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단용 X선 발생장치의 성능 측정
Performance Measurement of Diagnostic X Ray System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6 no.6, 2012년, pp.447 - 454  

유인규 (한서대학교 보건의료학과) ,  임청환 (한서대학교 보건의료학과) ,  이상호 (서남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만구 (원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진단용 X선 발생장치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해 직선성(Linearity), 재현성(reproducibility) 및 반가층(Half Value Layer; HVL)을 실험하였다. 직선성(Linearity)은 설정된 조사조건으로 한 장비 당 4회씩 조사하여 측정된 선량을 기록하고 mR/mAs를 구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값이 0.1을 초과하면 직선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재현성(Reproducibility)은 80kVp, 200mA, 20mAs와120kVp, 300mA, 8mAs의 조건으로 10회 조사하여 변동계수(CV) 공식에 대입하여 측정한 값이 0.05안에 포함되면 양호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가층(Half Value Layer: HVL)은 filter가 없을 때 설정된 조건으로 3회 조사하여 측정한 후 부가필터용 반가층 물질로 사용하여 필터의 두께를 0, 1, 2, 4 mm로 바꾸어 가며 부가필터가 없을 때의 $\frac{1}{2}$이하인 측정값이 나올 때 까지 측정한다. 현재 본원에서 사용하는 진단용 X선 발생장치 5대를 대상으로 직선성, 재현성, 반가층을 측정한 결과 직선성은 1번 장비에서는 300mA~400mA, 5번 장비에서는 100mA~200mA 부근에서 양호하지 않았으며, 반가층 측정에서는 80kVp 측정치에서 1번 장비에서 검사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출력은 단상에 비해 삼상장치가 높게 나왔다. 실험을 통하여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정기적인 장비관리와 노후 된 장비의 교환 등이 이루어진다면 장비 사용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방사선 피폭선량을 줄임과 동시에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정확한 진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a diagnostic X-ray system, we tested a linearity, reproducibility, and Half Value Layer(HVL). The linearity was examined 4 times of irradiation with a given condition, and we recorded a level of radiation. We then calculated the mR/mAs. And the measured value should n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전압(kVp)과 mAs를 일정하게 하고 관전류(mA)와 조사시간(sec)을 변경시켜 발생되는 선량을 측정하고, 그 각각의 조건에서 일정한 선량이 나오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정기검사를 통과한 CR과 DR 인버터식 X선 발생장치를 정류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진단의 화질을 좌우하는 X선 장치의 출력과 선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FDA에 의해 규정된 출력의 직선성은? 출력의 직선성(Linearity)은 미국의 FDA의 규정에 의하면 “이웃하는 관전류 조정단계 사이에 mAs에 대한 선량이 ±10%(직선성: 0.1)이내에 일치하여야 한다”로 규정되어 있고, 진단용 X선 발생장치의 검사항목에는 직선성에 대한 검사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한국공업규격(KS)에는 출력의 직선성을 이웃하는 설정치에서의 직선성으로 나누어 규정하고 있다[7]. 
진단용 X선 발생기기에 요구되는 조건은? 진단용 X선 발생기기는 인체 각 부위의 X선 투과와 촬영 시 최소한의 피폭량으로 정확한 진단을 하기위한 순시 대전력 발생기와 고밀도 에너지, 고내구성, 재현성 및 정밀한 제어성 등의 조건이 요구된다. 그러나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동일한 인버터식 X선 장치라도 설치 조건과 사용 년수 등에 따라서 출력과 선명도의 차이가 있고, X선상의 화질과 환자의 피폭선량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5].
진단용 X선 발생장치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한 본 연구의 직선성 실험결과는? 본 연구는 진단용 X선 발생장치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해 직선성(Linearity), 재현성(reproducibility) 및 반가층(Half Value Layer; HVL)을 실험하였다. 직선성(Linearity)은 설정된 조사조건으로 한 장비 당 4회씩 조사하여 측정된 선량을 기록하고 mR/mAs를 구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값이 0.1을 초과하면 직선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재현성(Reproducibility)은 80kVp, 200mA, 20mAs와120kVp, 300mA, 8mAs의 조건으로 10회 조사하여 변동계수(CV) 공식에 대입하여 측정한 값이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anny Roman, "Radiology maintenance-circle of quality assurance" Jounal of Clinical Engineering. pp.413-418, 1993. 

  2. H. Hino, T. Hatakeyama, M. Nakaoka, "Resonant PWM inverter linked DC-DC converter using parasitic impendance of high-voltage tansforer and its applications to x-ray generator" PESC 188 Record 19th Annual IEEE,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erence. Vol. 66, No. 6, pp.969-983, 1989. 

  3. H. S. Kim, C. Y. Won, D. W. Yoo, S. W. Ha, "A study on High Power Resonant Converter for X-ray Generator", Proceedings of ICPE95, PP. 288-294, 1995. 

  4. 강영태. "High frequency방식 X선 장치의 특성" Image Research, Vol. 2, No. 3, pp.15-26, 1994. 

  5. 윤종섭, 김춘식, 고신관, "의료용 X선 장치의 유지 및 성능관리에 관한 검토",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제5권, 제1호., pp.2-26, 1992. 

  6. 황춘성, "X-선 발생장치의 출력특성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전기공학과, 석사학위논문, pp.33-35, 1999. 

  7. William M . Flanagan, Hand Book of Transformer Design and Applications, McGraw-Hill Inc, 1992. 

  8. Daneil A. Gollnick, "Experimental Radiological Health Physics, Pergamon Press", pp.135-140, 1978. 

  9. 김정민, "진단용 엑스선장치의 주기적 성능관리 방안." 식품의약품안전청, 방사선 보건 Newletter, Vol. 19, No. 1, pp.15, 2012. 

  10. 보건복지부령 제186호.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의 관한 규칙. 2001. 

  11. 보건복지부령 제234호.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의 관한 규칙. 2003. 

  12. 보건복지부령 제349호.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의 관한 규칙. 2006. 

  13. 강병삼 외, "수도권지역 일반촬영 장비의 정도관리 분석". 방사선기술과학회지, Vol. 35, No. 2, pp.93-101, 2012.. 

  14. 김병준, 박덕우, 정병훈. "일반 촬영 장비의 정도 관리 중요성을 위한 기준 평가 연구와 실태조사". 신구대학교 방사선기술과학, 제25호, pp. 109-116, 2010. 

  15. 임인철, 박주훈, 동경래, "병원규모별 진단용X선 발생장치의 성능 평가", 방사선방어학회지, 제34권, 제1호, pp. 31-36, 2009. 

  16. 강세식, "방사선기기 정도관리 및 실험", 정문각, 2000. 

  17. 보건복지부령 제349호.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의 관한 규칙(제4조 2항). 검사 및 측정항목. 2006. 

  18. 권대철, 동경래, 이선주, "1차 의료기관의 엑스선 발생장치 정도관리에 관한 현황조사", 방사선방어학회지, 제35권, 제1호, pp. 34-4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