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icrotox 생물검정법을 이용한 은 이온과 은 나노입자의 수용액과 토양에서의 독성 비교 평가
Toxicity Assessment of Silver Ions Compared to Silver Nanoparticles in Aqueous Solutions and Soils Using Microtox Bioassay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6, 2012년, pp.1114 - 1119  

위민아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오세진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김성철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김록영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이상필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김원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해화학과) ,  양재의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 이온을 주성분으로 하는 $Ag^+N$$Ag^0$ 나노입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Ag^0NP$의 미생물학적 독성을 Microtox 생물검정법을 이용하여 수용액과 토양에서 용량-반응관계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수용액 실험에서 Vibrio fisheri의 50% 발광 저해율을 보여주는 $EC_{50}$ 값은 $Ag^+N$$Ag^0NP$ 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나, 이온상태의 $Ag^+N$이 독성이 훨씬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노출시간이 15분에서 30분으로 증가하면 독성 또한 증가했다. 반대로 토양 추출액 실험에서는 $Ag^+N$$ED_{50}$ 값이 $Ag^0NP$의 값 보다 높아, $Ag^+N$의 독성이 더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Ag^+N$$Ag^+$가 토양 입자 또는 부식산에 강하게 흡착 되거나, Microtox 희석제 NaCl과 반응하여 난용해성 AgCl 침전물을 형성하여, 토양 추출액 중의 활성 Ag 농도가 감소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Microtox 분석에 의한 Ag 나노용액의 생물학적 독성은 Ag의 존재형태 ($Ag^+$, $Ag^0$), 반응매질 (수용액, 토양), 노출시간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microbial toxicity of ionic silver solution ($Ag^+N$) and silver nanoparticle suspension ($Ag^0NP$) based on the Microtox bioassay. In this test, the light inhibition of luminescent bacteria was measured after 15 and 30 min exposure to a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5 mL씩 3반복으로 넣고, 5℃에서 보관하고 있던 미생물 (Vibrio fisheri) 배양액을 10 μL 넣은 후 초기 발광량 (I0)을 측정하였다. 15분과 30분 후에 용액별, 농도별로 저해된 발광량 (It)을 측정한 후, 용량-반응관계식을 이용하여 발광량이 25, 50, 75% 감소되는 때의 유효농도 (EC: effective concentration) EC25, EC50, EC75 를 산출하였다. Soil test: 토양 15 g에 Ag 함량이 500, 250, 125, 62.
  • Ag+ 이온을 주성분으로 하는 Ag+N과 Ag0 나노입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Ag0NP의 미생물학적 독성을 Microtox 생물 검정법을 이용하여 수용액과 토양에서 용량-반응관계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수용액 실험에서 Vibrio fisheri 의 50% 발광 저해율을 보여주는 EC50 값은 Ag+N이 Ag0NP 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나, 이온상태의 Ag+N이 독성이 훨씬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입자 사이즈는 Ag+ N이 7~25 nm, Ag 0 NP는 5~10 nm이었다. Microtox 독성실험에 이용한 두용액의 pH, EC 외에 중금속 함량 및 Ag 농도는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ICP-OES; Thermo, iCAP 6000 serie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용량-반응관계를 이용하여 발광량이 25, 50, 75% 감소되는 때의 토양 유효용량 (effective dose) ED25, ED50, ED75 를 산출하였다. 매 실험 세트마다 zink sulfate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Microtox 미생물 활성이 적정 범위에 있는지를 체크했다.
  • (PS-13)이다. 본 논문에서는 Nanover 용액을 Ag+ N으로, NANOMIX 용액을 Ag0 NP로 명명하였다. 두 용액 모두 무색의 콜로이드 상태였고, 제공받을 상태의 Ag 농도는 1,000 mg L -1 ± 5%이였다.
  • 본 연구에서는 Microtox 생물검정법을 이용하여, Ag+ 이온과 Ag0 나노입자를 각각 주성분으로 Ag 나노용액의 미생물학적 독성을 용량-반응관계를 이용하여 in vitro와 토양 에서 비교, 평가하였다.
  • 5 mL 씩 넣고, 5℃에서 보관 하고 있는 미생물 (Vibrio fisheri) 배양액을 10 μL 넣은 후초기 발광량 (I0)과 15분, 30분 후에 저해된 발광량 (It)을 측정하였다. 용량-반응관계를 이용하여 발광량이 25, 50, 75% 감소되는 때의 토양 유효용량 (effective dose) ED25, ED50, ED75 를 산출하였다. 매 실험 세트마다 zink sulfate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Microtox 미생물 활성이 적정 범위에 있는지를 체크했다.
  • 제공된 cuvette에 희석액을 농도별로 0.5 mL씩 3반복으로 넣고, 5℃에서 보관하고 있던 미생물 (Vibrio fisheri) 배양액을 10 μL 넣은 후 초기 발광량 (I0)을 측정하였다.
  • 토양 여과액은 1/2 배수로 희석한 후 제공된 cuvette에 0.5 mL 씩 넣고, 5℃에서 보관 하고 있는 미생물 (Vibrio fisheri) 배양액을 10 μL 넣은 후초기 발광량 (I0)과 15분, 30분 후에 저해된 발광량 (It)을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강원대학교 교내 시험포장으로 사용되던 밭토양 표토 (0~15 cm)를 채취하여 풍건 후 2 mm 표준체로 체질한 후 Microtox 독성실험에 이용하였다. 토양의 일반 물리성, 화학성 분석 [토성, pH (H2O; 1:5), EC (1:5), 유기물, 유효태 인산 함량]은 농촌진흥성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NIAST, 2000)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 농경지 토양의 Zn 우려기준은 300 mg kg-1이다 (MOE, 2009b). 사용한 토양의 토성은 loamy sand 이였다.

이론/모형

  • Ag+N과 Ag0NP의 미생물학적 독성은 in vitro와 토양에서 Microtox M500 (AZUR Environmental, USA) 분석기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인 Microtox basic test for aqueous extracts protocol (AZUR Environmental, 1998)에 따라 각각 분석하였다. In vitro test: Ag+N와 Ag0NP 원액을 초순수 증류수를 사용하여 Ag 농도가 500, 250, 125, 62.
  • 토양의 일반 물리성, 화학성 분석 [토성, pH (H2O; 1:5), EC (1:5), 유기물, 유효태 인산 함량]은 농촌진흥성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NIAST, 2000)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중금속 전함량은 환경부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MOE, 2009a)에 준하여 0.15 mm 체를 통과한 토양 시료를 왕수 (conc. HCl+HNO3)로 분해한 후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강원대학교 교내 시험포장으로 사용되던 밭토양 표토 (0~15 cm)를 채취하여 풍건 후 2 mm 표준체로 체질한 후 Microtox 독성실험에 이용하였다. 토양의 일반 물리성, 화학성 분석 [토성, pH (H2O; 1:5), EC (1:5), 유기물, 유효태 인산 함량]은 농촌진흥성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NIAST, 2000)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중금속 전함량은 환경부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MOE, 2009a)에 준하여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온 형태인 Ag+에 의한 미생물 불활성화 메커니즘은 무엇이 있는가? Ag의 항균성 메커니즘은 이온 형태인 Ag+ 와 Ag0 나노입자 형태인 AgNP가 다소 상이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Ag+이온에 의한 미생물 불활성화 메커니즘으로는 (1) 세균 세포 벽의 S를 함유하고 있는 효소 단백질의 하나인 시스테인 (cysteine)의 -SH기와 반응하여 -S-Ag가 생성되어 효소활동 저해 (Morones et al., 2005), (2) 세균 세포질막 (cytoplasmic membrane)에 있는 K+ 이온 방출로 인한 세포질 불활성화 (Liau, 1997), (3) 세균 호흡활동 저해 (Slawson et al., 1990) 둥이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Ag+ 이온은 DNA 염기와 반응하여 DNA 복제를 저해하거나 (Feng et al., 2000), 세균의 탈질화 활동을 저해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 졌다 (Throbaeck et al., 2007).
나노물질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분야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 나노기술 (nanotechnology)의 급속한 발전으로 의학, 가전, 생활용품, 전자재료, 건축재료, 환경 분야 등에서 나노물질 (nanomaterials)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30개 국가에서 약 1320개의 나노기술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 (Woodrow Wilson Database, 2011). 연간 나노입자 (nanoparticles)의 생산은 세계적으로 약 60,000 톤에 달하며 (Jovanovic et al.
연간 나노입자의 생산은 어떠한가? 최근 나노기술 (nanotechnology)의 급속한 발전으로 의학, 가전, 생활용품, 전자재료, 건축재료, 환경 분야 등에서 나노물질 (nanomaterials)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30개 국가에서 약 1320개의 나노기술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 (Woodrow Wilson Database, 2011). 연간 나노입자 (nanoparticles)의 생산은 세계적으로 약 60,000 톤에 달하며 (Jovanovic et al., 2011), 국내에서는 2009년 기준 약 8,700 톤의 나노물질이 유통되고 있다 (Cho, 2011). 나노물질은 생산과정, 사용과정 또는 사용 후에 오염물질 또는 폐기물의 형태로 환경생태계로 유입되지만, 생태독성과 인체독성에 대한 검증 없이 사용되고 있어, 환경생태계와 인간에게 잠재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ZUR Environmental. 1998. The Microtox acute basic, DIN, ISO and wet test procedure. Carlsbad, Calif, USA. 

  2. Cho, G.Y. 2011. Chemicals management divisio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3. Feng, Q.L., J. Wu, G.Q. Chen, F.Z. Cui, T.N. Kim, and J.O. Kim. 2000. A mechanistic study of the antibacterial effect of silver ions on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J. Biomed. Mater. Res. 52:662-662. 

  4. Haensch, M. and C. Emmerling. 2010. Effects of silver nanoparticles on the microbiota and enzyme activity in soil. J. Plant Nutiri. Soil Sci. 173:554-558. 

  5. Jacobson, A.R., S. Klitzke, M.B. McBride, P. Baveye, and T.S. Steenhuis. 2005. The desorption of silver and thallium from soils in the presence of a chelating resin with thiol functional groups. Water Air Soil Poll. 160:41-54. 

  6. Jovanovic, B., L. Anastasova, E.W. Rowe, Y. Zhang, A.R. Clapp, and D. Palic. 2011. Effects of nanosized titanium dioxide on innate immune system of fathead minnow (Pimephales promelas Rafinesque, 1820). Ecotoxicol Environ Saf. 74(7):675-683. 

  7. Lee, S.P. 2006. Ecotoxicological assessment of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using soil enzymes and luminescent bacteria. Master-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8. Lee, J.N. and I.Y. Hwang. 1999. Evaluation of environmental toxicities for priority water pollutants in a small watershed by bioassays. Kor. J. Environ. Toxicol. 14:135-144. 

  9. Lee, Y.S., H.S. Jeong, S.W. Kim, M.S. Yeo, H.S. Lim, E.J. Kim, and J.S. Min. 2005. Inhibition effect of nano-silver liquid against various plant microorganisms. J. Agri. Life Environ. Sci. 16:125-133. 

  10. Liau, S.Y., D.C. Read, W.J. Pugh, J.R. Furr, and A.D. Russell. 1997. Interaction of silver-nitrate with readily identifiable groups; relationship to the antibacterial action of silver ions. Lett. Appl. Microbiol. 25:297-283. 

  11. MOE. 2009a. Soil contamination standards methods. 2009.09.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12. MOE. 2009b. Enforcement Decree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12th. amended. No. 333. 2009.6.25.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13. MOE. 2011. Soil monitoring network and survey of soil pollution status. Annual report 2010.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14. Morones, R., J.L. Elechiguerra, A. Camacho, K. Holt, J.B. Kouri, J.T. Ramiyrez, and M.J. Yacaman. 2005. The bactericidal effect of silver nanoparticles. Nanotechnology 16:2346-2353. 

  15. Nam, J.J, S.J. Kim, and P.K. Park. 2006. Microtox biological toxic assessment of soils treated with sewage sludge. J. Korean Soc. Environ. Anal. 9(3):191-198. 

  16. NIAST. 2000. Methods of soil and plant anlysis. National Institut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In Korean). 

  17. NIER. 2010. Study on hazardous properties of manufactured silver nanoparticl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8. Park, K. 2005. Toxicity of nanomaterials and strategy of risk assessment. K. Environ. Toxicol. 20(4):259-271. 

  19. Park, Y.H. 2008. Impact of the nano-silver suspension on soil quality parameters. Master-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 Salizzato, M., B. Pavoni, A.V. Ghirardini, and P.F. Ghetti. 1998. Sediment toxicity measured using Vibrio fischeri as related to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PCBs, PAHs) and inorganic (Metals, sulphur) pollutants. Chemosphere 36:2949-2968. 

  21. Slawson, R.M., H. Lee, and J.T. Trevors. 1990. Bacterial interactions with silver. Biol. Met. 3:151-154. 

  22. Sondi, I. and B.S. Sondi. 2004. Silver nanoparticles as antimicrobial agent: a case study on E. coli as a model for gram-negative bacteria. J. Colloid Interface Sci. 275:177- 182. 

  23. Throbaeck, I.N., M. Johansson, M. Rosenquist, M. Pell, M. Hansson, and S. Hallin. 2007. Silver (Ag+) reduces denitrification and induces enrichment of novel nirK genotypes in soil. FEMS Microb. Lett. 270:189-194. 

  24. Woodrow Wilson Database. 2011. Nanotechnology consumer product inventory. http: //www.nanotechproject.org/inventories/ consumer/analysis_draf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