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단용 X선 장치에서 방사선출력의 재현성 평가(IEC 60601-2-54 표준규격을 기반으로)
Evaluation of the Reproducibility of Radiation Output from Diagnostic X-ray Equipment(Standards Based on IEC 60601-2-54)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2, 2014년, pp.555 - 561  

한범희 (서남대학교 방사선학과) ,  정홍량 (한서대학교 보건의료학과) ,  임청환 (한서대학교 보건의료학과) ,  김종일 (전북대학교 방사선과학기술학과) ,  이상호 (서남대학교 방사선학과) ,  한상현 (서남대학교 방사선학과) ,  홍동희 (서남대학교 방사선학과) ,  김창규 (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  유인규 (한서대학교 보건의료학과) ,  모은희 (전북대학교 방사선과학기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총 5대를 대상으로 한 진단용X선발생장치(DR)는 IEC 60601-2-54 표준규격에서 제시한 방사선출력의 재현성 시험에서 4대가 적합으로 나타났으며, 다만 1대의 X선 장치에서 C Group의 시험 설정인 진단용X선장치의 최고 관전압의 50%와 관전류 시간 곱(mAs)이 $1{\mu}Gy$에서 $5{\mu}Gy$ 사이의 인가출력량의 조합으로 측정한 항목에서 부적합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방사선량을 정량화하기 위한 표준으로 IEC 60601-2-54 표준규격에서 제시한 방사선출력의 재현성이 진단용 X선 영상장치 성능관리에 중요한 평가 요소임을 인식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five diagnostic X-ray generators (DR), four units turned out to be appropriate in tests on the reproducibility of radiation output suggested in the IEC 60601-2-54 standard, but in one unit of the X-ray equipment, an item measured in a combination of 50% of the highest tube voltage of the diagn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방사선 진단 부문의 활성화로 인해 각종 X선 장치의 적용과 관련하여 의료현장에서 평상시의 작업 품질 유지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나, 한국산업규격에서는 그와 같은 현장 환경 변화의 필요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X선 장치와 그 장치를 사용하여 얻는 결과물에 대하여 현장 사용자에 의한 기능 및 성능 점검 방법을 규정함으로써 방사선 기기 자체의 품질 유지에 도움을 주며, 사용자 또는 환자들에게 미칠 수 있는 피해 또는 위험을 경감하고자 IEC 61223 시리즈를 한국산업규격으로 제정하였다[1].
  • 이는 상용부하조건에서 시험하는 방법과 차이가 있으며 시험항목 또한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IEC 60601-2-54 표준규격에서 제시한 시험 절차에 따라 방사선출력의 재현성 적합성을 평가하여 X선 장치의 성능평가의 신뢰성을 더욱 확보하고자 한다.
  • 이는 그동안 IEC 60601 Serises의 공동규격인 IEC 60601-1의 2판을 적용하였고, 본 논문은 IEC 60601-2-54 표준규격에서 제공된 방사선출력의 재현성 평가 방법이 출력선량 값을 1μGy에서 5μGy 사이에 나타나게 하여 낮게 유지하고 관전압(kVp)을 최고치과 최저치 및 최고 관전압의 50%와 최고 관전압의 80% 값으로 다양하게 설정하여 평가하는 시험방법으로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 화질은 X선 장치의 출력과 선질, 재현성(reproducibility) 및 직선성(liearity) 등에 의해서 좌우되며, 이러한 요소는 장시간 사용 시에도 연속적으로 그 특성이 재현될 수 있어야 한다[4]. 특히, X선의 재현성은 출력량의 일정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전압, 관전류, 조사시간, 거리 등 촬영에 관계되는 모든 기술인자들을 동일하게 하여 같은 조건에서 매번 측정한 결과치를 가지고 평가하는 것이다. 재현성은 현재 IEC 개별규격 중 IEC 60601-2-54 표준규격의 촬영 및 투시용 X선 장치의 기본 안전과 필수 성능에 관한 개별 요구사항에서 방사선출력의 재현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방법과 절차가 명시되어 있다[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방사선 진단 부문의 활성화로 인해 대두되고 있는 문제는? 최근 방사선 진단 부문의 활성화로 인해 각종 X선 장치의 적용과 관련하여 의료현장에서 평상시의 작업 품질 유지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나, 한국산업규격에서는 그와 같은 현장 환경 변화의 필요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X선 장치와 그 장치를 사용하여 얻는 결과물에 대하여 현장 사용자에 의한 기능 및 성능 점검 방법을 규정함으로써 방사선 기기 자체의 품질 유지에 도움을 주며, 사용자 또는 환자들에게 미칠 수 있는 피해 또는 위험을 경감하고자 IEC 61223 시리즈를 한국산업규격으로 제정하였다[1].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사용한 방사선출력의 재현성 평가 방식과 비교 분석하기에는 상당한 제한점이 있는 이유는? 101 항목은 촬영에서 방사선출력의 재현성에 대한 평가를 규정함으로써 장치의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더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6]. IEC 60601-2-54 표준규격에서 제시한 방사선출력의 재현성 시험방법은 출력선량 값을 1μGy에서 5μGy 사이에 나타나게 유지하고 관전압(kVp)을 최고치과 최저치 및 최고 관전압의 50%와 최고 관전압의 80% 값으로 다양하게 설정하여 평가하는 시험으로 검증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사용한 방사선출력의 재현성 평가 방식과 비교 분석하기에는 상당한 제한점이 있다. 기존의 방사선출력의 재현성 시험 평가는 관전압(kVp), 관전류(mA), 조사시간(sec), 촬영거리 등 임의로 일정한 발생조건에서 조사하였을 때 항상 같은 출력선량이 나타나도록 평가하는 방식으로 시험조건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IEC 60601-2-54 표준규격에서 제시한 방사선출력의 재현성 시험과 일반적인 방사선출력의 재현성의 평가 방법에서 많은 차이가 있는 이유는? IEC 60601-2-54 표준규격에서 제시한 방사선출력의 재현성 시험과 일반적인 방사선출력의 재현성의 평가 방법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이는 그동안 IEC 60601 Serises의 공동규격인 IEC 60601-1의 2판을 적용하였고, 본 논문은 IEC 60601-2-54 표준규격에서 제공된 방사선출력의 재현성 평가 방법이 출력선량 값을 1μGy에서 5μGy 사이에 나타나게 하여 낮게 유지하고 관전압(kVp)을 최고치과 최저치 및 최고 관전압의 50%와 최고 관전압의 80% 값으로 다양하게 설정하여 평가하는 시험방법으로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함께 방사선의 사용이 세계적으로 큰 관심이 대두되는 만큼, 방사선량에 대한 연구 및 관련 규격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IEC 61223-1 Evaluation and routine testing in medical imaging departments-Part 1 : General aspects, 2005. 09. 30 

  2. Kim Jung-Min, "Diagnostic X-ray equipment to keep th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Radiation Health Newsletter, Vol. 19, No. 1, pp. 15, 2012. 

  3. IEC 61223-2-11 Evaluation and routine testing in medical imaging departments-Part 2-11:Constancy tests-Equipment for general direct radiography, 09. 30, 2005. 

  4. Yoon Jung-Seop , Kim Choon-Sik, Ko Shin-Gwan, "Medical X-ray equipment on the management of the maintenance and performance review",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15, No. 1, pp. 25-26, 1992. 

  5. IEC 60601-2-54 Medical electrical equipment - Part 2-54: Particular requirements for the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of X-ray equipment for radiography and radioscopy, 01. 02, 2012. 

  6. Kim Hyun-Ji, Kim Jung-Min, Choi In-Seok, "Features and Trends of IEC Particular Standards for Medical Equipment Related to Diagnostic X-ray Based on IEC 60601-1:2005 Ed. 3.0",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6, No. 1, pp. 1-10, 2013. 

  7. Whang Choon-Sung, "A Study on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X-ray Generator",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Industry, Chosun University, pp. 33-35, 1999 

  8. Na Kil-Ju, "A Study on the Reproducibility of Exposure Doses and Half Value Layer by Shield for Medical X-ray Generator",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pp. 48-50, 2010. 

  9. Kwon Duk-Moon, " Investigation of Diagnostic X-ray Equipments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Collimator Using Laser", Department of Sensor and System Engineering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pp. 57-59, 2002. 

  10. Kang Byung-Sam, Lee Kang-min, Shim Woo-Yong, "Analyze for the Quality Control of General X-ray Systems in Capital region",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5, No. 2, pp. 93-101, 2012. 

  11. Dong Kyung-Rae, Lee Seun-Joo, Kweon Dae-Cheol, Goo Eun-Hoe, "Actual Condition of Quality Control of X-ray Imaging System in Primary Care Institution: focused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Vol. 35, No. 1, pp. 34-4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