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거 2000년간 서울 및 수도권에서 발생한 피해 지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Damaging Earthquakes Occurr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for the Last Two Thousand Year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3 no.7, 2012년, pp.637 - 644  

경재복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일대는 우리나라 인구의 약 40%가 집중되어 갑작스럽게 닥치는 지진재해에 매우 취약한 곳이다. 역사문헌 분석에 의하면 과거 2000여 년간 서울 지역에서 발생한 피해 지진의 최대 크기는 MMI 진도 VIII-IX로 평가되며, 이들 지진으로 건물의 큰 흔들림, 담장과 성첩의 붕괴, 민가 붕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서울 지역에서 MM 진도 VIII 이상의 피해지진은 1세기(A.D. 27년, 89년)에 2회 발생하였으며, 약 1430여년의 긴 휴지기 후 16-17세기(1518년, 1613년, 1692년)에 다시 3회 발생하였고, 그 후 현재 까지 휴지기 상태이다. 1518년 서울 지진(진도 VIII-IX)시에는 약 19일에 걸쳐 24회 이상의 여진이 발생하였으며, 서울 인접 지역과 황해도 지역에도 20여 일간에 걸쳐 많은 유발지진을 발생시켰다. 역사문헌에 근거한 서울 지역의 발생 가능한 최대 피해 지진은 진도 VIII-IX 이며 이러한 지진의 발생은 약 1400-1500여년의 긴 간격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densely populated with 40 percent of Korean people and quite weak to the seismic haza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historical documents, the largest earthquake occurred in this area is MMI VIII-IX acompanying with a large shaking, collapse of stone walls, collaps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피해 지진의 발생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역사문헌 자료에 기초하여 좀 더 상세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A.
  • 27년과 89년에 발생한 지진은 역사문헌인 三國史記에 간단하게 기술되어 있어 이 지진과 관련된 지진발생 특성을 분석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발생한 1518년 지진에 대해서는 관변사료와 민간사료에 당시 상황이 기록되어 있어 어느 정도 지진학적인 특성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여 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역사지진 자료에 대하여 위에 언급한 관변 사료 뿐 만 아니라 민간사료(e.g., 申用漑의 二樂亭集, 金安老의 龍泉談寂記 등)도 발췌하고 상세한 검증을 통해 서울 및 수도권 일대 발생한 피해 지진들에 대하여 보다 객관적인인 지진학적 해석을 하고자 노력하였다.
  • 본 연구는 인구와 시설물의 밀집도가 높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서 과거 2000여 년간 얼마나 큰 피해지지진이 발생해 왔으며, 각 지진의 지진학적인 발생 특성은 어떠하였는지를 각종 역사 문헌 및 계기지진 자료를 통해 그 특성을 분석, 평가하고자 하였다.
  • 이들 자료에 기초하여 서울에서 발생한 지진의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 자료의 분석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지진 자료의 분석에는 대도시의 주요 시설물, 지하철, 교량, 파이프라인 등 구조물의 지진 안전성 확보, 내진설계, 장·단기 지진 예지를 위해서 역사 시대 이전의 고지진, 역사 시대의 역사지진, 관측 기록에 의한 계기지진 자료의 확보와 정량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특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일대는 인구가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아파트, 건물 등 주요 시설물들의 밀집도가 높아 큰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그 피해가 예상을 뛰어넘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우리나라의 지진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일본이나 중국 서부 등 판 경계지역과 달리 판 내부에 위치하여 이들 지역에 비해 지진학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지진활동이 시공간적으로 불규칙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적인 지진 방재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과거 발생한 지진자료에 대한 상세한 조사와 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수도권 피해지진의 진도 평가, 최대 지진의 크기, 장기적인 발생특성, 각 피해지진의 발생 특성 및 유발지진에 관해 정리한 내요은 무엇인가? 1. 서울 지역에 발생하는 과거 최대 피해 지진의 크기는 MMI 진도 VIII-IX 이었으며, 건물이 크게 흔들리고, 담장과 성첩 붕괴, 민가 붕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2. 서울 지역 피해지진은 1세기(A.D. 27년, 89년)와 16-17세기(1518년, 1613년, 1692년)에 발생하여 약 1400-1500년의 매우 긴 발생간격을 나타내며, 현재는 휴지기 상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판 경계부 지진의 규칙성과 달리 판 내부 지진의 불규칙적인 발생특성으로 인하여 휴지기 상태 얼마나 지속될 수 있는지는 현재까지의 자료로는 추정하기 어렵다. 3. 1518년 6월 22일 서울 지진(MM 진도 VIII-IX)은 8도에서 감진되고, 발생 직 후 약 19일간 24회 이상의 여진이 서울 지역에서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약 21일간에 걸쳐 십 수 차례의 유발지진으로 추정되는 지진이 경기도와 황해도 일대에서 발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nderson, J.G., Brune, J.N., Louie, J.N., Zeng, Y., Savage, M., Yu, G., Chen, Q., and DePolo, D., 1994, Seismicity in the western Great Basin apparently triggered by the Landers, California, earthquake 28 June 1992.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84, 863-891. 

  2. Brodsky, E.E., Karakostas, V., and Kanamori, H., 2000, A new observation of dynamically triggered regional seismicity: Earthquakes in Greece following the august, 1999 Izmit, Turkey earthquak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7, 2741-2744. 

  3. Gomberg, J. and Bodin, P., 1994, Triggering of the $M_s$ 5.4 Little Skull Mountain, Nevada, earthquake with dynamic strain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84, 844-853. 

  4. Hough, S.E., 2001, Triggered earthquakes and the 1811- 1812 New Madrid, central United States, earthquake sequence.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6, 1574-1581. 

  5. Jun, M.-S. and Jeon, J.-S., 2001, Early instrumental earthquake data (1905-1942) in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6, 573-581 (in Korean). 

  6.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KIER), 1983, Seismic risk map of Korea. 263 p. (in Korean) 

  7.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KINS), 1998, Evaluation and cataloging of Korean historical earthquakes. 167 p. (in Korean) 

  8.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KMA), 2001, 1978-2000 Earthquake observation report, 166 p. (in Korean) 

  9.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KMA), 2001-2011, Seismological annual report. (in Korean) 

  10. Kyung, J.B., 2011, Korean historical earthquake catalogue and DB (III).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643 p. (in Korean) 

  11. Lee, K., 1998, Historical earthquake data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1, 3-22. (in Korean) 

  12. Lee, K., 2005, Description catalogue of damages by historical earthquakes in Korea.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185 p. (in Korean) 

  13. Lee, K. and Jung, H.-O., 1980, A study of instrumental earthquake data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6, 32-45. 

  14. Lee, K. and Yang, W., 2006, Historical seismicity of Korea.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6, 846-855. 

  15. Meltzner, A.J. and Wald, D.J., 2003, Aftershocks and triggered events of the great 1906 California earthquake.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3, 2160-2186. 

  16. Wada, Y., 1912, A survey of Korean ancient and recent earthquakes, report of the study of Korean ancient observations. Meteorological Obsevatory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79-105.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