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 특성 및 토지이용에 따른 낙동강 상류지역 토양침식위험성 평가
Soil Erosion Risk Assessment by Soil Characteristics and Landuse in the Upper Nakdong River Basin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6, 2012년, pp.890 - 896  

박찬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  손연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  현병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  송관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  전현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  조현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  문용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  윤순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구축한 우리나라의 분포형 토양침식지도를 이용하여 낙동강 상류지역인 35개 표준유역 (안동댐 유역 18, 임하댐유역 17)에 대하여 환경부 토지피복도와 중첩분석을 통하여 토지이용별 토양침식위험성을 평가하여 토양침식위험지를 구분하였으며, 이를 정량화 하였다. 추정된 대상유역 총 토양유실양은 2,013천 Mg $yr^{-1}$ 이었으며, 면적당 평균 토양유실량은 $5.6Mg\;ha^{-1}yr^{-1}$ 이었다. 중권역 단위로 살펴보면 토양유실량은 각각 안동댐 유역 979천 Mg $yr^{-1}$, 임하댐 유역 1,034천 Mg $yr^{-1}$ 이었고, 면적당 평균 토양유실량은 각각 안동댐 유역 $6.0Mg\;ha^{-1}yr^{-1}$, 임하댐 유역 (2002) $5.2Mg\;ha^{-1}yr^{-1}$ 이었다. 임하댐과 안동댐 유역내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면적당 토양유실량을 비교해 보면 각각 안동댐 유역 $24.0Mg\;ha^{-1}yr^{-1}$, 임하댐 유역 $20.7Mg\;ha^{-1}yr^{-1}$으로 안동댐 유역의 값이 컷지만, 전체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은 각각 $479,242Mg\;yr^{-1}$, $612,285Mg\;yr^{-1}$ 으로 임하댐 유역이 더 많은 양의 토양침식이 농경지에서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고, 이는 임하댐 유역 전체에서 발생되는 추정 토양침식량의 임하댐 59%에 해당하는 값이었다. 토양의 모재별 특성으로 전체 35개 소유역을 구분 후 소 유역별 면적당 추정 토양유실량을 비교한 결과 "퇴적암 그룹" ($6.4MT\;ha^{-1}yr^{-1}$) > "혼합지역 그룹" (5.8) > "변성암 그룹" (5.5) > "화성암 그룹" (4.3) 순이었으며, 이는 토양유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토양인자인 토성, 경사도 등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oil erosion risk with a standard unit watershed in the upper Upper Nakdong River Basin according to soil characteristics and landuse using the spatial soil erosion map. The study area is $3,605.6km^2$, which consists of 2 subbasins, 35 standard unit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상류지역인 안동댐 및 임하댐 유역을 대상으로 소유역별 토지이용에 따른 토양침식위험성을 분포형 토양유실지도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정량화 하고자 하였으며, 소유역별 다양한 토양특성을 그룹화하여 토양침식위험성 정도를 비교하여 중·소유역 단위의 유역 관리체계 구축시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유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기술 개발이 시급한 이유는? 최근에는 종전 대권역 중심의 유역관리는 실제 정책집행 효과를 분석하거나 판단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어 중·소유역 단위의 유역 관리체계를 확산시키고자 하고 있다 (MOE, 2006). 우리나라는 여름철 집중강우와 전국토의 대부분이 경사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토양유실에 의한 발생되는 토양자원 손실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현탁입자 및 영양염류는 저수용량의 감소, 부영양화 및 오염물질의 이동 등의 여러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이에 토양유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소유역 단위의 유역 관리체계를 확산시키고자 한 이유는? 우리나라의 경우 4대강 유역을 중심으로 물관리종합대책, 물환경관리기본계획 등 수질개선을 위한 정책들이 도입되어 왔다. 최근에는 종전 대권역 중심의 유역관리는 실제 정책집행 효과를 분석하거나 판단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어 중·소유역 단위의 유역 관리체계를 확산시키고자 하고 있다 (MOE, 2006). 우리나라는 여름철 집중강우와 전국토의 대부분이 경사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토양유실에 의한 발생되는 토양자원 손실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현탁입자 및 영양염류는 저수용량의 감소, 부영양화 및 오염물질의 이동 등의 여러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이에 토양유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토양유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시는? 낙동강 상류지역인 안동댐과 임하댐 유역은 서로 인접해 있으나, 안동댐 유역과 달리 임하댐 유역에서는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한 집중강우의 영향으로 다량의 토양이 유실되어 심각한 탁수문제가 발생되었고,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총 2,331억 원의 예산을 배정하여 탁수저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Jang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ur, S.O., Y.K. Sonn, K.H. Jung, C.W. Park, H.H. Lee, S.K. Ha, and J.K. Kim. 2007. Assessement of soil loss estimated bysoil catena originated from granite and gneiss in catchment. Korean J. Soil. Sci. Fert. 40(5):338-391. 

  2. Jang, C.H., J. Ryu, H. Kang, D, Kum, Y. Kim, H.Y. Park, K.S. Kim, and K. J. Lim. 2011. Development of SATEEC R module using daily rainfall data. Korean J. Soil. Sci. Fert. 44(6):983-990. 

  3. Jung, K.H., Y.K. Sonn, S.Y. Hong, S.O. Hur, and S.K. Ha. 2005. Assessment of National Soil Loss and Potential Erosion Area using the Digital Detailed Soil Maps. Korea J. Soil Sci. Fert. 38:59-65. 

  4. Jung, K.H., Y.K. Sonn, S.Y. Hong, S.O. Hur, and S.K. Ha. 2005. Assessment of National Soil Loss and Potential Erosion Area using the Digital Detailed Soil Maps. Korean J. Soil Sci. Fert. 38:59-65. 

  5. Jung, Y.S., Y.K. Kwon, H.S. Lim, S.K. Ha, P.K. Jung, and Y.E. Yang. 1999. R and K factors for an application of RUSLE on the slope soils in Kangwon-Do, Korea. Korean Soc. Soil. Sci. Fert. 32:31-38. 

  6. Lee, G.S. and J.H. Park. 2006. The analysis of GIS DB for the evaluation of turbid water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river channel.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4(1):1-8. 

  7. Lee, J.W., J.S. Eom, B.C. Kim, W.S. Jang, J.C. Ryu, H.W. Kang, K.S. Kim, and K.J. Lim. 2011. Water quality prediction at Mandae watershed using SWAT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 vegetated filter strip. Korean K. Soc. Agri. Engi. 53(1):37-45. 

  8.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Basic plan for management of water environment (In Korean). 

  9.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06. Research Report (In Korean). 

  10.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07. Research Report (In Korean). 

  11. Park, C.W., Y.K. Sonn, B.K. Hyun, K.C. Song, H.C. Chun, Y.H. Moon, and S.G. Yun. 2011. The redetermination of USLE rainfall erosion factor for estimaion of soil loss at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40(6):977-982. 

  12. Park, Y.S., J.G. Kim, N.W. Kim, K.S. Kim, J.D. Choi, and K.J. Lim. 2007. Analysis of sediment yields and watershed scale using Area/Slope-based sediment delivery ratio in SATEEC. Korean. J. Sco. Water Qual. 23(5):650-658. 

  13. Renard, K.G., G.R. Foster, G.A. Weesies, D K. McCool, and D.C. Yoder. 1997. Prediction soil erosion and water: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with the revised USLE, US. Dep. Agric., Agric. Handbook No. 703. 

  14. Sonn, Y.K., B.K. Hyun, S.J. Jung, S.O. Hur, K.H. Jung, M.C. Seo, and S.K. Ha. 2007. Morpholigical classification of unit basin based on soil &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Yeongsangang basin. Korean J. Soil. Sci. Fert. 40(4): 262-268. 

  15. Wischmeier, W.H. and D.D. Smith. 1965. Predicting rainfallerosion losses from cropland east of the Rocky Mountains: A guide for selection of practices for soil and water conservation. US. Dep. Agric., Agric. Handbook No. 282. 

  16. Wischmeier, W.H. and D.D. Smith. 1978. Predicting rainfall-erosion losses: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US. Dep. Agric., Agric. Handbook No. 53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