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레이더 산란계 후방산란계수를 이용한 토양수분함량 추정
Estimation of Soil Moisture Content from Backscattering Coefficients Using a Radar Scatterometer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2, 2012년, pp.127 - 134  

김이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  홍석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  이재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전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편파 레이더 산란계 시스템 (L, C, X-밴드 안테나)에서 얻어진 편파별 후방산란계수와 토양수분함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후방산란계수를 이용 토양수분함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 생육시기에 따른 밴드별 후방산란계수 변화 관측 결과 L-밴드 후방산란계수가 C-, X-밴드후방산란계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모든 안테나 밴드에서 콩 생육초기에는 VV-편파가 HH, HV-편파보다 후방산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HH-편파가 VV-편파보다 후방산란계수가 높게 나타나는 시기는 밴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L-밴드의 경우 7월 20일 (DOY 200), C, X-밴드는 7월 30일 (DOY 210)부터 HH-편파가 다른 편파들 보다 후방산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모든 안테나 편파별 후방산란계수가 9월 29일 (DOY 271)에 최대값을 보였고, 그 이후 수확기 (DOY 294) 까지 감소하였다. L-밴드 HH-편파와 VV-편파 간의 차이는 꼬투리가 생성되는 착협기 (R3, DOY 228) 부터 다른 밴드에 비해 크게 나타났고, 반면에 C-밴드 HH-편파와 VV-편파 간의 차이는 착협성기 (R4, DOY 242) 이후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후방산란계수와 토양수분함량과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생육기간동안 토양수분함량 변이가 컸고, 전체 생육기간에서는 모든 밴드별 후방산란계수와 토양수분함량 간에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엽면적지수가 2 이하 (R2, DOY 224) 일 때 후방산란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토양수분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밴드별 후방산란계수와 토양수분함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 생육기간에서는 모든 밴드에서 두 변수간의 상관계수가 낮게 나타났다 ($r{\leq}0.50$). 반면에 엽면적지수 2 이하 일 때 모든 밴드에서 후방산란계수와 토양수분함량과의 상관계수가 전체 생육단계에서 조사한 것 보다 높게 나타났다. L-밴드 후방산란계수가 C-, X-밴드 후방산란계수 보다 토양수분함량과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고 ($r{\geq}0.84$), L-밴드 HH-편파가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다 (r=0.90). X-밴드 후방산란계수는 L-, C-밴드 후방산란계수보다 상관계수가 낮게 나타났다 ($r{\leq}0.71$). 후방산란계수를 이용하여 토양수분함량 추정 모형식을 작성하였다. L-밴드 HH-편파 후방산란계수와 토양수분함량과의 관계를 비교해 본 결과 결정계수가 높게 나타났다($R^2=0.92$). 본 연구를 통해 레이더 산란계 시스템에서 얻어진 후방산란계수를 이용하여 토양수분함량을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wave remote sensing can help monitor the land surface water cycle, crop growth and soil moisture. A ground-based polarimetric scatterometer has an advantage for continuous crop using multi-polarization and multi-frequencies and various incident angles have been used extensively in a frequency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편파 레이더 산란계 시스템 (L, C, X-밴드 안테나)에서 얻어진 편파별 후방산란계수와 토양수분함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후방산란계수를 이용 토양수분함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 생육시기에 따른 밴드별 후방산란계수 변화 관측 결과 L-밴드 후방산란계수가 C-, X-밴드후방산란계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모든 안테나 밴드에서 콩 생육초기에는 VV-편파가 HH, HV-편파보다 후방산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 안테나는 dual-polarization square horn 안테나를 사용하였고, 안테나의 중심 주파수를 1.27 GHz (L-밴드), 5.3 GHz (C-밴드), 9.65 GHz (X-밴드) 각각 설계하였는데 그 이유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레이더 위성 안테나들과 중심주파수를 동일하게 제작하여 향후 레이더 영상에 적용하고 농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L-밴드 안테나 중심주파수는 Advanced Land Observing Satellite (ALOS), C-밴드 안테나 중심주파수는 ENVISAT, RADARSAT, 그리고 X-밴드 안테나 중심주파수는 KOMPSAT-5, COSMO-SkyMed과 각각 일치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수분이란 무엇이며, 어떤 곳에 활용되고 있는가? 토양수분은 수문 및 환경모델링에 가장 주요한 인자 중 하나로 가뭄, 홍수, 산사태, 산불 등의 재해관리 뿐만 아니라 지하수, 지표수 등의 수자원 관리와 이용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레이더는 지표뿐만 아니라 수분에 민감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토양수분 모니터링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인공위성 및 지상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작물 생육 모니터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 2005; Chen and Mcnairn, 2006; Bouvet and Le Toan, 2011). 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위성영상들은 시간해상도 (time resolution)가 떨어지고 후방산란계수 (backscattering coefficients)가 작물과 반응하는 과정에서 수분함량, 풍속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이를 감지 (detection)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콩 생육단계를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콩 생육단계는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영양생장기는 발아기 (자엽이 지상에 나타나는 시기, VE, A), 자엽기 (초생엽이 전개되는 시기, VC, B), 초생엽기 (초생엽이 완전히 전개된 시기, V1, C), 복엽기 (복엽이 전개되고 완전히 전개된 시기, V9, D)로 나누어지며, 생식생장기는 개화시 (꽃이 피기 시작하는 시기, R1, E), 개화성기 (꽃이 활짝 피는 시기, R2, F), 착협시 (꼬투리가 생성되는 시기, R3, G), 착협성기 (꼬투리 길이 생장이 완료되는 시기, R4, H), 종실비대시 (꼬투리의 종실이 생성되는 시기, R5, I), 종실비대기 (종실크기 생장이 완료되는 시기 R6, J), 종실성숙시 (종실 색깔이 황갈색으로 변하는 시기, R7, K), 종실성숙기 (종실 색깔이 95% 이상 황갈색으로 변한 시기, R8, L)로 나뉜다 (Fehr and Caviness, 1977). 본 연구에서의 해당 콩 생육 단계 시기는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hari, S.A., H. Tali., T. Chuah, and H.T. Ewe. 1997. A preliminary study of phenological growth stages of wetland rice using ERS1/2 SAR data. in proc.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Remote Sensing Symposium. pp. 1069-1071. 

  2. Bartsch, A., C. Pathe, and W. Wagner. 2007. Relative soil moisture from C- and L-band SAR time series, The 1st Joint PI Symposium of ALOS Data Nodes for ALOS Science Program, Kyoto, Japan. 19-23 Nov. 2007. 

  3. Bindlish, R. and A.P. Barros. 2001. Parameterization of vegetation backscatter in radar-based soil moisture estimation. Remote Sens. Environ. 76:130-137. 

  4. Bouvet, A. and T. Le Toan. 2011. Use of ENVISAT/ASAR wide-swath data for timely rice fields mapping in the Mekong River Delta. Remote Sens. Environ. 115:1090-1101. 

  5. Chen, C. and H. Mcnairn. 2006. A neural network integrated approach for rice crop monitoring. Int. J. Remote Sens. 27:1367-1393. 

  6. Dobson, M.C. and F.T. Ulaby. 1986. Active microwave soil moisture research.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 24:23-36. 

  7. Fehr, W.R. and C.E. Caviness. 1977. Stages of soybean development. Iowa Agric. Home Econ. Exp. Stn, IA, USA. 

  8. Fung, A.K. 1994. Microwave scattering and emission models and their applications. Artech House Inc., Norwood, MA, USA. 

  9. Hallikainen, T., F.T. Ulaby., M.C. Dobson., M.A. El-Rayes, and L. Wu. 1985. Microwave dielectric behavior of wet soil. Part-I: Empirical models and experimental observation.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 23:25-34. 

  10. Jackson, T.J., A. Chang, and T.J. Schmugge. 1981. Aircraft active microwave measurements for estimating soil moisture. Photogramm. Eng. Rem. Sens. 47:801-805. 

  11. Kim, Y.H., S.Y. Hong., H.Y. Lee, and J.E. Lee. 2011. Monitoring soybean growth using L, C, and X-bands automatic radar scatterometer measurement. Korean J. Remote Sens. 27(2):191-201. 

  12. Kurosu, T., M. Fujita, and K. Chiba. 1995. Monitoring of rice crop growth from space using the ERS-1 C-band SAR.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 33(4):1092-1096. 

  13. Le Toan, T., H. Laur., E. Mougin, and A. Lopes. 1989. Multi-temporal and dual-polarization observations of agricultural vegetation covers by X-band SAR images.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 27(6):709-718. 

  14. Macelloni, G., S. Paloscia., P. Pampaloni., F. Mariliani, and M. Gai.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and the biomass of narrow and broad leaf crops.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 39:873-884. 

  15. Maity, S., C. Patnaik, and S. Panigraphy. 2004. Analysis of temporal backscattering of cotton crops using a semiempirical model.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 42: 577-587. 

  16. Moran, M.S., C.D. Peters-Lidard., J.M Watts, and S. McElroy. 2004. Estimating soil moisture at the watershed scale with satellite-based. Can. J. Rem. Sens. 30:805-826. 

  17. Paris, J.F. 1986. The effect of leaf size on the microwave backscattering by corn. Remote Sens. Environ. 19:81-95. 

  18. Prasad, R. 2009. Retrieval of crop variables with field-based X-band microwave remote sensing of ladyfinger. Advanced in space research. 43:1356-1363. 

  19. Prevot, L., I. Champion, and G. Guyot. 1993. Estimation surface soil moisture and leaf area index of a wheat canopy using a dual-frequency (C and X bands) scatterometer. Remote Sens. Environ. 46:331-339. 

  20. Ram, V., M, Ali., M, Daily, J. Gabrynowicz, S. Narumalani, K. Nygard, W. Perrizo., S. Reichenbach., G.A. Seielstad, and W. White. 1995. Accessing Earth system science data and applications through high-bandwidth networks. IEEE Sel. Areas Commun. 13:793-805. 

  21. Ribbes, F. and T. Le Toan. 1999. Rice field mapping and monitoring with RADARSAT data. Int. J. Remote Sens. 20:745-765. 

  22. Schmugge, T. 1978. Remote sensing of surface soil moisture. J. Appl. Meteorol. Clim. 17:1549-1557. 

  23. Singh, D. 2006. Scatterometer performance with polarization discrimination ratio approach to retrieve crop soybean parameter at X-band. Int. J. Remote Sens. 27(19):4101- 4115. 

  24. Ulaby, F.T. 1974. Radar measurement of soil moisture content. IEEE Trans. Antennas Propag. 22:257-265. 

  25. Ulaby, F.T. M.K, Moore, and A.K. Fung. 1982, Microwave remote sensing. Active and Passive. Artech House Inc., Norwood, MA, USA. 

  26. Ulaby, F.T., C.T. Allen., G. Eger, and E.T. Kanemasu. 1984. Relating the microwave backscattering coefficient to leaf area index. Remote Sens. Environ. 14:113-133. 

  27. Ulaby, F.T. and C. Elachi. 1990. Radar polarimetry for geoscience applications. Artech House Inc., Norwood, MA, USA. 

  28. Wagner, W., G. Lemoine., M. Borgeaud, and H. Rott. 1999. A study of vegetation cover effects on ERS scatterometer data.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 37:938-948. 

  29. Xiao, X., S. Boles., S. Frolking., C. Li., J.Y. Babu, and W. Salas. 2005. Mapping paddy rice agriculture in south and southeast asia using multi-temporal MODIS images. Remote Sens. Environ. 100:95-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