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의 토양질 평가에 관한 연구
Determining Soil Quality of Heavy Metal Contaminated Agricultural Field in Korea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6, 2012년, pp.1237 - 1241  

김주희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정덕영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오세진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김록영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양재의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박관인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술연구소) ,  이진수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술연구소) ,  김성철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vy metal pollution in agricultural field has been a critical issue in worldwide. For this reason, remediation technologies for heavy metal polluted soil are applied especially near at the abandoned metal mine. Soil quality analysis i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proper management in heavy metal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금속으로 오염된 광산 인근 농경지의 토양 특성 분석을 통해 중금속 복원에 따른 농경지의 토양질 평가를 위한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토양질 평가의 예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 , 2008).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한 토양질을 평가함으로서 중금속 오염 농경지의 토양질 평가를 위한 프로토콜을 제시하였으며 토양 등급 화를 통한 토양질 평가를 통해 복원에 따른 작물재배 효율성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질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누구에 의해 체계화 되었나? , 2006; Yoon 2004). 토양질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Warkentin and Fletcher (1977)에 의해 체계화된 후 여러 연구자에 의해 개념이 정립되어 왔으며 1994년 OECD에서는 토양의 질을 농업환경지표의 하나로 설정하였다 (Wander and Bollero, 1999; Yoon 2004). 토양질 평가의 특징은 토양의 질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고려하여 토양의 기능을 평가하기 때문에 단하나의 요인으로는 평가를 할 수 없으며 토양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토양의 복합적인 기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Poggio et al.
중금속 오염 농경지 복원을 위한 공법은 무엇이 있는가? 4톤의 농작물이 수매 또는 폐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금속 오염 농경지 복원을 위한 공법에는 식물정화법 (phytoremediation), 고형화/안정화법 (solidification/stabilization), 동전기법 (electrokinetics), 및 토양 세척법 (soil washing) 등이 있으나 작물을 재배하는 농경지의 특수성 때문에 경제성, 현실성, 및 기술적용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Mora et al., 2005; Li et al.
토양의 특성 중 유효인산 함량은 어떻게 정량했나? 유기물 함량은 walkely-black 방법에 따라 1N K2Cr2O7을 가하여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 (UV 240 Schimadzu, Japan)로 파장 610 nm에서 비색 정량하였다. 유효인산 함량은 bray No.1 방법으로 추출하여 ammonium paramolybdate 로 발색시킨 후 파장 660 nm에서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비색 정량하였다. 총 질소는 토양 1g을 H2SO4-H2O2 습식 분해 후 분해액을 Kjeltec system (2300 Kjeltec analyzer, FOS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rooks, P.C., A. Landman, G. Pruden, D.S. Jenkinson. 1985. Chloroform fumigation and the release of soil nitrogen: a rapid direct extracting method to measure microbial biomass nitrogen in soil. Soil Bio. Biochem. 17:837-842. 

  2. Glover, J.D., J.P. Reganold, and P.K. Andrews. 2000. Systematic method for rating soil quality of conventional, organic, and integrated apple orchards in Washington State. Agric. Ecosyst. Environ. 80:29-45. 

  3. Karlen, D.L and D.E. Scott. 1994. A framework for evaluating physical and chemical indicators of soil quality. In 'Defining soil quality for a sustainable environment' pp.53-72. SSSA Special Publishing, Madison. 

  4. Li,W.X., X.X. Zhang, B. Wu, S.L. Sun, Y. S. Chen, W.Y. Pan, D.Y. Zhao, and S.P. Cheng. 2008. A comparative analysis of environmental quality assessment methods for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Pedosphere. 18:344-352. 

  5. Monokrousos, N., E.M. Papatheodorou, J.D. Diamantopoulos and G.P. Stamou. 2006. Soil quality variables in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cultivated field sites. Soil Bio. Biochem. 38, 1282-1289. 

  6. Mora, A.P., J. Ortega-Calvo, F. Cabrera, E. Madejon. 2005.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and microbial biomass after "in situ" remediation of a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Appl. Soil Ecolo. 28:125-137. 

  7. NIAST. 200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8. Poggio L., B. Vrscaj, E. Hepperle, R. Schulin, F.A. Marsan. 2008. Introducing a method of human health risk evaluation for planning and soil quality management of heavy metal-polluted soils-An example from Grugliasco(Italy). Landsc. Urban Plan. 88:64-72 

  9. Wander M.R and G.A. Bollero 1999. Soil quality assessment of tillage impacts of Illinois. J of Soil Sci. Soc. Ameri. 63:961-971. 

  10. Warkentin, B.P., and H.F. Fletcher. 1997. Soil quality for intensive agriculture. p. 594-598. In Proc. Int. Sem. on Soil Environ. and Fert. Manage. in Intensive Agric. Soc. Sci. Soil and Manure, Natl. Inst. of Agric. Sci., Tokyo, Japan. 

  11. Yoon, J.H. 2004. Review and discussion on development of soil quality indicators. Korean J. Soil. Sci. Fert. 37:192-19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