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별 기상자료를 이용한 농경지 물 수지 및 토양수분 예측모형 (AFKAE0.5) 개발
The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 (AFKAE0.5) for Water Balance and Soil Water Content Using Daily Weather Data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6, 2012년, pp.1203 - 1210  

서명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허승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손연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조현숙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전원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민경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민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밭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토양내 수분함량에 따른 적정관개가 작물생산성에 중요한 역할을 기 때문에 손쉽게 농가에서 포장의 토양수분함량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시험은 농경지에서 간단한 일 기상자료와 관개이력으로 물 수지 및 토양수분함량을 일단위로 추정하기 위하여 AFKAE0.5 토양수분추정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토양의 특성을 단순화 하기 위해 대상토양을 300mm의 균일한 토양으로 가정하였고 대상 토양지하에서 물 이동을 정의하기 위하여 토양수분장력에 따른 3개의 수분영역을 설정하여 투수량과 상승량을 산출하여 물 수지에 반영하였다. 토양 물수지에서 투입요인으로는 강우, 관개, 수분 상승량을 설정하였고 산출요인으로는 증발산, 유거, 투수량을 설정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각 요인의 물량 산출을 위한 추정모형은 문헌 및 보고서를 이용하여 작성하였으며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공주지역 고추포장을 대상으로 작부기간 동안 AFKAE0.5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여 물 수지를 산출하였으며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실제 포장에서 층위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토양수분함량 변화 값을 비교하였다. 대상 포장에 대해 AFKAE0.5 모형의 모의 결과 투입부분으로 연간 강우, 관개, 수분상승량은 각각 1,043, 0, 207 mm이었으며 산출요인으로 증발산, 유거, 투수량은 각각 831, 309, 161 mm로 산출되어 투입된 물보다 산출된 물의 양이 88 mm 많았다. 또한 작부기간중 증발산량에 대해 지하에서 상승하는 수분량이 24.7%에 해당되어 건조기에 지하에서 모세관 등을 통해 상승하는 양도 상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작부기간 중 토양수분 측정값과 AFKAE0.5 모형의 모의 값과 토양수분함량의 변화를 일별로 비교한 결과 포화 되었을 때의 수분함량이 유사하였으며 건조에 따른 수분함량 일별 감소비율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어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발된 AFKAE0.5 토양 물수지 및 수분추정 모형은 농가에서 손쉽게 자가 포장에 대한 기본적인 영농이력을 알고 있으며 포장의 수분상태를 알 수 있고 적정관개를 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area of upland crops increase, it is become more important for farmers to understand status of soil water at their own fields due to key role of proper irrigation. In order to estimate daily water balance and soil water content with simple weather data and irrigation records, we have develo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인터넷의 보편화에 따른 지역별 기상정보가 실시간 또는 일별로 일반인들에게 제공되고 있어 이를 활용할 경우 농가에서 별도로 고가의 토양수분센서 등을 구입하지 않아도 자신의 토양특성과 재배이력을 알면 일별로 토양수분을 평가할 수 있는 토양수분예측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시험은 농경지에서 간단한 일 기상자료와 관개이력으로 물 수지 및 토양수분함량을 일단위로 추정하기 위하여 AFKAE0.5 토양수분추정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토양의 특성을 단순화 하기 위해 대상토양을 300mm의 균일한 토양으로 가정하였고 대상 토양지하에서 물 이동을 정의하기 위하여 토양수분장력에 따른 3개의 수분영역을 설정하여 투수량과 상승량을 산출하여 물 수지에 반영하였다.

가설 설정

  • 실제로 특정일의 토양수분함량을 알기위해서는 Eq. (2)의 과정이 과거부터 계속 반복되어야 연속적인 산출에 의해 정확한 토양수분함량을 알 수 있을 것이다.
  • 두 번째로 토양수분의 이동은 토양의 수분포텐셜의 차이에 따라 이동방향과 속도가 결정된다. 그러나 실제 포장의 토양에서 정확하게 이를 일별로 산출하는 것은 쉽지 않다.
  • 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농경지 토양은 지역, 지형, 토성 등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심지어 같은 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동일포장에서도 이질성이 크기 때문에 토양수분의 이동과 수지를 세부적으로 표현하기는 매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포장내의 다양성과 이질성을 반영하기보다는 AFKAEN0.5에서는 2가지의 가설을 적용하여 토양의 수분이동을 정의하였다.
  • 물 유출량은 강우량이 많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포장의 토성별로 과포화 될 수 있는 토양수분장력을 설정하고 이를 초과하는 물은 유출되는 것으로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밭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작물생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무엇인가? 밭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토양내 수분함량에 따른 적정관개가 작물생산성에 중요한 역할을 기 때문에 손쉽게 농가에서 포장의 토양수분함량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시험은 농경지에서 간단한 일 기상자료와 관개이력으로 물 수지 및 토양수분함량을 일단위로 추정하기 위하여 AFKAE0.
전자기파로 용적수분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농가에서 쉽게 실시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러나 토양수분을 실제로 측정하는 방법은 건조 중량법 등 실험실에서 측정하는 것과 포장에서 텐시오메타 (tensiometer)를 이용한 토양수분 포텐셜을 측정하거나 중성자나 전자기파로 용적수분함량을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용적수분함량을 측정하는 센서들이 다수 보급되어 있어 비교적 쉽게 토양수분함량을 측정할 수 있으나 센서장비가 고가이고 작물반응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토양수분 포텐셜 (Soil Moisture Potential)과의 상관관계를 알아야만 하기 때문에 농가에서 접근이 쉽지 않은 부분이 있다.
토양수분을 실제로 측정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가? 따라서 밭작물 재배시에는 작물과 토양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과 이에 따른 적정 토양수분을 유지하여 주는 것이 생산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토양수분을 실제로 측정하는 방법은 건조 중량법 등 실험실에서 측정하는 것과 포장에서 텐시오메타 (tensiometer)를 이용한 토양수분 포텐셜을 측정하거나 중성자나 전자기파로 용적수분함량을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용적수분함량을 측정하는 센서들이 다수 보급되어 있어 비교적 쉽게 토양수분함량을 측정할 수 있으나 센서장비가 고가이고 작물반응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토양수분 포텐셜 (Soil Moisture Potential)과의 상관관계를 알아야만 하기 때문에 농가에서 접근이 쉽지 않은 부분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2. Annual report of disaster, 2011. p.864-866. Recovery support Division, NEMA, Korea. 

  2. Kim, H.Y., Y.J. Suh, and S.H. Oh. 1996. Determination of Agricultural Drought Index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pp. 291-296. 

  3. Mehmet, A. 1994, Hydraulic properties and water balance of a clay soil cropped with cotton. Irrig. Sci. 15:17-23. 

  4. Song, K.C., D.S. Oh, and L.Y. Kim. 2001. Soil water balance in the sloped farm land. p. 288-302. In Research report of agro-environ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5. Hur, S.O., K.H. Jung, S.K. Ha, and J.G. Kim. 2006. Evaluation of meteological elements used for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calculation of FAO Penman-Monteith Model. Korean J. Soil Sci. Fert. 39(5): 274-279. 

  6. Oh, Y.T., K.C. Song, D.S. Oh, K.C. Eom, J.W. Hong, Y.S. Jung, and S.H. Yoo. 1997. Interrelation of ground water table with vertical steady flow of soil moisture and the distribution of its suction head in soil. RDA, J. Agro-Envir. Sci. 39(1). 1-8. 

  7. Eom, K.C., K.C. Song, K.S. Ryu, Y.K. Sonn, and S.E. Lee. 1995. Model equations to estimate the soil water characteristics curve using scaling factor. Korean J. Soil Sci. Fert. 28(30): 227-232. 

  8. KMA(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kma.go.kr/ weather/observation 

  9. Jung, K.H., D.S. Oh, S.O. Hur, and S. K. Ha. 2003. Fertilizer response of upland crops with soil moisture condition. p. . In Research report of agro-environ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0. Oh, D.S., Y.T. Oh, K.C. Song, and J.S. Shin. 1996. Establishment of drought evaluation according to soil moisture contents. p. 206-209. In Research report of agroenviron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In Korean) 

  11. Shim, K.M., G.Y. Kim, K.A. Roh, H.C. Jeong, and D.B. Lee. 2008. Evaluation of agro-climatic indices under climate change. Korean J.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4): 113-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