

  4. Brandow, V. D., H. M. Karara, H. H. Damberger and H. F. Krausse, A non-metric close-range photogrammetric system for mapping geologic structures in mine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43, 1976, pp. 637-648. 

  5. Brown, S. R. and C. H. Scholz, 1985, Broad band width study of the topography of natural rock surfaces, J. Geophys. Res. 90, pp. 12575-12582. 

  6. Franklin, J. A, N. H. Maerz and C. P. Bennett, 1988, Rock mass characterization using photoanalysis, Int. J. Min. & Geo. Engrg., Vol. 6, pp. 97-112. 

  7. Hagan, T. O., 1980, A case for terrestrial photogrammetry in deep-mine rock structure studie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Vol. 17, pp. 191-198. 

  8. Hong, E.S., J. G. Lee, J. S. Lee and I. M. Mo, 2006, application of new measurement method for improvement of rock joint roughness underestimation, J.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6, pp. 133-142. 

  9. Huang, S. L., S. M. Oelfke and R. C. Speck, 1992, Applicability of fractal characterization and modeling to rock joint profile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Vol. 29, pp. 89-98. 

  10. Jang, B. A., T. H. Kim and H. S. Jang, 2010, Characterization of the three dimensional roughness of rock joints and proposal of a modified shear strength criterio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0, pp. 319-327. 

  11. Jermy, C. A., 1995, A Laser Scanning Device to Measure Joint Surface Roughness, Proc. Int. Conf. on Mech. of Jointed and Faulted Rock, Rossmanith P.(Ed.), Balkema, pp. 169-174. 

  12. Jung, C. Y. and H. D. Park, 2003, DEM generation of rock slope using laser scanning and digital stereo photogrammetry,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13, pp. 207-214. 

  13. Kim, C. H. and K. John., 2009, Measurement of joint roughness in large-scale rock fracture using LIDAR,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19, pp. 52-63. 

  14. Kulatilake P. H. S. W., G. Shou, T.H Huang and R.M Morgan, 1995, New peak shear strength criteria for anisotropic rock joint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Vol. 32, pp. 673-697. 

  15. Lee, S. D., C. I. Lee and Y. Park, 1997, Characterization of Joint Profiles and Their Roughness Parameters, Int. J. Rock Mech. Min. Sci., Vol. 34(3-4), Paper No. 174 

  16. Lee Y. H., J. R. Carr, D. J. Barr and C. T. Haas, 1990, The fractal dimension as a measure of the roughness of rock discontinuity profile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Vol. 27, pp. 453-464. 

  17. Park, J. W., Y. K. Lee, J. J. Song and B. H. Choi, 2012, A new coefficient for three dimensional quantification of rock joint roughness,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22, pp. 106-119. 

  18. Ryu, D. W,. Lee, Y. R., Chang, Y. S, Lee, H. K. and Park, H. K., 2000, Rock joint survey system by image processing and stereophotogrammetry,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10, pp. 329-343. 

  19. Seo, H. K. and J. G. Um, 2012, Generation of roughness using the random midpoint displacement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quantification of joint roughness,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22, pp. 196-204. 

  20. Swan, G., 1983, Determination of stiffness and other joint properties from roughness measurements. Rock Mech. & Rock Engrg., Vol. 16, pp. 19-38. 

  21. Tung, S. H., M. H. Shih and J. C. Kuo, 2009, Evaluation of the joint roughness coefficient using the digital image correction method, Proceedings of the Twel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ivil,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Computing, B.H.V. Topping, L.F. Costa Neves and R.C. Barros, (Editors), Civil-Comp Press, Stirlingshire, Scotland, Paper 229. 

  22. Yeu, B. M, U. Y. Park and I. T. Yang, 1983, Theoretical research on potogrammetric dip and strike determination of inclined surfaces, J.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 pp. 129-1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