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진강에 분포하는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잠재어획가능량 추정
Estimation of potential fishery yield for Corbicula japonica in the Seomjin River, Korea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8 no.2, 2012년, pp.91 - 99  

이재봉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신영재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이종희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최영민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이동우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차형기 (남서해수산연구소 아열대수산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 은 백합목 재첩과에 속하는 담수 및 기수역에 분포하는 소형 이매패류로서 사니질의 얕은 수심에서 서식한다. 섬진강 일본재첩의 어획량은 우리나라 재첩 총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하며, 경남지역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섬진강 일본재첩에 대한 정확한 어획 및 자원량에 관한 연구가 미미하여 과학적인 자원평가 및 관리방안 도출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섬진강 일본재첩에 대한 이용가능한 정보 및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자원관리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잠재어획가능량 산정의 5단계 체계를 구축하였다. 섬진강 일본재첩의 잠재어획 가능량은 보다 높은 정보수준을 요구하는 1-2단계에서 산정하였다. 이에 섬진강 일본재첩의 잠재어획가능량은 상업어획조사에 의한 1단계 정보수준에서는 77.66 톤, 직접자원조사에 의한 2단계 정보수준에서는 129.82 톤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rbicula japonica, belonging to Other Veneroida Family Corbiculidae, was distributed in the freshwater and brackish rivers, where was a sandy and shallow depth. Catch of C. japonica in the Seomjin River occupied at a large portion of the catch in Kyungnam Province, which was about 30% of total cat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자원량 산출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자료의 부정확성은 섬진강 일본재첩의 적절한 관리를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의 한계로 인한 적절한 자원관리를 할 수 없는 곳에 적합한 자원평가 시스템인 잠재어획가능량 추정시스템을 적용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자원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한정된 정보를 이용한 잠재어획가능량 추정시스템 (Shin, 2009) 을 이용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섬진강 일본재첩의 자원관리에 필요한 과학적인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에 서식하는 일본재첩의 자원량을 추청하기 위하여 상업어획조사와 직접자원조사를 실시하였다. 상업어획조사는 하동군수산업협동조합의 어획량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설 설정

  • 3). 체장코호트분석에 사용된 M/K는 2.283이며, 마지막 체장그룹의 F/Z는 0.5로 가정하여 자원량을 추정하였다. Jones model에서는 체장 구간별 자원개체수로 추정되기 때문에 여기에는 섬진강에서 채집한 일본재첩의 체장-체중 관계식 W=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재첩이란 무엇인가?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 은 백합목 재첩과에 속하는 담수 및 기수역에 분포하는 소형 이매패류로서 사니질의 얕은 수심에서 서식한다. 섬진강 일본재첩의 어획량은 우리나라 재첩 총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하며, 경남지역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국내 백합목 재첩과에 속하는 종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국내 백합목 (Veneroida), 재첩과 (Corbiculidae) 에는 일본재첩, 공주재첩, 참재첩, 엷은재첩 등이 있으며, 종에 따라 담수 또는 기수역에 서식, 분포하는 소형 이매패류로서 우리나라 대부분의 강과 기수역에 분포하며 사니질의 얕은 깊이에서 서식한다 (Jo et al., 1998; Kim et al.
섬진강 및 하구역이 훼손의 위협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거에는 대부분의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강 하구에서 재첩을 쉽게 채취할 수 있었으나, 지금은 하구둑으로 재첩이 많이 사라져 하구둑이 없는 섬진강에서만 일부 채취되고 있는 실정이다 (Yoo, 2007). 하지만 산업단지 확장과 추가건설을 위한 매립 등 대규모 개발계획이 계속 추진되고 있어 훼손의 위협을 받고 있는 하구역의 가치평가 등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섬진강에 분포하는 일본재첩의 자원역학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verton, R.J.H. and S.J. Holt, (1957) On the dynamics of exploited fish populations. Fishery investigations, Series II, Marine Fisheries. Great Britain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19: 533. 

  2. Chapman, D.G. and D.S. Robson, (1960) The analysis of catch curve. Biometrics, 16: 354-368. 

  3. Han, G.B., E.J. Cha, and W.J. Lee, (2007) Distribution of Corbicula spp. in Sum-Jin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Kyungnam University, 30: 55-65. 

  4. Jo, M.K., K.S. Byun and M.H. Jang, (1998) Distribution and ecology of Genus Corbicula in the North Kyungsang Province. Journal of Aquaculture, 11(4): 581-592. 

  5. Jones, R., (1981) The use of length composition data in fish stock assessment (with notes on VPA and cohort analysis). FAO, Rome, 60 pp. 

  6. Jung, J.Y., (1977) Ecological study of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Prime from Nag Dong river. National Freshwater Fish Hatchery of Fisheries Choeng-pyong, Korea, 2: 130-140. 

  7. Kim, J.B., (2006) Environment management of Corbicula flumines in the Seomjin river. Kyungnam University Master's thesis, 34 pp. 

  8. Kim, J.H. and M.S. Yoo, (2000a) Spermatogenesis and sperm morphology in marsh clam, Corbicula ieana (Prime).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3: 171 - 175. 

  9. Kim, J.H. and M.S. Yoo, 2000b. Reproductive cycle of marsh clam, Corbicula leana (Prime) in Hyongsan Estuary.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3: 184-191. 

  10. Kim, W.K., C.S. Lee, J.Y. Lee, K.K. Baik and S.B. Kim, (2002) Environmental factors and population density of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on Namdae Stream in Yangyang, Gangwon. Journal of Aquaculture, 15(1): 1-6. 

  11. Kwon, D.H., Y.J. Kang, W.K. Kim, and C.S. Lee, (2002) Population dynamics of Corbicula (Corbicula) japonica Prime from Namdae Stream in Yangyang,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5 (6): 686-695. 

  12. Lee, J.S. and J.B. Kim, (1997) Systematic study on the genus Corbicula (Bivalvia : Corbiculid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13: 233-246. 

  13. Lee, T.Y. and E.Y. Chung, (1980) Reproductive cycle of marsh clam, Corbicula fluminea (v. Muler). Publication of Institute of Marine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Busan, 12: 47-54. 

  14. Min, D.K., J.S. Lee, D.B. Koh and J.G. Je, (2004) Mollusks in Korea. Min Molluscan Research Institute. Hanguel Graphics Press. 566 pp. 

  15. Park, H.W., (2006) A study on the ecosystem-based resource management system of self-regulatory community fisheri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61 pp. 

  16. Park, S.W. and S.H. Lee, (1968) Analysis of the shell height frequencies on the flesh water cockle, Corbicula elatior, by means of probability graph.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1: 31-43. 

  17. Ryu, D.K., E.Y. Chung and Y.H. Kim, (2005) Age and growth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Prime on the west coast of Korea. Korea Journal of Malacology, 21(1): 57-64. 

  18. Shin, Y.J., (2009) A method for estimating potential fishery yield in coastal water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53 pp. 

  19. Yoo, S.H., (2007)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Seomjin river estuary.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6(2): 1-25. 

  20. Zhang, C.I. and J.B. Lee., (2001)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horse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in Korean waters,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cruitment and the ocean environment. Progress in Oceanography, 49: 513-537. 

  21. Zhang, C.I. and B.A. Megrey, (2006) A revised Alverson and Carney model for estimating the instantaneous of natural mortality.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35: 620-6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