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귀촌형 공동체마을 단독주택의 개성화 - 남원 '작은마을'의 사례연구 -
Personalization of Detached Houses in the Back-to-countryside Community Village - Case Study of the 'Jagun-Maul' in Namwon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3 no.1, 2012년, pp.79 - 88  

박경옥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이상운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류현수 (충북대학교 대학원 주거환경학) ,  황진아 (충북발전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ersonalizing characteristics of detached housing that reflect the housing needs according to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back-to-countryside community village. For this study, 15 households of Jagun-maul at Namwon in Jeonbuk provided response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원마을 조성사업에 의해 조성된 공동체마을 중 거주자 참여로 단독주택을 건축한 사례에서 거주자들의 주요구가 반영된 주택평면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귀촌형 주택의 주거개성화의 내용을 파악하여 귀촌 예정자를 위한 주택의 건축적 특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조사대상자는 이와 같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생활을 위해 거실, 부엌, 자녀공간, 공유공간, 취미 및 작업공간, 그 밖의 공간 등에 대해 구체적인 생활상을 설정하고 필요한 공간을 이에 맞추려고 하였다. 가족을 위한 공간으로 거실은 “가족 모두가 함께 식사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이나 “가족이 모두 모일 수 있는 마루” 등과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공간을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징적인 공간이란? 단독주택의 물리적 특성은 입수한 도면에 대해 선행연구(Chong, 2002; Choi, 2006; Ryou & Choi, 2007; Lee, Choi, Kim, & Yoo, 2010; Choi, 2011)를 참고로 하여 평면형태, 공간구성방식, 출입방식, 특징적인 공간 등으로 분석하였다. 특징적인 공간은 주택의 평면계획상에 나타나는 방, 부엌·식당·거실, 화장실 등의 일반적 공간 이외에 나타나는 공간을 의미한다.
귀농, 귀촌 희망자들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는 부분은? ). 귀농, 귀촌 희망자들은 귀촌시 주택을 가장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나(농림수산식품부, 2009.04.
공동체마을에서 거주자 참여로 주요구가 반영된 단독주택의 주거개성화에 대한 결론은? 첫째, 귀촌형 공동체마을 거주자들은 ‘가족중심의 편안한 휴식처로서의 집’을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웃중심, 자연친화가 그 다음 순이었다. 또한,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가족구성과 주의식에 차이가 있었다. 가족생활주기가 자녀양육 및 교육기에 속해 있는 부부+자녀인 가구는 ‘가족중심’의 생활이 가능한 집을 원하였다. 반면, 자녀성년기에 속하는 1인 및 부부의 가족구성 가구는 ‘이웃과 교류할 수 있는 집’을 생각하고 있어서 차이를 나타냈다. 조사대상 마을조성시 테마가 친환경생태공동체이었고 귀촌자들은 이러한 취지에 부합하는 동질적인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추진주체도 추구하는 테마를 위하여 정기적인 거주자모임을 진행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거주자들은 가족중심적이면서 이웃과 교류하는 자연친화적인 주거에 대한 의식이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거주자들은 원하는 집에 맞는 주거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가족이 모이는 거실, 가족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고, 이웃과 교류하는 공간이 있는 집이 전제되어 있었다. 특히 주거가 이웃과의 관계를 고려한다는 의식과 이를 위한 공간을 염두에 둔다는 것은 귀촌자가 도시거주경험이 있지만 도시주 거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둘째, 공동체마을의 주택은 마을건축규정으로 최소한의 면적에 대한 기준만 정하여서 개별가구의 개성화를 가능 하게 하였다. 주택의 용적률을 한정하였지만 실제 사용면적을 늘릴 수 있는 다락, 지하실 등의 다양한 방식의 공간이 적용되었다. 개별주택의 평면형태는 장방형이 많았고 공적 공간구성 방식은 LDK형, LK형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1990 년대 중반 이후 농촌지역에 주거단지를 조성하여 농민과 도시민이 주택을 건축한 문화마을에서 보여지는 전면 3베이형 평면, L과 DK분리형의 공적공간구성과 다른 특징을 나타냈다. 귀촌자들은 농촌지역에 주택을 건축하였지만 농촌지역의 주택을 참고하기보다는 가족의 주의식, 원하는 생활, 주요구를 반영하고 주택을 건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밖의 대부분의 주택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주택 전면에서 진입하는 현관과 함께 거실로의 직출입도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마당에서 거실로 직출입하는 방식은 농촌지역의 특성상 마당의 활용이 높은 점, 거실과 전면테라스를 연결하여 거실의 개방성을 높이기 위한 요구를 반영한 것이며, 이웃간의 접근이 쉽게 이루어지는 형식이기 때문이다. 셋째, 단독주택 공간에서 방, 부엌·식당·거실, 화장실 등의 일반적 공간 이외의 특징적인 공간들은 일상생 활을 위한 공간인 다락·온돌방(구들방)·마루와 대청, 취미·여가생활을 위한 공간인 서재·작업실·다목적실, 외부활동을 위한 화장실이 있었다. 다락은 자녀놀이, 휴식, 물품보관 등을 위한 공간으로 대부분의 주택에서 나타났는데 마을의 용적률의 제한 규정을 지키면서 실제 사용 면적을 넓히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흙바닥 마감을 하여 장작연료를 사용하는 온돌방, 대청, 마루를 배치한 것은 과거주거에서 경험하여 좋았거나 원하였던 전통주택의 공간을 현대주택에 접목을 시도한 것이었다. 장기간 실제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장단점에 대한 거주후평가가 필요하다. 귀촌 거주자들은 취미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서재·작 업실·다목적실 공간을 배치하여서 농촌생활에서 여유를 즐기기를 원하였다. 마당에서의 출입이 가능한 화장실은 농촌생활에서 텃밭 가꾸기 등 외부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계획되어진 것이었다. 귀촌형 공동체 마을의 단독주택의 특징적인 공간은 마당에서 사용가능한 화장실을 제외하고 자아실현과 같은 상위의 주거욕구를 표현함으로써 개성화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귀촌형 공동체마을의 주택은 기존 농촌주택과 다른 개성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추진주체의 마을 테마설정, 마을 조성 초기단계부터 입주까지 지속적인 거주자 참여, 설계코디네이터의 지속적인 거주자의견조정 등에 의해 거주자의 주요구를 공간으로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요구를 구체 적인 공간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설계코디네이터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농림수산식품부 (2009.04.01.). 귀농.귀촌 종합센터를 설치, 맞춤형 지원 추진. 농림수산식품부 보도자료. 

  2. 주거학연구회 (2000). 더불어 사는 이웃, 세계의 코하우징. 서울: 교문사. 

  3. 통계청 (2010.05.04). 살어리 살어리랏다. 농촌에 살어리랏다. -귀농,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르다. 재미있는 소식통 온라인, 302. 호. Available: http:// blog.naver.com/hi_nso/130085214369 

  4. Choi, B. (2006). Contemporary space design trends on the floor plan analysis of rural houses in So-yang Munhwa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7(6), 65-72. 

  5. Choi, J. (2011). The analysis of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housing lifestyles of the farmhouses in Gangwon Youngdong province after Saemaul movement.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3(1), 111-121. 

  6. Chong, G. (2002). A study on the contemporary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of rural housing in Korea. The Journal of Namseoul Univ. 8, 99-117. 

  7. Endoh, Y., Yokoyama, S., & Furukawa, T. (1989). Planning human living values in the analysis of the individually characterized dwelling unit plans - The characteristics and planning principles of the U-court project2. 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406, 87-99. 

  8. Jeong, J., Kim, K., Kang, B., & Lee, S. (2010). A Study on results and improvement method of advance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2(2), 125-133. 

  9. Kim, S. (2000). The housing needs of middle class dualearner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0. Kim, Y., & Park, J. (2009). A study on the rural village planning - Focused on Juklim rural village in Boryeong city -.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31(1), 127-142. 

  11. Lee, E. (2009). A study on the floor plan tendency of single family houses in recent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12. Lee, C., Choi, I., Kim, J., & Yoo, C. (2010). Analysis on plan types of hanok in hanok conservation village and happy village, Jeollanam-do.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5), 35-42. 

  13. Lee, G., Jee, E., & Lee, J. (2010). The rural housing preference of the pre-elderly in Seoul, Dae-gu, and Kyoung-ju. Proceedings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010, 172-177. 

  14. Lee, J. (2011).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2009 standard rural house design.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3(1), 133-142. 

  15. Park, K., Kim, S., Kim, J., Jeong, Y., & Jeong, Y. (2010). Planning process of the back-to-farming community villag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 Focused on the Jagun-Maul of Sannae-myeon, Namwon-city in Jeonbuk-do -. Proceedings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010, 255-260. 

  16. Park, K., Lee, S., Ryu, H, Hong, O., Lee, Y., & Li, W. (2011a).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village development by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olicy. Proceedings of Spring Annual Conference of KHA, 2011, 176-181. 

  17. Park, K., Lee, S., Ryu, H, Hong, O., Lee, Y., & Li, W. (2011b). A basic study on developing the back-to-farm community village. Journal of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Chungbuk Natl.Univ., 15(2), 165-175 

  18. Ryou, O. & Choi, B. (2007). An analysis on floor planning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es in Na-po Munwha village - A comparison with literature review of apartment unit pla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5), 23-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