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방개류 실내 사육법
Indoor Rearing Method of Diving Beetles: Cybister japonicus, Cybister tripunctatus orientalis, Cybister brevis 원문보기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v.50 no.1, 2012년, pp.27 - 32  

김남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  홍성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  김성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  박해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초록

점차 희소화되는 물방개류의 서식지내 복원 및 애완곤충 등 곤충산업 소재화를 목표로 실내 사육연구를 수행하였다. 물방개류는 자연상태에서 수초 줄기에 산란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어 실내에서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인공산란매트 선발이 필요하며 인공산란매트는 사육상자 밑면에 깔아준 모래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충기(2 3령) 사육에 적합한 먹이원은 연중 안정공급시 가능한 먹이로서 날오징어를 선발하였다. 실내 사육시 개체간 공식행동이 강한 유충 사육을 위해 개체 집단사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용화매트 선발 시험을 한 결과, 흙(자연매트)을 사용할 경우 표면이 쉽게 굳어 물방개유충이 파고들어가기 힘이 들어 용화율이 12~18% 저조하였고 또한 흙 관리 강도가 높았다. 그러나 발효톱밥을 용화매트로 사용할 경우 용화율 80%로 우수하여 물방개류의 용화매트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oor-rearing methods of the diving beetles. In nature, both the adult diving beetle and its larvae are voracious aquatic predators. The larvae beetles hunt relatively bigger size of tadpoles and small fish for food source. However, due to difficulties of the f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본에서도 일부 지자체에 서는 물방개를 법적 보호종으로 보호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애완용, 학습교재, 농촌관광 등 산업적 이용 확대와 점차 희소화되는 물방개류의 유전자원 보전을 위한 서식지 내외 보전기술 개발을 위하여 실내사육을 통하여 인공증식 및 수서곤충의 생리생태파악에 관한 최초의 종합연구로 곤충연구 활성화 및 곤충산업화를 위한 곤충종의 다양화에 기여코자 수행하였다.
  • 점차 희소화되는 물방개류의 서식지내 복원 및 애완곤충 등 곤충산업 소재화를 목표로 실내 사육연구를 수행하였다. 물방개류는 자연상태에서 수초 줄기에 산란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어 실내에서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인공산란매트 선발이 필요하며 인공산란매트는 사육상자 밑면에 깔아준 모래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방개류의 서식지내 복원 및 애완곤충 등 곤충산업 소재화를 목표로 실내 사육연구한 결과는 어떠한가? 점차 희소화되는 물방개류의 서식지내 복원 및 애완곤충 등 곤충산업 소재화를 목표로 실내 사육연구를 수행하였다. 물방개류는 자연상태에서 수초 줄기에 산란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어 실내에서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인공산란매트 선발이 필요하며 인공산란매트는 사육상자 밑면에 깔아준 모래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충기(2 3령) 사육에 적합한 먹이원은 연중 안정공급시 가능한 먹이로서 날오징어를 선발하였다. 실내 사육시 개체간 공식행동이 강한 유충 사육을 위해 개체 집단사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용화매트 선발 시험을 한 결과, 흙(자연매트)을 사용할 경우 표면이 쉽게 굳어 물방개유충이 파고들어가기 힘이 들어 용화율이 12~18% 저조하였고 또한 흙 관리 강도가 높았다. 그러나 발효톱밥을 용화매트로 사용할 경우 용화율 80%로 우수하여 물방개류의 용화매트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수서곤충이란 무엇인가? 수서곤충은 생활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중에서 생활하는 곤충류를 총칭하는 것으로 바다에서 발견되는 몇 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천이나 호소 등 내륙의 수역에서 서식한다. 수서곤충은 다양한 방법으로 숨을 쉬는데, 물방개류는 외부에서 산소를 얻기 위해 배끝을 수면 위로 내미로 산소를 빨아드여 배의 등과 딱지날개 사이의 빈공간에 채운 뒤 물속으로 들어가 활동한다.
수서곤충의 물방개류는 어떠한 호흡법 하는가? 수서곤충은 생활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중에서 생활하는 곤충류를 총칭하는 것으로 바다에서 발견되는 몇 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천이나 호소 등 내륙의 수역에서 서식한다. 수서곤충은 다양한 방법으로 숨을 쉬는데, 물방개류는 외부에서 산소를 얻기 위해 배끝을 수면 위로 내미로 산소를 빨아드여 배의 등과 딱지날개 사이의 빈공간에 채운 뒤 물속으로 들어가 활동한다. 물방개류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정수환경(standing water)에서 자생하며, 과거에는 개체수도 많아서 흔히 발견되는 분류군이다(Larson 1985, Nilsson and Sderberg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Fernando CH (1958) The colonization of small freshwater habitats by aquatic insects. 1. General discussion, methods and colonization in the aquatic Coleoptera. Ceylon J. Sci. (Biol. Sci.) 1, 117-154. 

  2. Han M, Kang K, Na Y, Bang H, Kim M, Jung M, Lee J, Hong H, Yoon D (2010) Aquatic invertebrate in paddy ecology of Korea, Kwang Moon Dang Press. Suwon, Korea, pp. 332-376. 

  3. Han MS, Kim MH, Bang HS, Na YE, Lee D, Kang K (2011)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Diving Beetles (Dytiscidae) in Korean Paddy Ecosystem. Korean J Environ Agric 30(2) 209-215. 

  4. Kim J, Choi Y, Choi J, Sim H, Park H, Kim W, Park B, Lee J, Kang K, Lee D (2007) Ecological analysis and environmental evaluation of aquatic insects in agricultural ecosystem. Kor. J. Appl. Entomol. 46(3), 335-341. 

  5. Kim J (1998) Insects' life in Korea III. The Korean Entomological Institute, Korea University. pp.24-25. 

  6. Larson D (1985) Structure in temperate predaceous diving beetle communities (Coleoptera, Dytiscidae). Holarct. Ecol. 8, 18- 32. 

  7. Nilson A, Sderberg H (1996)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patterns of diving beetles (Coleoptera, Dytiscidae) from exposed and protected sites in 98 northern Swedish lakes. Hydrobiologia 321, 83-88. 

  8. Williams D (1987) The ecology of temporary waters. Timber Press, Portland, Oregon, p. 205. 

  9. Wiggins G, Mackay R. Smith I (1980) Evolutionary and ecological strategies of animals in annual temporary pools. Arch. Hydrobiol. Suppl. 58, 97-2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