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발육종기술을 이용한 북방전복의 성장
Growth of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using selection breeding techniques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8 no.4, 2012년, pp.343 - 347  

박철지 (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이정호 (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노재구 (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김현철 (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박종원 (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황인준 (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김성연 (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속성장을 위한 선발 1세대 전복 (Selected abalone : SA)의 성장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일 사육 환경 조건에서 대조구 전복 (Control abalone : CA) 과 비교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각 성장형질 (각장, 각폭 및 중량) 은 SA구가 CA구보다 유의하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45일째 및 90일째의 평균 각장에 있어 SA구가 CA구 보다 각각 31.7% 및 17.8% 빠르게 나타났으며, 중량에 있어서도 각각 43.7% 및 25.6%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90일째의 각장과 중량의 상대성장 비교에 있어서도 SA구가 CA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발육종기술을 이용하여 양식 전복의 성장률을 증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th rates of offspring of selected abalone (SA), Haliotis discus hannai, population for rapid growth were compared to those of offsping of the control abalone (CA) at bred under the same condition. The growth traits (shell length, shell breadth and total weight) of SA were significantly fas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장형질의 지속적인 유전적 개량을 목적으로 2004년도에 유전적다양성을 고려하여 생산된 가계간의 유전 능력을 분석하여 2008년도에 생산된 육종전복 선발 1세대의 성장형질에 관한 육종효율검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복의 선발육종의 유효성 및 가능성을 바탕으로 2008년도에 생산된 육종전복 선발 1세대의 12개월령의 성장형질에 관한 육종효율성 조사를 같은날 일반양식장에서 사용되는 어미를 이용하여 생산한 대조구와 동일사육 환경에서 2반복실험을 통하여 검정하였다. 그 결과 45일째 및 90일째에 있어 육종구 (SA) 는 대조구 (CA) 보다 모든 성장 형질에 있어 유의하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 921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SA구 및 CA구에 있어 각장에 대한 각폭 및 중량의 상대성장에 대한 차이의 유무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상관계수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SA구와 CA구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90일째의 각장에 대한 중량에 있어 SA구가 CA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 <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복류가 양식산업의 정착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전복양식은 수산자원 고갈로 지난 수십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확장되어 왔다 (Gordon & Cook, 2004). 그러나 전복류는 성장속도가 느려 상품이 되기까지 장기간의 양성 기간을 요하는 생물로서 양식산업의 정착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복 양식산업에 있어 성장률 향상을 위한 육종연구가 매우 중요하게 취급되어지고 있다 (Vinna, 2002).
우리나라의 전복의 생산량 추이는? 우리나라의 전복은 생산량이 2001년 29 톤에서 2011년 약 7,000 톤으로 비약적인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총 생산금액이약 2,500 억원의 규모로 패류양식 산업의 대표적인 품종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KNSO, 2012).
전복의 육종연구 중 선발육종방법은 무엇인가? 따라서 전복 양식산업에 있어 성장률 향상을 위한 육종연구가 매우 중요하게 취급되어지고 있다 (Vinna, 2002). 그중 선발육종방법은 양식생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가장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접근 방법으로서 선발육종을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킨 연구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Argue et al., 2002; Gjerd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rgue, B.J., Arce, S.M., Lotz, J.M., Moss, S.M. (2002) Selective breeding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for growth and resistance to Taura Syndrome Virus. Aquaculture, 204: 447-460. 

  2. Cohen, J., Cohen, P. (1983) Applied Multiple regression /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LE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New Jersey. 

  3. Gordon, H.R., Cook, P.A. (2004) World abalone fisheries and aquaculture update: supply and market dynamics.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23: 935-939. 

  4. Gjerde, B., Terjesen, B.F., Barr, Y., Lein, I., Thorland, I. (2004) Genetic variation for juvenile growth and survival in Atlantic cod (Gadus morhua). Aquaculture, 236: 167-177. 

  5. Gjedrem, T. (1983) Genetic variation in quantitative traits and selective breeding in fish and shellfish. Aquaculture, 33: 51-72. 

  6. Gjedrem, T. (1997) Selective breeding to improve aquaculture production. World aquaculture, 28: 33-45. 

  7. Gjedrem, T. (2000) Generic improvement of cold-water species. Aquaculture Research, 31: 25-33. 

  8. Hara, M. (1990) The effect of genetics of growth in three groups of abalone seeds. Bull. Tohoku. Reg. Fish. Res. Lab., 52: 73-78. 

  9. Hara, M. (1992) Breeding of abalone / cross and selection. Fish Genetics Breeding Science, 18: 1-12.(in Japanese) 

  10. Hara, M., Kikuchi S. (1992) Increasing growth rate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using selection techniques. NOAA Technical Report, 106: 21-26 

  11. Kawahara, M., Noro, M., Omori, O., Kijima, A. (1999) Estimation of heritability for juvenile growth rate in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Fish Genetics Breeding Science, 28: 95-103.(in Japanese) 

  12. Kawahara, M., Noro, M., Omori, O., Hasekura, O., Kijima, A. (1997) Genetic progress for growth in different selected populations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t different hatcheries. Fish Genetics Breeding Science, 25: 81-90.(in Japanese) 

  13. KNSO (201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SIS Statistical DB, DaeJeon, Korea. 

  14. Kube, P.D., Appleyard, S.A., Elliott, N.G. (2007) Selective breeding greenlip abalone (Haliotis laevigata): Preliminary result and issue.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26: 821-824. 

  15. Lucas, T., Macbeth, M., Degnan, S.M., Knibb, W., Degnan, B.M. (2006) Heritability estimates for growth and tropical abalone Haliotis asinina using microsatellite to assign prentage. Aquaculture, 259: 146-152. 

  16. Viana, M.T. (2002) Abalone Aquaculture, An overview. World Aquaculture pp. 34-3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