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우 및 고령자 측면에서의 모바일 SNS 앱접근성 평가
Mobile SNS Application Accessibility Evaluation for the Disabled and the Aged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3 no.4, 2012년, pp.575 - 582  

홍미희 (숙명여자대학교 멀티미디어과학과) ,  박화진 (숙명여자대학교 멀티미디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페이스북과 같은 모바일 SNS는 모든 사용자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타인과 협력하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앱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일반인외에도 앱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장애인과 고령자가 사용하기에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모바일 앱 접근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모바일 앱 접근성은 인지적, 신체적 특징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행정안전부에서 고시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과 한국정보화진흥원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안드로이드) 접근성 점검 매뉴얼 (v1.0)'을 기반으로 페이스북과 카카오톡인 모바일 SNS의 모바일 앱 접근성을 평가하여, 모바일 앱 접근성 준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bile SNS like facebook is famous as an app which users cooperate others and share information without regard to time and place. Bu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mobile app accessibility in view of the disabled and the aged to check if they get appropriate interface service to use such a popul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누르기 동작 지원: 멀티 터치, 슬라이드, 끌기와 놓기등의 복잡한 동작을 단순 누르기 동작으로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 되었는지 점검하기 위해, 이와 같은 복잡한 동작을 대체할 수 있는 단순한 누르기 동작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 색에 무관한 인식: 색상으로 정보를 구분할 경우, 색상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도 동등한 내용을 전달하고 있는지 점검하기 위해, 색상을 대체할 수 있는 텍스트, 이미지, 심볼 등이 제공되는지 확인한다.
  • 자막, 수화 등의 제공: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동일한 내용의 자막, 원고 또는 수화가 제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지침’에 따라 구글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기반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점검 매뉴얼’을 기반으로 카카오톡과 모바일 페이스북의 모바일앱 접근성을 평가하고, 부족한 점을 분석하여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SNS의 대표인 모바일 페이스북과 카카오톡이 장애인과 고령자에게 편리한 UI를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모바일 앱 접근성 평가를 하였다. 모바일 페이스북과 카카오톡을 평가한 결과, 모바일 앱 접근성의 지침인 준수사항과 권고사항 중거의 대부분의 항목에서 장애인과 고령자가 모바일에서 느끼는 애로점이 현존해있다.
  • 0)‘ 기반으로 한 체크 목록을 이용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평가를 하였다. 이 평가를 통해 모바일 앱 접근성에 대해 논해봄으로써 모바일 SNS의 모바일 앱 접근성 문제점 및 개선점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대체 텍스트 :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는 대체가능한 텍스트와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 컨트롤간 충분한 간격: 컨트롤은 충분한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관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배치를 일관성 있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앱 접근성이란? 모바일 앱 접근성이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장애인, 고령자 등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에게 이의 활용 가능성이 제공됨을 말한다[2].
SNS란? 이러한 서비스를 모바일SNS(Social Network Service)라고 한다. SNS는 사회적 관계 개념을 인터넷 공간으로 가져온 것으로, 사용자 간의 관계 맺기를 통해 네트워크형성을 지원하며 개인의 일상사나 관심사를 공유·소통시켜주는 서비스를 말한다[1]. SNS의 가장 큰 특징은 개인을 둘러싼 지인들이 어떤 제약도 없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고, 그 지인들이 제공하는 관심사 및 정보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장애인과 고령자가 모바일 SNS를 이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은? 이처럼 장애인과 고령자가 모바일 SNS를 이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면, 온라인상에서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를 맺고 유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접하지 못하고, 여러 사람들과의 정보공유에서 제외되어, 정보 고립의 어려움도 겪으면서 자아감과 소속감을 상실할 것이다. 이 같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모든 사용자가 동등한 모바일 접근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 모바일 웹 이니셔티브(Mobile Web Initiative)에서 Mobile Web Best Practices 1.0을 2008년 7월 29일에 제정하였다. 이는 초창기 모바일 앱 접근성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ong-kwhan Lee, "open platform, operational separat ion, SNS", Media Dictionary, Media+ Future vol 32, 2009. 

  2.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guidelines", 2011. 

  3. sung-kuk Hur, Jae-Hwa Choi, "A study on the use of Blog in Business: A TAM Perspective", Proceedings of conferences of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pp. 872-891, 2008 

  4. Hyun-soo Hwang, "undeveloped land of internet marketing, SNS", Marketing, 43(1) no. 480 pp.38-39, Jan. 2009. 

  5. Peiking GunHeung research and consulting, "mobile IM service market analyses", 2006. 

  6. Pidori's web accessibility & IT Transformation, http://jhyun.wordpress.com/2011/09/14 

  7. wikipedia, http://ko.wikipedia.org/wiki 

  8. juhye Yook, Jinsul Kim, Hyun Jung Oh, "Implementation of Korea - Computer Access Assessment System (K-CAAS) for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3, no 3, pp.335-34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