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선균의 식물생육촉진 효과와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Effects of Streptomyces spp. on Growth of Plants and Antifungal Activity of Plant Pathogen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6 no.4, 2012년, pp.383 - 386  

한지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박경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이상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김정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농경지의 식물 근권토양에서 식물체의 초기생육촉진 효과가 있는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treptomyces spp.로 동정되었다. Streptomyces griseus (MSS181), Streptomyces griseoaurantiacus (MSS269), Streptomyces microflavus (MSS275), Streptomyces herbaricolor (MSS276)의 배양액을 오이, 고추, 담배와 토마토의 생육초기단계에 관주 처리하여 식물체의 초장, 건조중량을 측정하였다. 방선균 처리에 의해 오이의 초장은 대조구에 비해 16-29% 증가하였으나 건조중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같은 방선균을 고추에 처리하였을 때 고추의 초장은 대조구에 비해 10-19%, 건조중량은 19-25% 증가하였다. 담배의 건조중량은 44-73% 증가하였고 토마토의 건조중량도 65-165% 증가하였다. 공시균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MSS275의 Phytophthora capsici, Fusarium oxysporum, Rhizoctonia solani와 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강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eptomyces spp. were isolated from rhizosphere in fallow lands. The Streptomyces spp. were identified as Streptomyces griseus (MSS181), Streptomyces griseoaurantiacus (MSS269), Streptomyces microflavus (MSS275), Streptomyces herbaricolor (MSS276)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Afterwards, cuc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treptomyces 속균이 생산하는 indole-acetic acid(IAA) (Aldesuquy 등, 1998)와 siderophore(Tokala 등, 2002)에 의한 식물의 생육촉진효과가 보고한 바 있고(Sadeghi 등, 2012), Streptomyces griseoluteus에 의해 생산되는 식물생육 조절인자인 putrescine, spermidine, spermine과 같은 polyamine류의 생육촉진효과 또한 보고되고 있다(Nassar 등, 2003). 본 연구에서는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방선균을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방선균이 다양한 작물의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항균활성 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선발 방선균을 오이 유묘에 처리한 결과, MSS275와 MSS 276균주처리구의 초장이 대조구에 비해 29%, 16% 증가되었으나(Fig. 1) 건조중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선발 방선균을 고추에 처리했을 때 MSS269와 MSS 276 균주처리구의 초장은 19%, 14% 건조중량은 25%, 22% 증가하였고(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생육촉진 근권미생물의 역할은? 식물 뿌리주변의 토양은 다른 부위의 토양에 비해 무기물, 산소가 부족하고 CO2와 유기물이 풍부한 환경을 형성하고 있어 다양한 토양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미생물은 내부근권(endorhizosphere), 뿌리의 표면(rhizoplane), 뿌리근방의 토양(근권, rhizosphere soil)에 존재한다(Yeo 등, 2009). 근권미생물 중 식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생육촉진 근권미생물은(PGPR,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은 유용미생물로서 토양 중의 유기태, 불용성 질소, 인, 황에 작용하여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무기물형태로 가용화시키며 auxin(Jung 등, 2006), gibberelins, cytokines 같은 식물생육 조절인자인 식물호르몬(phytohormone)과 siderophores의 생산하여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기도 하며 항균물질을 분비하여 토양 내 식물병원균으로부터 뿌리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Mahadevan과 Crawford, 1997).
식물 뿌리주변의 토양은 어떤 환경을 형성하고 있는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식물생육촉진 근권 미생물의 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식물 뿌리주변의 토양은 다른 부위의 토양에 비해 무기물, 산소가 부족하고 CO2와 유기물이 풍부한 환경을 형성하고 있어 다양한 토양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미생물은 내부근권(endorhizosphere), 뿌리의 표면(rhizoplane), 뿌리근방의 토양(근권, rhizosphere soil)에 존재한다(Yeo 등, 2009). 근권미생물 중 식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생육촉진 근권미생물은(PGPR,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은 유용미생물로서 토양 중의 유기태, 불용성 질소, 인, 황에 작용하여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무기물형태로 가용화시키며 auxin(Jung 등, 2006), gibberelins, cytokines 같은 식물생육 조절인자인 식물호르몬(phytohormone)과 siderophores의 생산하여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기도 하며 항균물질을 분비하여 토양 내 식물병원균으로부터 뿌리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Mahadevan과 Crawford, 1997).
Streptomyces가 식물체의 발달에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토양에 존재하는 주된 미생물 중 하나인 Streptomyces는 항생제, 비타민, 효소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고 토양 비옥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식물병원균으로부터 뿌리를 보호하고(Vasconcellos과 Cardoso, 2009), 식물체의 발달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Streptomyces 속균이 생산하는 indole-acetic acid(IAA) (Aldesuquy 등, 1998)와 siderophore(Tokala 등, 2002)에 의한 식물의 생육촉진효과가 보고한 바 있고(Sadeghi 등, 2012), Streptomyces griseoluteus에 의해 생산되는 식물생육 조절인자인 putrescine, spermidine, spermine과 같은 polyamine류의 생육촉진효과 또한 보고되고 있다(Nassar 등,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ldesuquy, H. S, F. A. Mansour and S. A. Abo-Hamed (1998) Effect of the culture filtrates of Streptomyces on growth and productivity of wheat plants. Folia Microbiologica. 43: 465-470. 

  2. Doumbou C. L., M. K. H. Salove, D. L. Crawford and C. Beaulieu (2001) Actinomycetes, promising tools to control plant diseases and to promote plant growth. Phytoprotection. 82(3):85-102. 

  3. EI-Tarabily, K. A. (2008) Promotion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plant growth by rhizosphere competent 1- 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deaminase-producing streptomycete actinomycetes. Plant Soil. 308:161-174. 

  4. Jung H. K., J. R. Kim, S. M. Woo and S. D. Kim (2006) An auxin produc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Bacillus subtilis AH18 which has siderophore-producing biocontrol activity.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34:94-100. 

  5. Lim T. H., S. Y. Kwon and J. H. Kim (2007) Effects of Streptomyces sp. MG121 on growth of pepper plants and antifungal activity. Research in Plant Disease. 13(2):93-97. 

  6. Mahadevan, B. and D. L. Crawford (1997) Properities of the chitinase of the antifungal biocontrol agent Streptomyces lydicus WYEC108.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20:489-493. 

  7. Nassar A. H., K. A. EI-Tarabily and K. Sivasithamparam (2003) Growth promotion of bean (Phaseolus vulgaris L.) by a polyamine-producing isolate of Streptomyces griseoluteus. Plant Growth Regulation. 40:97-106. 

  8. Sadeghi, A., E. Karimi, P. A. Dahaji, M. G. Javid, Y. Dalvand and H. Askari (2012)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of an auxin and siderophore producing isolate of Streptomyces aunder saline soil conditions. World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8:1503-1509. 

  9. Tokala, R. K., J. L. Strap, M. J. Carina , D. L. Crawford, M. H. Salove, L. A. Deobald, J. F. Bailey and M. J. Morra (2002) Novel plant-microbe rhizosphere interaction involving Streptomyces lydicus WYEC108 and the Pea Plant (Pisum savivum).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8(5): 2161-2171. 

  10. Vasconcellos, R. L. F. and E. J. B. N. Cardoso (2009) Rhizospheric Streptomycetes as potential biocontrol agents of Fusarium and Armillaria pine rot and as PGPR for Pinus taeda. Biocontrol. 54:807-816. 

  11. Yeo S. H., Y. M. Yook and H. S. Kim (2009)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Bacillus subtilis YK-5 from soil. KSBB Journal. 24: 334-3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