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환경 중 프탈레이트 및 디에틸헥실아디페이트 잔류분포 특성
Distribution Levels of Phthalates and Di-2-ethylhexyladipate in Domestic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3 no.4, 2012년, pp.411 - 418  

신혜승 (한경대학교 한경분석센터) ,  신정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센터) ,  안윤경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thalates and di-2-ethylhexyladipate are both widely used as industrial chemicals and exposure high levels over long periods of time can cause toxicity, estrogenic responses and endocrine disruption properties in both humans and animals. So far, their global monitoring in environmental matrices h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하천수, 토양 및 저질에서의 프탈레이트류와 디에틸헥실아디페이트의 계절별 잔류 분포 특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시료 매질별 프탈레이트류와 디에틸헥실아디페이트의 동시 분석은 일본의 SPEED98과 미국 EPA 방법을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모든 시료는 적정한 수준의 정도관리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 2010). 본 연구에서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프탈레이트 8종인 DEP(diethyl), DEHP(di-[2-ethyl-hexyl]), DprP(di-propyl), DBP(di-n-butyl), DPP(di-n-pentyl), DHP(di-n-hexyl), DCHP(di-cyclohexyl), BBP(butyl benzyl)와 adipate(di-2-ethylhexyl adipate)에 대하여 일본 SPEED98과 미국 EPA 방법을 활용, 보다 신속하고 간편한 수정된 분석법을 확립하였고 계절별로 하천수, 토양, 저질 시료를 대표적인 지점에서 채취하여 환경 중의 이들 잔류 농도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프탈레이트류의 환경 내 거동을 예측하고 오염된 지역의 복원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탈레이트와 디에틸헥실아디페이트의 사용 분야는? 프탈레이트(Phthalate acid esters, PAE)와 디에틸헥실아디페이트는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써 PVC resin, 접착제, 셀룰로스 필름의 코팅을 위한 가소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 화장품, 벌레 퇴치제, 발사화약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Peakall 1975). 대량으로 생산되어 사용되고 있는 이 물질은 년 간 수백만톤에 추정되는 양이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어 환경 중에 노출되고 있으며 쓰레기 매립지, 공업지대의 폐수처리장, 소각로 등의 경로를 통하여 수질, 토양, 저질, 대기 등으로 유입되게 된다(Clark et al.
액체추출방법으로 사용되는 방법 두 가지는? 이에 따라 매질별 프탈레이트류에 대한 감도 높고 신뢰성 있는 분석이 요구되어 진다. 액체 시료의 전처리로는 추출과 농축과정이 필요하고 추출방법으로는 액-액 추출법(liquid-liquid extraction)과 고상추출방법(solid-phase extraction)이 폭넓게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EPA를 비롯한 공인 분석법이 대부분은 이와 같은 방법을 따른다(Cai et al. 2007; Niu et al.
내분비계 장애물질 중 프탈레이트류에서 US Clean Water Action에서 독성물질로 규정한 프탈레이트 류는? 2006). 미국의 US Clean Water Action에 의하면 프탈레이트류 중 Dibutyl phthalate(DBP), Diisobutyl phthalate(DIBP), Butyl benzyl phthalate(BBP), Di-n-pentyl phthalate (DnPP), Di(2-ethylhexyl) phthalate(DEHP), Di-n-octyl phthalate(DOP), Diisononyl phthalate(DNP), Diisodecyl phthalate(DDP) 등을 주 독성물질로 규정하고 있고 있으며 또한 세계보건협회(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그 위험성으로 인하여 식수 중 DEHP 농도를 8 ng/mL로, 미국 EPA에서는 6 ng/mL의 최대허용치를 두고 있으며 0.6 ng/mL를 권고치로 두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Elshahed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dersson E(2005) Hazardous substanc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EEE) - expanding the scope of the RoHS directive; Gooteborg University, Sweden & Swedish Chemicals Inspectorate. 

  2. Cai QY, Mo CH, Wu QT, Zeng QY, Katsoyiannis A(2007)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organic priority pollutants in the composts of sewage sludge with rice straw by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A. 1143, 207-214. 

  3. Chen CW, Chen CF, Dong CD(2011) Distribution of Phthalate Esters in Sediments of Kaohsiung Harbor, Taiwan Soil and Sediment Contamination: Chia-Nan Annual Bulletin 37, 88-95. 

  4. Clark K, Cousins I, Mackay D, Yamada J(2003) Observed concentrations in the environment. The Handbook of Environmental Chemistry: Phthalate Esters. vol. 3, part Q. Staples CA, ed. Berlin, Germany: Springer-Verlag. 125-177. 

  5. Elshahed MS, Gieg LM, Mcinerney MJ, Suflita JM(2001) Signature metabolites attesting to the in situ attenuation of alkylbenzenes in anaerobic environments. Environ Sci Technol. 35(4), 682-639. 

  6. Liu WL, Zhang CB, Zhang Z(2011) Distribution of Phthalate Esters in Soil of E-waste Recycling Sites in China. Global Chinese Scientists Environmental Protection Forum http://zt.cast.org.cn/n12603275/n12603449/12988343.html 

  7. Martendal E, Carasek E(2011) A new approach based on a combination of direct and headspace cold-fiber solid-phase microextraction modes in the same procedure for the determin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phthalate esters in soil samples. J Chromatogr A. 1218(13), 1707-1714. 

  8. Niu Z, Ye X, Fang L, Xue Q, Sun Z(2006) Determination of phthalic acid esters in textiles by solid phase extraction-gas chromatography. Chinese journal of chromatography 24(5), 503-507. 

  9. Oh BS, Jung YJ, Oh YJ, Yoo SY, Kang JW(2006) Application of ozone, UV and ozone/UV processes to reduce diethyl phthalate and its estrogenic activit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67(31), 681-693. 

  10. Peakall DB(1975) Phthalate esters: occurrence and biological effects. Residue Rev. 54, 1-41. 

  11. Rios JJ, Morales A, Marquez-Ruiz G(2010)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of oil matrices heated at high temperature and phthalate esters determination by gas chromatography multistage mass spectrometry. Talanta 80(5), 2076-2082. 

  12. Silva MJ, Barr DB, Reidy JA, Malek NA, Hodge CC, Caudill SP, Brock JW, Needham LL, Calafat AM(2004) Urinary levels of seven phthalate metabolites in the U.S. population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nviron Health Perspect. 112(3), 331-338. 

  13. Staples CA, Peterson DR, Parkerton TF, Adams WJ(1997) The environmental fate of phthalate esters: a literature review. Chemosphere 35(4), 667-749. 

  1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2012) Phthalates Action Plan, Law & Regulations, Introduction to Water Policy Standards,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15. Van WAP, Vlaardingen P, Posthumus R, Crommentuijn GH, Sijm DT(2000) Environmental risk limits for two phthalates, with special emphasis on endocrine disruptive properties. Ecotoxicol Environ Saf. 46(3), 305-21. 

  16. Wang H, Wang C, Wu W, Wang Z(2002)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in surface sediments of Donghu Lake, Wuhan, Hubei, China. J Environ Sci Health A Tox Hazard Subst Environ Eng. 37(4), 499-507. 

  17. WHO (2003)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third ed.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18. Xia X, Yang L, Bu Q, Liu R(2011) Levels, distribution, and health risk of phthalates esters in urban soils of beijing, China. J Environ Qual. 40(5), 1643-1651. 

  19. Yuan SY, Liu C, Liao CS, Chang BV(2002) Occurrence and microbial degradation of phthalate esters in Taiwan river sediments. Chemosphere 49(10), 1295-12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