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술환자의 동맥관 개방성 유지를 위한 생리식염수의 효용성 평가
Effects of Normal Saline for Maintenance of Arterial Lines of Surgical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6, 2012년, pp.791 - 798  

한상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박지은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김남은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강화자 (경희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aline solution vs. heparinized-saline for maintenance of arterial lines and to detect changes in platelet and aPTT as physiological indexes. Methods: In th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ouble-blind study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술중 환자의 동맥관 폐색을 예방하기 위한 헤파린희석용액을 대신할 수 있는 생리식염수의 동맥관 개방성 유지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술환자의 동맥관의 개방성 유지를 위한 생리식염수 적용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수술시 헤파린의 사용을 줄여 헤파린 사용으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발생 기회를 줄이고 동맥관의 개방성 유지를 위한 관류용액에 관한 임상적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리식염수군과 헤파린희석용액군 간의 동질성 검증, 동맥관의 개방성(유지시간, 관류횟수)과 출혈 경향성(혈소판, aPTT)의 변화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술환자에게 헤파린희석용액과 생리식염수를 적용한 후 동맥의 개방성 유지와 출혈 경향성을 비교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수술환자의 동맥관의 개방성 유지를 위한 생리식염수 적용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수술시 헤파린의 사용을 줄여 헤파린 사용으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발생 기회를 줄이고 동맥관의 개방성 유지를 위한 관류용액에 관한 임상적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리식염수군과 헤파린희석용액군 간의 동질성 검증, 동맥관의 개방성(유지시간, 관류횟수)과 출혈 경향성(혈소판, aPTT)의 변화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동맥관의 개방성 유지란 동맥관을 통해 채혈이 가능하고, 유지 용액의 동맥관 통과가지속되며,동맥관을 통한 혈류파동의 감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AACN, 1993). 본 연구에서는 수술환자의 동맥관 개방성 유지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측정한 신속관류횟수와 동맥관을 거치한 후 제거할 때까지의 총 유지시간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중 빈번한 혈액검사와 정확한 환자 감시를 위해 시행하는 동맥관의 개방성유지를 위한 생리식염수와 헤파린희석용액의 개방성유지와 출혈 경향성을 비교·분석하여 동맥관의 개방성 유지방법에 대한 근거중심 간호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동맥관의 개방성과 관련된 생리식염수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동맥관의 개방성유지를 위한 생리식염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연구 결과의 임상적 적용을 통하여 수술환자에 대한 비효율적인 헤파린의 사용을 줄이고 헤파린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잠재된 위험요인과 부작용에 대한 노출기회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가설 설정

  • “생리식염수군과 헤파린희석용액군의 동맥관 개방성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 1)제 1 가설: 생리식염수군과 헤파린희석용액군의 동맥관의 개방성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 2)제 2 가설: 생리식염수군과 헤파린희석용액군은 출혈 경향성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맥관 삽입 시 삽입된 도관이 막힐 경우 문제점은? 하지만, 동맥관의 삽입으로 인해 삽관부위의 혈종이나 신경손상, 삽관 아래 부분의 순환장애, 혈전에 의한 허혈, 출혈, 통증, 감염 등의 부작용을 간과할 수 없다(KSA, 2010; Tuncali, Kuvaki, Tuncali, & Capar, 2005). 특히, 삽입된 도관이 막힐 경우 환자의 직접적인 활력징후 감시가 불가능하여 환자상태에 대한 조기발견이 어렵고, 치료의 반응에 대한 효과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없어 응급상황에 대처함에 있어 어려움을 경험할 수있다.
동맥관 삽입 시술 시 헤파린희석용액을 주입하는 이유는 헤파린의 어떤 기능 때문인가? 따라서 임상현장에서는 동맥관 삽입시술 후 삽입된 동맥카테터의 폐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파린희석용액을 연결하여 지속적으로 점적주사하거나 신속관류(fast flushing)하는 방법을 사용하여왔다(Del Cotillo,Grané, Llavoré,& Quintana, 2008; Whitta, Hall, Ben netts, Welman, & Rawlins, 2006). 헤파린은 정상적인 응고 기전의 여러 과정에 관여하여 혈액응고 및 혈전형성을 일으키는 반응들을 정지시킨다. 특히, 혈액속의 항-트롬빈 III (antithrombin III, 헤파린 보인자)의 작용을 활성화시켜 혈액응고 인자 I, IX, XI, XII와 결합하여 혈액응고 작용을 억제하고 트롬빈에 결합하여 혈전형성에 관여하는 섬유소(fibrin)의 작용을 억제하며(Edmunds, 2010; Kim, 2010; Youm, 2004), 이미 형성된 혈괴를 용해하지는 못하지만 새로운 혈괴의 생성을 억제하고 형성된 혈괴가 커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Al-Shaikh & Stacey, 2007; Bae, Go, Chung, Kim, & Park, 2002; Edmunds; Kim; Youm). 헤파린 사용의 장점은 작용과 효력이 많이 알려져 있고, 약물의 효과가 신속히 작용하며 중화가 빠르고 임상적 감시가 쉽고 사용이 간편하며 비용이 적게 든다는 것이다(Amiral, 2001; Fujita, Namiki, Suzuki,&Yamamoto, 2006).
동맥관 삽입을 시행하는 이유는? 수술환자에게 적용되는 동맥관 삽입은 환자의 혈액학적 변화에 대한 활력징후를 직접적으로 감시함으로써 환자상태와 관련된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 효과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시행된다(Bucher, 2004; Silvestri, 2005;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KSA], 2010). 수술 시 출혈로 인한 혈역학적인 변화를 관찰하기위해 마취가 진행됨과 동시에 동맥관이 거치되며 수술종료 시 제거될 때까지 동맥관을 통한 실시간 환자감시가 가능하므로, 수술환자의 동맥관 개방성 유지는 가역적인 환자상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exander, H. (2010). Heparin versus normal saline as a flush solution.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Arts, 1(1), 63-75. 

  2. Al-Shaikh, B., & Stacey, S. (2007). Essentials of anaesthetic equipment (3rd ed.). Philadelphia, PA: Churchill Livingstone. 

  3. Amiral, J. (2001). Early awareness key to successful management of heparininduce thrombocytopenia. Drug & Therapy Perspectives, 17(14), 8-12. 

  4. Aubin, B. (1979). Arterial lines: A review. Critical Care Quarterly, 2(2), 57-66. 

  5. Bae, J. W., Go, D. H., Chung, H. J., Kim, T. E., & Park, K. D. (2004). Heparinized polymer bio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15(7), 693-701. 

  6. Bedford, R. F. (1978). Long-term radial artery cannulation: Effects on subsequent vessel function. Critical Care Medicine, 6(1), 64-67. http://dx.doi.org/10.1097/00003246-197801000-00016 

  7. Brown, J. M., & Dimeski, G. (2001). Contamination of coagulation tests with heparin from blood gas samples.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87(4), 628-629. http://dx.doi.org/10.1093/bja/87.4.628 

  8. Bucher, L. (2004). Critical care environment. Medical surgical nursing (6th ed). St. Louis, MO: Mosby. 

  9. Choi, S. A., Namgung, H. U., Lee, E. S., Park, D. J., Han, H. S., & Shin, W. G.(2007). Case report: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among patients given high nutritive flui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1(1), 38-41. 

  10. Cook, H. C. (2004). Alternatives to heparin infusion. Journal of Infusion Nursing, 27(6), 413-424. http://dx.doi.org/10.1097/00129804-200411000-00007 

  11. Del Cotillo, M., Grane, N., Llavore, M., & Quintana, S. (2008). Heparinized solution vs. saline solution in the maintenance of arterial catheters: A double 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Intensive Care Medicine, 34(2), 339-343. http://dx.doi.org/10.1007/s00134-007-0886-6 

  12. Edmunds, M. W. (2010). Introduction to clinical pharmacology (6th ed., pp. 399-411). Seoul: Chung Moon Gak. 

  13. French Society of Anesthesia and Intensive Care. (1995). Arterial catheterization and invasive measurement arterial of blood pressure in anesthesia and intensive care in adults. Annales Francaises d'Anesthesie et de Reanimation, 14(5), 444-453. http://dx.doi.org/10.1016/S0750-7658-(05)80402-2 

  14. Fujita, T., Namiki, T., Suzuki, T., & Yamamoto, E. (2006). Normal saline flushing for maintenance of peripheral intravenous sit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1), 103-104. http://dx.doi.org/10.1111/j.1365-2702. 2005.01238.x 

  15. Goh, L. J., Teo, H. S., & Masagoes, M. (2011). Heparinized saline versus normal saline in maintaining patency of arterial and central venous catheters. Proceedings of Singapore Healthcare, 20(3), 190-196. 

  16. Kaye, W. (1983). Invasive monitoring techniques: Arterial cannulation, bedside pulmonary artery catheterization and arterial pressure. Heart & Lung, 12(4), 395-427. 

  17. Kim, E. K. (2005). Comparison of the effect of heparinized and nonheparinized flush solution on the patency and maintenance time for arterial lin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Kim, S. M. (2010). Development,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evidence- 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hemodialysis in the patients with risk of bl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150-155. 

  19. Klenner, A. F., Fusch, C., Rakow, A., Kadow, I., Beyersdorff, E., Eichler, P., et al. (2003). Benefit and risk of heparin for maintaining peripheral venous catheters in neonates: A placebo-controlled trial. Journal of Pediatrics, 143(6), 741-745. http://dx.doi.org/10.1016/j.jpeds.2003.09.024 

  20. Moon, C. H., Yeon, B. R., Kim, H. J., Eun, B. H., & Bae, Y. Y. (2006). Comparison of heparin flushing and normal saline flushing for patency of central catheter in hemato-oncolog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1(2), 205-213. 

  21. Paisley, M. K., Stamper, M., Brown, J., Brown, N., & Ganong, L. H. (1997). The use of heparin and normal saline flushes in neonatal intravenous catheters. Pediatric Nursing, 23(5), 521-524, 527. 

  22. Park, S. Y., Bang, S. O., Kwak, Y. L., Oh, Y. J., Cho, H. R., & Hong, Y. W. (2002). The effect of the radius and longitude of a catheter in continuous arterial blood pressure monitor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43(1), 10-14. 

  23. Silvestri, L. A. (2005). Saunders comprehensive review for the Nclex-RN examination (3rd ed.). Philadelphia, PA: Elsevier Health Sciences. 

  24.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 (1993).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heparinized and nonheparinized flush solutions on the patency of arterial pressure monitoring lines: The AACN Thunder projec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1), 3-15. 

  25.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2010). Anesthesiology & pain medicine. Seoul: Ryo Moon Gak. 

  26. Tuncali, B. E., Kuvaki, B., Tuncali, B., & Capar, E. (2005). A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heparinized and nonheparinized solutions for maintenance of perioperative radial arterial catheter patency and subsequent occlusion. Anesthesia & Analgesia, 100(4), 1117-1121. http://dx.doi.org/10.1213/01.ANE.0000146963.19543.D4 

  27. Warkentin, T. E., & Greinacher, A. (2003).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and cardiac surgery. The Annals of Thoracic Surgery, 76(2), 638-648. http://dx.doi.org/10.1016/S0003-4975(03)00756-2 

  28. Whitta, R. K., Hall, K. F., Bennetts, T. M., Welman, L., & Rawlins, P. (2006). Comparison of normal or heparinised saline flushing on function of arterial lines. Critical Care & Resuscitation, 8(3), 205-208. 

  29. Youm, W. (2004).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and thrombosis after coronary artery surgery using extracorporeal circulation.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College, 10(1), 479-4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