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uncture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and idiopathic chronic fatigue. Methods :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was conducted. Twenty-four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into one of the two groups: an acupunct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 평행 임상시험으로 설계하였다. 이에 대한 세부 내용은 논문으로 발표하였다18).
  • 본 연구는 상기의 연구들과는 달리 무처치 대기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침치료의 전반적인 효과를 대조군의 자연경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침 연구와 같이 플라시보 대조군이 완전하지 못하여 활성을 보이고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 무처치군이 유용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침치료의 유효성ㆍ안전성 및 연구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예비연구로 처음에 총 40명을 모집하기로 하였으나, 참고문헌20)에 근거하여 24명의 피험자를 통해 제공받은 정보로 향후 대규모 연구를 위한 실행가능성을 판단하기에 충분하다고 사료되어 이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임상시험을 개시하고자 본 연구의 피험자 수를 24명으로 변경하여 진행하였다(변경승인 : 2012년 3월).
  • 을 통해 24명 중 6명의 변증이 판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침 치료에 고정혈위를 사용하고 변증을 반영하지 않았으나 만성 피로 환자의 한의학적 기초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변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피험자의 25%에서 변증이 판별된 것은 실제로 대부분 피험자의 증(證)이 뚜렷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설문지 자체의 문제에 기인했을 수도 있겠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침이 만성 피로증후군과 특발성 만성 피로 환자의 증상 개선에 전반적 단기 효과가 있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추후 중장기 관찰을 통해 침 효과의 지속 여부를 확인하고 일상관리 대조군 등을 사용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안전성 평가는 시술의 이상반응으로 예상되는 현상과 피험자의 주관적인 증상에 대해 증상의 정도 및 침시술과의 인과관계 여부를 평가하고 빈도와 발생률을 보고한다. 중대한 이상반응은 서술적으로 기술한다.
  •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아직까지 임상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성 피로에 대하여 한방의 대표적 치료법의 하나인 침치료의 유효성과 안전성, 대규모 임상연구를 위한 실행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 예비 임상연구를 수행하였다.
  • 피험자 보호, 보고된 임상연구 관련 자료가 근거문서와 대조하여 정확하고 검증 가능한지 여부 및 임상 연구가 승인된 계획서, 임상연구 관리기준 및 시행규칙의 규정에 따라 수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로란 무엇인가? 피로란 일상의 일을 하는 동안이나 일한 후의 허탈감 또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만큼 기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이다1).
피로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피로는 지속 기간에 따라 1개월 이내에 소실되는 일과성 피로, 1개월 이상 지속되는 지속성 피로, 6개월 이상 계속되는 만성 피로로 구분할 수 있다2).
피로도 척도 점수는 어떻게 피로 정도를 평가하는가? 1차 평가변수로 무작위배정 5주차 피로도 척도(fatigue severity scale, FSS) 점수의 변화량을 사용하였다. FSS는 지난 1주일 동안의 피로 정도에 관한 9가지 문항에 대하여 1~7점까지의 척도로 평가하였다. 최종 FSS 점수는 각 문항의 점수를 합한 후 9로 나눈 평균값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피로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조정효, 손창규. 만성피로의 체계화된 한의학적 치료법 연구의 필요성. 대한한의학회지. 2009 ; 30(4) : 28-36. 

  2. 김철환, 신호철. 개원가에서의 특수 클리닉. 가정의학회지. 1998 ; 19(8) : 592-603. 

  3. 김철환, 신호철. 만성피로 및 만성피로증후군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가정의학회지. 1998 ; 19(12) : 1354-67. 

  4. Fukuda K, Straus SE, Hickie I, Sharpe MC, Dobbins JG, Komaroff A. The Chronic Fatigue Syndrom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Its Definition and Study. Ann Intern Med. 1994 ; 121(12) : 953-9. 

  5. Son CC. Review of the Prevalence of Chronic Fatigue Worldwide. J Korean Orient Med. 2012 ; 33(2) : 25-33. 

  6. 반건호, 이성주. 만성피로증후군. 1판. 서울 : 도서출판 하나의학사. 1998 : 111-57, 253-409. 

  7. 최다혜, 김철환, 신호철, 박용우, 성은주, 이계화. 만성 피로 및 만성 통증 환자에서의 보완 대체요법의 이용 양상. Korean J Fam Med. 2009 ; 30(3) : 182-9. 

  8. 곽경규, 조정효, 손창규. 만성피로증후군의 한의학적 병태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 ; 29(4) : 962-9. 

  9. Son CC. Systematic Review of RCTs focusing on Chronic Fatigue. J Korean Orient Med. 2009 ; 30(6) : 80-5 

  10. 이지현, 박신명, 승현석, 김영철, 이장훈, 우홍정. 피로를 호소하는 외래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1 ; 22(3) : 299-307. 

  11. 이종훈, 이지현, 박신명, 김영철, 이장훈, 우홍정. 한방병원 보양클리닉에 내원하는 피로환자의 임상적 분석 및 치료결과 관찰. 대한한의학회지. 2000 ; 21(4) : 55-63. 

  12. 김세훈, 이장훈, 이승보, 최미영, 김영철, 우홍정. 피로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생활섭생, 허손 및 피로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 ; 29(1) : 219-30. 

  13. 나유진, 심효주, 강래엽, 한효정, 김현진, 김진원 등. 신기환 투여로 호전된 만성피로가 주증인 남성 갱년기 장애 환자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 ; fal(1) : 157-63. 

  14. 김수현, 박희진, 박현애, 장준호, 황규선, 이소열. 피로환자에 사암침 치료 효과의 임상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6) : 149-57. 

  15. 이유환, 권기순, 이승훤, 이은솔, 김철홍, 장경전, 송춘호, 김영균, 김원일, 윤현민. 삼기활력약침이 불면, 피로에 미치는 효과. 대한침구의학회지. 2012 ; 29(3) : 101-13. 

  16. 조정효, 유사라, 조종관, 손창규. 만성피로를 주증으로 하는 성인 72명의 변증과 체질별 분석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 ; 28(4) : 791-6. 

  17. 김진성, 류봉하, 박동원, 류기원. 만성피로 환자의 우울 및 불안성향과 기울.기체증과의 상관성. 제 3의학. 1998 ; 3(2) : 83-92. 

  18. 김정은, 강경원, 김태훈, 정소영, 김애란, 신미숙, 박효주, 홍권의, 최선미. 만성피로증후군과 특발성 만성피로에 대한 침 치료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무작위 대조 예비 임상연구 프로토콜. 경락경혈학회지. 2011 ; 28(3) : 151-63. 

  19. 이귀녕, 권오헌. 임상병리파일. 제3판. 서울 : 도서출판 의학문화사. 2003 : 557-62. 

  20. Julious SA. Sample size of 12 per group rule of thumb for a pilot study. Pharmaceutical Statistics. 2005 ; 4(4) : 287-91. 

  21.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침구학(상). 2판. 파주 : 집문당. 2008 : 128-37, 234, 287. 

  22. Wang JJ, Wang QM, Meng H, Song YJ, Wu ZC, Wang XJ. Discussion on the laws of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b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hin J Inform TCM. 2010 ; 17(1) : 102-5. 

  23. Wang TF, Zhang QH, Xue XL, Yeung A. A systematic review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in China. Am J Chin Med. 2008 ; 36(1) : 1-24. 

  24. 김민정, 홍권의. 허로의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문헌집. 2005 ; 14(2) : 159-69. 

  25. 정규인, 송찬희. 피로와 우울.불안증 환자에서 Fatigue Severity Scale의 임상적 유용성. 정신신체의학. 2001 ; 9(2) : 164-73. 

  26. 최승미, 강태영, 우종민.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근로자 대상.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6 ; 45(6) : 541-53. 

  27. 한홍무, 염태호, 신영우, 김교헌, 윤도준, 정근재. Beck Depression Inventory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정상집단을 중심으로(1)-. 신경정신의학. 1986 ; 25(3) : 487-502. 

  28. Cho YW. Sleepiness scale and sleep hygiene. J Kor Sleep Research Soc. 2004 ; 1(1) : 12-23. 

  29. Devilly GJ, Borkovec T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redibility/expectancy questionnaire. J Behav Ther Exp Psychiatr. 2000 ; 31(2) : 73-86. 

  30. 문진석, 박경모, 최선미. 한방건강검진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2007 ; 13(2) : 135-42. 

  31. Wang JJ, Song YJ, Wu ZC, Chu XO, Wang QM, Wang XJ, Wei LN, Meng H, Wang XH.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of acupuncture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Zhen Ci Yan Jiu. 2009 ; 34(2) : 120-4. 

  32. Zhang W, Liu ZS, Xu HR, Liu YS. Observation on therapeutic effect of acupuncture of Back-shu acupoints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patients. Zhen Ci Yan Jiu. 2011 ; 36(6) : 437-41, 448. 

  33. Yiu YM, Ng SM, Tsui YL, Chan YL. A clinical trial of acupuncture for treating chronic fatigue syndrome in Hong Kong. Zhong Xi Yi Jie He Xue Bao. 2007 ; 5(6) : 630-3. 

  34. Chen XH, Li LQ, Zhang W, Yang J, Dai YS, Xu DH, Tang CZ.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n acupuncture treatment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Zhongguo Zhen Jiu. 2010 ; 30(7) : 533-6. 

  35. White P, Linde K, Schnyer RN. 침 치료 구성 요소에 대한 조사. In : MacPherson H, Hammerschlag R, Lewith GT, Schnyer RN. 침 연구. 초판. 서울 : 엘스비어코리아. 2009 : 127-35. 

  36. Witt CM, Lewith G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 Lewith GT, Jonas WB, Walach H, eds. Clinical research in complementary therapies. 2nd ed. China : Elsevier. 2011 : 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