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귀의 재배 및 유통과정 중 생물적 위해요소 분석
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Angelica gigas Nakai on Production and Marketing Step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6, 2012년, pp.1216 - 1221  

박경훈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김병석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이정주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윤혜정 (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  김세리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김원일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윤종철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류경열 (농촌진흥청 연구성과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배과정, 수확, 가공 및 유통 단계에서 당귀의 미생물적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뿌리, 토양 및 관개수를 포함한 111개의 시료가 생산과정과 유통과정에서 호기성균, B. cereus, coliform, E. coli,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와 S. aureus를 조사하기 위해 수집하였다. 재배과정에서 당귀의 뿌리에서 일반세균수는 6.71 log CFU $g^{-1}$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4.13 log CFU $g^{-1}$, B. cereus는 3.54 log CFU $g^{-1}$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수확에서 가공 단계까지 모든 가공 과정에서 대장균군과 B. cereus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절단 과정에서 미생물오염도가 높게 확인 되었다. 유통과정 중인 당귀에서 일반세균수는 5.6~6.0 log CFU $g^{-1}$, 대장균군은 2.4~2.6 log CFU $g^{-1}$, B. cereus는 5.4~6.0 log CFU $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모든 시료에서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해미생물의 오염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위생적인 토양관리 및 수확 후 관리가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A total of 111 samples including root, soil, and irrigation water were collected from farms and market to detect aerobic bacteria, Bacillus cereus, coliform,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당귀의 재배 과정과 유통과정 중에서 기본적인 미생물 오염정도를 파악하고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균을 조사하여 약용식물의 관리기준 설정 및 안전농산물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귀를 재배하는 대부분의 농가에서 세척없이 토양을 제거하는 이유는? 약용작물은 재배 특성상 토양에서 1년 이상 재배되는 경우가 많고, 잔뿌리가 많아 세척을 통해 토양이나 오염된 잔재물 등을 제거하기 쉽지 않다. 당귀는 세척을 통해 데커신과 아이소플라본 등 유용성분의 감소, 품질의 저하 등의 가능성이 있어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세척없이 토양을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Choi et al, 2011). 당귀는 수확 후 덕장을 이용한 태양건조나 35℃ 내외의 열풍건조 방식을 통한 건조 작업과 수확 후 관리과정이 수반되며 이후 가공시설로 운반되어 절단 및 포장 작업이 이루어진다.
참당귀는 어디에 사용되고 있는가? , 2011). 참당귀는 산형과에 속하는 2∼3 년생의 초본식물로 강원 평창, 충북 제천, 경북 봉화 일대의 고랭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샐러드, 술, 차, 음료수 등의 원료로 사용되거나 진정효과, 진통억제, 항산화작용, 혈압강하 및 항암 효과 등이 확인되어 한약재 등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Kim, 2005; Kwag et al., 1998).
당귀의 수확 후 처리 단계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결과, 절단 작업 후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 B. cereus의 밀도가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절단 작업 후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 B. cereus의 밀도가 증가한 이유는 절단과정에서 당귀 껍질 등이 혼입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약용작물은 재배 특성상 토양에서 1년 이상 재배되는 경우가 많고, 잔뿌리가 많아 세척을 통해 토양이나 오염된 잔재물 등을 제거하기 쉽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znar, R and B. Alarcon. 2003. PCR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a study of multiple factors affecting sensitivity. J. Appl. Microbiol. 95:958-966. 

  2. Beuchat, L.R., J.M. Farbar, E.H. Garrett, L.J. Harris, M.E. Parish, T.V. Suslow, and F.F. Busta. 2001. Standardization of a metho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sanitizers in inactivating human pathogenic microorganisms on row fruits and vegetables. J. Food Prot. 64:1079-1084. 

  3. Brak, D.J. and A.S. Liang. 2008. Role of soil, crop debris, and a plant pathogen in salmonella enterica contamination of tomato plants. Plosone. 3:e1657. 

  4. Choi. H.J., T.J. An, Y.S. Ahn, C.B. Park, J.I. Kim, H. Yang, S.H. Park, K.H. Do, and Y.S. Moon. 2011. Safety evaluation from aflatoxin risk of Korean Angelicae gigantis radix based on critical control points. Korean J. Med. Crop Sci. 19:47-53. 

  5. Choi. N.J., G.J. Bahk, S.D. Ha, M.S. Chung, S.H. Lee, I.G. Hwang, J.H. Park, G.H. Kim, and D.H. Oh. 2012.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s of cabbage and fresh-cut produce on difference area toward climate in Korea. J. Fd. Hyg. Safety. 27:209-214. 

  6. Choo, E.Y., S.S. Jang, K.S. Kim, K.G. Lee, S.G. Heu, and S.R. Ryu. 2007. Prevlence and genetic diversity of Bacillus cereus in dried red pepper in Korea. J. Food Prot. 70:917-922. 

  7. Dierck, K., E. Van Coillee, I. Swiecicka, G. Meyfroidt, H. Devlieger, A. Meulemans, G. Hoedemaekers, L. Fouris, M. Heyndrickx, and J. Mahillon. 2005. Fatal Family outbreak of Bacillus cereus associated food Poisoning. J. Clin. Microbiol. 43:4277-4279. 

  8. European Commission. 2004. Regulation No. 852/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9 April 2004 on the hygiene of foodstuffs. Off. J. Eur. Union. L139:1-54. 

  9. Gilbert, R.J. and M.D. Jennifer. 1977. Serotypes of Bacillus cereus from outbreaks of food poisoning and from routine foods. Journal of Hygiene. 78:69-74. 

  10. Halverson, L.J., M.K. Clayton, and J. Handelsman. 1993. Population biology of Bacillus cereus UW85 in the rhizosphere of field-grown soybeans. Soil Biol. Biochem. 25:485-493. 

  11. Hong, C.K., Y.H. Seo, C.M. Choi, I.S. Hwang, and M.S. Kim. 2012. Microbial quality of fresh vegetables and fruits in Seoul, Korea. J. Fd. Hyg. Safety. 27:24-27. 

  12. Lee, S.D., Y.S. Kim, Y.T. Yoon, A.S. Park, Y. Shin, H.S. Kim, Y.K. Kim, and B.H. Choi. 2010. Monitoring of aflatoxins in herb medicines, Korean J. Med. Crop Sci. 18:338-344. 

  13. Jensen, G.B., B.M. Hansen, J. Eilenberg, and J. Mahillon. 2003. The hidden lifestyles of Bacillus cereus and relatives. Environ. Microbiol. 5:631-640. 

  14. Kim, J.E., T.H. Kim, Y.H. Kim, J.H. Lee, J.S. Kim, S.K. Paek, S.Y. Choi, Y.N. Youn, and Y.M. Yu. 2008. Residues of tolclofos-methyl, azoxystrobin, and defenoconazole in ginseng sprayed by safe use guideline. Korean J. Medical Crop Sci. 16:390-396. 

  15. Kim, M.R. 2005. A new analytical method for volatile component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in Korean medical plants, Danggui. Ph. 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1-74. 

  16. Kim, S.H., J.S. Kim, J.P. Choi, and J.H. Park. 2006. Prevalence and frequency of food borne pathogens on unprocess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594-598. 

  17. Kniefel, W. and E. Berger. 1994. Microbiological criteria of random samples of spices and herbs retailed on the Austrian Market. J. Food Prot. 57:893-901. 

  18. Kong, R.Y., S.K. Lee, T.W. Law, S.H. Law, and R.S. Wu. 2002. Rapid detection of six types of bacterial pathogens in marine waters by multiples PCR. Water Res. 36: 2802-2812. 

  19. Kwag, J.J., J.G. Lee, H.H. Chang, and O.C. Kim. 1998.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he domestic Angelica root extra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20:210-217. 

  20. Mckee, L.H. 1995. Microbial contamination of spices and herbs. A review. Lebensm. Wiss. Technol. 28:1-11. 

  21. Notermans, S. and C.A. Batt. 1998. A risk assessment approach for foodborne Bacillus cereus and its toxins. J. Appl. Microbiol. Symp. Suppl. 84:51-61. 

  22. Ombui, J.N., H. Schmieger, M.M. Kagiko, and S.M. Arimi. 1997. Bacillus cereus may produce two or more diarrheal enterotoxins. FEMS. Microbiol. Lett. 149:245-248. 

  23. Park S.J., J.H. Yoon, Y.E. Kim, W.B. Yoon, and J.D. Kim. 2011.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queous of angelica gigas NaKai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8:817-823. 

  24. Pafumi, J. 1986. Assessment of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spices and herbs. J. Food Prot. 49:958-963. 

  25. Stabb, E.V., L. Jacobson, and J. Handelsman. 1994. Zwittermicin a producing strains of Bacillus cereus from diverse soils. Appl. Environ. Microbiol. 60:4404-4412. 

  26. Weis, J. and H.P.R. Seeliger. 1975. Incid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nature. Appl. Microbiol. 30:29-32. 

  27. Vicedo, A.B. and R. Aznar. 2006. PCR based procedures for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their application in food. J. Appl. Microbiology. 100: 353-364. 

  28. Yu, Y.M., S.C. Oh, B.J. Sung, H.H. Kim, Y.H. Lee, and Y.N. Youn. 2007. Analysis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in Panax ginseng C. A. Mayer. Korean. J. Medical Crop Sci. 15:220-226. 

  29. Yu, Y.M., Y.N. Youn, Q.J. Hua, G.H. Cha, and Y.H. Lee. 2009. 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paprikas, strawberries and tomatoes in the markets. J. Fd. Hyg. Safety. 24:174-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