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방노랑나비(Eurema hecabe)의 생태환경 및 실내사육 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cological Environments and Indoor-rearing Conditions of the Common Grass Yellow Butterfly, Eurema hecabe 원문보기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v.50 no.2, 2012년, pp.133 - 139  

이상현 ((주)선유) ,  김세권 ((주)선유) ,  남경필 ((주)선유) ,  손재덕 ((주)선유) ,  이진구 (경기도 농업기술원) ,  박영규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  최영철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  이영보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방노랑나비의 인공사육을 위한 서식지의 생태환경조사와 실내에서의 인공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식지의 생태환경조사를 위해 남방노랑나비의 주 서식지인 경남 사천시 곤양면 대진리(A지역, 하천변의 개활지)와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B지역, 구릉성 산자락) 두 곳을 조사지로 선정하여, 2010년 6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6개월간 월 2회 정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산자락인 B지역의 남방노랑나비의 개체수가 개활지인 A지역보다 성충의 경우 6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 애벌레, 번데기도 더 많은 수가 조사되었다. B지역의 경우 먹이식물이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먹이식물의 선호도는 비수리에서 170개체가 관찰되어 자연에서는 비수리가 가장 선호하는 기주식물임이 확인되었다. 실내 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남방노랑나비의 실내 사육을 실험하였다. 기주식물에 따른 산란선호도를 조사하기위해 암 수 100개체를 산란장에 넣고 짝짓기를 유도한 후 비수리와 결명자를 넣고 10분간 산란한 알의 수를 세어 산란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비수리에 산란한 알의 수가 $104.9{\pm}19.6$개로 결명자의 $12.7{\pm}4.5$개 보다 많아 비수리의 산란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산란된 알을 고온 장일 조건($25^{\circ}C$, 16L : 8D)의 인공적인 환경에서 사육한 결과, 산란된 알의 부화율은 53.7%이었으며, 산란에서 부화까지 평균 소요일수는 $5.1{\pm}0.9$일이었다. 유충기간은 $12.1{\pm}0.9$일이었으며, 각 령별 두폭측정 결과 1령 $0.36{\pm}0.02$, 1령 $0.61{\pm}0.02$, 3령 $0.93{\pm}0.05$, 4령 $1.46{\pm}0.08$, 5령 $2.25{\pm}0.11$로 나타났다. 사육된 애벌레의 용화율은 81.0%으로 나타났으며, 번데기기간은 평균 $6.9{\pm}0.7$일로 조사되었다. 나비의 우화율은 79.6%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남방노랑나비의 자연상태에서의 서식환경과 실내 인공사육을 위한 사육조건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ecological environments and indoor-rearing conditions of Eurema hecabe for artificial rearing. Two different nesting site, a open area nearby small river(A area; Daejin-ri, Gonyang-myeon, Sachun-si, Gyoungsangnam-do) and a foot of a hill area(B area; Norya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방노랑나비 성충은 기주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내에서 활동하며, 짝짓기를 마친 암컷은 기주식물의 잎 또는 줄기에 한 개씩 산란을 한다. 본 실험에서는 남방노랑나비의 인공사육에 적합한 기주식물을 찾고자 기주식물에 대한 산란선호도를 조사하였다. 기주식물에 대한 산란 선호도 조사를 위하여 기주식물중 비수리와 결명자를 선정하였다.
  • 남방노랑나비의 애벌레 두폭에 관한 측정자료는 확인된 바 없으며, 현재까지는 탈피각의 확인과 목측을 통해 령수를 확인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 본 실험에서는 남방노랑나비의 탈피와 애벌레 령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애벌레의 두폭을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탈피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두폭의 측정을 통해 남방노랑나비 애벌레의 령별 두폭의 기준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애벌레의 두폭을 측정하기 위하여 알에서 부화한 1령 애벌레 79마리를 공시하여 매일 두폭을 측정하였으며, 사육도중 폐사한 15마리를 제외하고 정상적으로 번데기가 된 64마리의 측정값을 계산하였다.
  • 하지만 남방노랑나비의 인공사육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여 사육시스템이 정립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남방노랑나비의 사육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에 의해 연구되었으며, 서식지를 조사를 통해 남방노랑나비의 야외 특성을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사육의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남방노랑나비의 인공사육을 위한 서식지의 생태환경조사와 실내에서의 인공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식지의 생태환경조사를 위해 남방노랑나비의 주 서식지인 경남 사천시 곤양면 대진리(A지역, 하천변의 개활지)와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B지역, 구릉성 산자락) 두 곳을 조사지로 선정하여, 2010년 6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6개월간 월 2회 정기적으로 조사하였다.
  • 사육용기와 먹이는 매일 갈아주어 먹이의 건조와 애벌레의 분비물로 인한 오염을 막았다. 애벌레의 탈피여부는 탈피각의 존재여부로 확인하였으며, 각 애벌레의 령별 두폭을 측정하여 남방노랑나비의 령별 두폭기준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애벌레의 두폭은 부화하여 사육중인 애벌레 79마리를 공시하여 매일 두폭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방법은 해부현미경(NSZ-606)하에서 현미경카메라(DCM 310)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길이측정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방노랑나비는 무엇을 섭식하는가? 남방노랑나비는 주로 평지나 낮은 산지의 하천변, 숲 가장자리 등지에 서식한다. 서식지를 멀리 떠나지 않고 그 주변을 날아다니며, 개망초, 엉겅퀴, 비수리, 꿀풀에 날아와 꽃꿀을 빨아 먹는다. 때로는 20 ~ 30마리가 떼 지어 모여 있기도 하며, 인기척이 있으면 한꺼번에 날지 않고 하나 둘씩 날아간다(Kim and Lee 2006).
한국에 기록되어 있는 나비 중 노란색을 띄며, 국내에 서식하는 종은? 한국에 기록되어 있는 나비는 총 268종으로 알려져 있다(Kim 2002). 그 중 노란색을 띄며, 국내에 서식하는 종은 남방노랑나비, 극남노랑나비, 노랑나비, 각시멧노랑나비, 멧노랑나비 등 5종에 불과하다. 남방노랑나비는 우리나라의 남부지역인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지에서 서식하며, 가을이 되면 충청이북지역에서도 발견이 된다.
남방노랑나비가 분포하는 지역은? 그 중 노란색을 띄며, 국내에 서식하는 종은 남방노랑나비, 극남노랑나비, 노랑나비, 각시멧노랑나비, 멧노랑나비 등 5종에 불과하다. 남방노랑나비는 우리나라의 남부지역인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지에서 서식하며, 가을이 되면 충청이북지역에서도 발견이 된다. 연중 3~4회 발생을 하며, 성충으로 월동을 한다(Kim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Guri-city(2010) Operation report of Guri-city insect ecology museum. Guri-city. pp.22-25. 

  2. Hidaka T, Aida S(1963) Day length as the main factor of seasonal form determination in polygonia c-aureum(Lepidoptera: Nymphalidae). Zool. mag. 72, 77-83. 

  3. Ju H, Kim S, Son S(1997) A Butterfly of Korea. Kyohaksa. pp.50- 51. 

  4. Jeong H(2007) A study on artfitial multiplication technipues and genetic variation of Korean butterflies. Andong Univ. pp.9-58. 

  5. Ko M, Lee J, Kim C, Kim S, Park K(2004) Distributional data and ecological characterristics of Parnassius bremeri Bremer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43(1), 7-14. 

  6. Kim S, Lee W(2006) A hundred butterfly of Korea. Hyeonamsa. pp.438-442. 

  7. Kim T(1998) Korean Resources Plants. Seoul Nat. Univ. pp.199- 209. 

  8. Kim Y(2002) Illustraed Book of Korean Butterflies in Color. Kyohaksa. pp.298. 

  9. Seol K, Kim N(2001) Establishment of the successive rearing method of cabbage butterfly, pieris rapae L. in a room condition. Korean J Appl. Entomol. 40(2), 131-136. 

  10. Seol K, Choi B, Kim H(2005a) Insect rearing Method. Hanlimwon. pp.60-76. 

  11. Seol K, Kim N, Hong S(2005b) Establishment of the successive rearing system of Brush-footed butterflies(Lepidoptera: Nymphalidae). Korean J Appl. Entomol. 44(4), 257-264. 

  12. Seol K, Hong S, Kim N, Kim S(2006) Deverlopment of pellettype artificial diet for Lepidopteran insect by using a twin screw extruder. Korean J Appl. Entomol. 45(1), 75-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