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 예측 요인
Predictors of Employment Intention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8 no.4, 2008년, pp.541 - 549  

한상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한정혜 (강북보건소 정신보건센터) ,  윤은경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employment intention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Methods: Mentally disabled persons who had participated in rehabilitation programs in one of 16 mental health centers and 9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간접적인 중재를 개발하고 나아가 업무의 질 향상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와 정신장애인 사회 복귀시설에서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있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취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행연구에서 부분적으로 확인된 요인들을 기초로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이를 중재함으로써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를 높여 사회에 적응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 예측 요인을 밝혀,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 예측 요인 분석 결과 지역사회 기관에서 현재 재활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는 평점 3.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 예측 요인을 파악하고 규명함으로써 정신장애인의 직업 재활 및 사회복귀를 돕기 위 한직 . 간접적인 중재를 개발하고 나아가 업무의 질 향상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에 대한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법을 이용한 서술적 인과관계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소재 정신보건센터 H개소, 경기지역 소재의 정신보건센터 5개소와 서울지역 정신장애인 사회 복귀시설 5개소, 경기지역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4개소 등 총 25개소에서 주간재활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으로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보건센터와 정신장애인 사회 복귀시설에서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 정도와,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 예측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정신장애인의 취업에 관련된 대부분의 선행 연구는 직 업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직 업 재활 욕구에 관한 연구, 취업유지나 취업여부에 따른 상관관계를 설명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 예측 요인을 검증하여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에 근무하는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이 정신장애인에게 질 높은 사례관리와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를 높여서 직업재활 및 사회 복귀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리라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thony, W. A. (1994).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at are predictive of 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process and successful employment.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17(3), 3-10 

  2. Bond, G. R., Resnick, S. G., Drake, R. E., Xie, H., McHugo, G. J., & Bebout, R. R.(2001). Does competitive employment improve nonvocational outcomes in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 489-501 

  3. Choi, E. Y. (2002). A exploratory research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tors affecting on the job maintenance for the mental disor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4. hoi, H. S. (1999). A study on the predict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utcome for persons with schizophren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5. Choi, L. H. (2005).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job maintenance period of mental disor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6. Chu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unsei Nonchong, 11, 109- 129 

  7. Coopersmith, S. (1981).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8. Dahlem, N. W., Zimet, G. D., & Walker, R. R. (1991).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 confirmation stud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7, 756-761 

  9. Disabled Persons Welfare Act. (2004).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Retrived March 1, 2008, from http://likms. assembly.go.kr 

  10. Katz, S., & Akpom, C. A. (1976). Index of ADL. Medical Care, 14 (Suppl 5), 116-118 

  11. Kim, H. S. (2006). A study on desire for employment among person with mental disor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2. Lawton, M. P., & Brody, E. M. (1969).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erontologist, 9, 179-186 

  13. Lee, G. J. (2000). A study on the factor affecting on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for the mental disor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4. Lee, J. H. (2003). A study on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social adjustment of the mentally disabled: Focusing on users of mental health service centers in local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15. Lee, J. H. (2005). Effects of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on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ly il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6. Lee, Y. R. (2001). A Study on the factors predicting on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 disorders in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7. Lehman, A. F. (1983). The well-being of chronic mental patient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0, 369-373 

  18. Mechanic, D. (1986). The challenge of chronic mental illness: A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view.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37, 891-896 

  19. Mental Health Act. Retrieved March 1, 2008, from http://www. lawnb.com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Social welfare programs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1. Nam, S. J. (2002). A study on the need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2. Noh, I. Y. (2001). Comparative research of the medical cost, the quality of life, the family burden of the mentally ill before and after th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3. Park, J. Y. (2002). A comparative study on quality of life self-esteem with work status in mentally handicapped pers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4. Pilisuk, M. (2001). A job and a home: Social networks and the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in the community.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1, 49-60 

  25. Rogenberg, M. (1973).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Ryu, J. S. (200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job maintenance for the mental disor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27. Tsang, H., Ng, B., Chiu, I. Y., & Mann, S. (2000). Predictors of post-hospital employment status for psychiatric patients in Hong Kong: From perceptions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to empirical evidenc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46, 306-312 

  28. Van Dongen, C. J. (1996).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in working and nonworki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32, 535-548 

  29. Vaquera, E., Kao, G. (2008). Do you like me as much as I like you? Friendship reciprocity and its effects on school outcomes among adolescents. Social Science Research, 37, 55-72 

  30. Wehman, P., & McLaughlin, P. (1980). Vocational curriculum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Baltimore, MD: University Park Press 

  31. WHO. (1980).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Short version. Geneva, WHO. Retrieved March 1, 2008, from http://www.who.int/classifications/icf 

  32. Woo, J. Y. (2002). Relationships between ego-states and quality of life among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