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성분 분석 및 군집분석을 이용한 지역정보 유형화 프레임워크의 설계와 구현
Effective Classification Framework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Rural Regional Information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4 no.1, 2012년, pp.73 - 81  

서교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태곤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대학원) ,  이지민 (서울대학교) ,  이정재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planning and developing rural region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nd utilize reg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ocial, demographic, and economic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analysis techniques and provide a procedure design for mining regional characteris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농촌지역에 대한 효과적인 개발과 투자를 위한 지역의 특성파악과 사업시행의 적정성 검토 등을 위해 이루어지는 유형화 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유형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이를 범용적 사용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농촌 유형화에 대한 41개의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대표적인 유형화 단계를 크게 자료수집 및 표준화, 요인분석, 군집분석의 3단계로 구분하였고, 이들을 분석기법의 재사용성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의 이용과 관리를 고려하여 통합된 형태로 포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또한, 개발된 시스템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이를 2000년 농업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국 156개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영농역량에 따른 농촌지역 유형화에 적용하여 그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을 통하여 기존의 상용화된 프로그램을 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지적되는 구축된 자료나 연구 결과의 재활용성의 한계,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추가적인 자료 구축이나 통합의 문제점, 개별 사용자가 연구에 필요한 유형화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법 및 분석 방법을 익혀야 하는 불편함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형화 기법이란? , 2005; Yim, 2005; Yoon and Joo, 2005). 유형화 기법은 다양한 속성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미래 상황을 추정하거나 패턴분석을 이용하여 군집의 특징을 추출해 내는 대표적인 분석 방법이다. 유형화 기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형구분의 목적에 적합한 자료 조사와 수집이 선행되어야 하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 목적에 적합한 유형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국내 농촌지역 유형화 연구는 언제부터 이루어져왔는가? 국내 농촌지역 유형화 연구는 지리적 조건과 지역 상호간의 관계를 고려한 지역계획이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농촌계획의 수립을 위해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동일한 지역특성을 갖는 지역농업계획의 추진단위를 결정하거나 지역간의 비교우위를 고려한 농촌지역개발계획을 위해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농촌지역의 다양한 요소를 바탕으로 지역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198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초기에는 농업성과 도시성에 기반을 둔 유형화가 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보다 다면적인 요소에 기반을 둔 지역유형화로 발전해 가고 있다.
유형화 기법을 이용하기 위해서 무엇이 선행되어야하는가? 유형화 기법은 다양한 속성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미래 상황을 추정하거나 패턴분석을 이용하여 군집의 특징을 추출해 내는 대표적인 분석 방법이다. 유형화 기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형구분의 목적에 적합한 자료 조사와 수집이 선행되어야 하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 목적에 적합한 유형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런 유형화 과정은 매우 다양하지만 기존 연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에서 채용한 유형화 과정이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ldenderfer, M. S. and R. K. Blashfield, 1984. Cluster Analysis. Sage Publications. 

  2. Ceccato, V. and L. O. Persson, 2002. Dynamics of rural areas: an assessment of clusters of employment in Sweden. Journal of Rural Studies 18: 49-63. 

  3. Choi, S. M. and C. K. Koh, 1986. Extraction of standard Rural Area for Design of Rural Settlement System in Reclaimed 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8(2): 53-62. (in Korean) 

  4. Choi, Y. J. and J. H. Hong, 2004. Classification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and Urban Competitiveness. The Summer Conference of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989-1013. (in Korean) 

  5. Chung, H.-W., B.-T. Park, S.-J. Kim, J.-Y. Choi, 1995. A study on Rural land use planning technique ( I )-Sub-regional analysi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2): 33-42. (in Korean) 

  6. Dauh, S. W., 2000. Quality of Life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according to Land Use. Winter Conference of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529-556. (in Korean) 

  7. Dunteman, G. H., 1989.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Sage Publications. 15-23; 48-50. 

  8. Hervada-Sala, C. and E. Jarauta-Bragulat, 2004. A program to perform Ward's clustering method on several regionalized variables. Computers and Geosciences 30: 881-886. 

  9. Hong, G. D., 1990. A Study on the Spatial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Pattern of Tourim Resources in Chonnam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15: 85-109. (in Korean) 

  10. Hong, S. G., M. C. Seo, P. K. Jung, Y. K. Sonn, K. L. Park, K. K. Kang, 2006. Analysis of Landscape According to Land Use at Rural Area in Korea Using GIS Application. Korean J. Soil Sci. Fert. 39(1): 1-7. (in Korean) 

  11. Hwang, T. J., 1994. A study on Area Setting of Rural Community. The Journal of Koran-International Society of Community Development 4: 2-24. 

  12. Jang, T.-J., 1998. A study 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ypical classification of the rural areas. Th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4): 69-80. (in Korean) 

  13. Jeon, Y.-G., 1997. A study on planning unit for rural development program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3(1): 41-53. (in Korean) 

  14. Jeon, Y.-G. and S.-H. Ryu, 1998. An Approach on the Spatial Boundary of Rural Development Project by Areal Classification Techniqu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4(2): 128-137. (in Korean) 

  15. Jeong, A. S. and D. H. Lee, 1988. The Classification of Rural Areas by Multivariate Analysis Methods. The Journal of Korea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29: 25-42. (in Korean) 

  16. Jyoung, S.-Y., 200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y the type of regions in Korea. Korean Journal of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8(1). (in Korean) 

  17. Kaiser, H. F., 1958. The varimax criterion for analytic rotation in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23: 187-200. 

  18. Kim, C. S., 1990. Regional Classification on the Combination of Enterprises in Farm Sector: A Case of Kyung - Book Area. The Journal of Korea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31: 119-142. (in Korean) 

  19. Kim, H. K., 1985. Classification of Small Town for Rural Revitalization. Environmental Research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3: 26-49. (in Korean) 

  20. Kim, H. Y., S. h. Rhee, H. J. Lee, W. J. Jeon, R. P. Chung, H. S. Cho, Y. G. Jeon. 1993. Development of Rural Settlement Planning Model Through Engineering and Agricultural Approach( III) -Anayslis of Land Use Planning-.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35(3): 33-42. (in Korean) 

  21. Kim, J.-S. and S.-H. Lee, 1995.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rural region of Miryang Si, Researches of Dong-A University 20: 241-253. (in Korean) 

  22. Kim, Y. H. and K. R. Kim, 2001.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Yanbian Agriculture. Th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19: 115-136. (in Korean) 

  23. Kwon, J. A., D. K. Lee, J. Y. Choi, 2001. A Study on the Planning for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Rural Comunity -Based on the Assessment of Moonhwa Villages-.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36(2): 33-43. (in Korean) 

  24. Kwon, Y. W., 1985. A Literature Review on the Definitions and Typologies of the Suburb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10: 37-48. (in Korean) 

  25. Lee, I. B. and J. T. Yeo, 1998. The Typologic Study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for the Tourism Development; The Case of Southern Chungchung Province. The Journal of Tourism Science 22(2): 64- 70. (in Korean) 

  26. Lee, J. H., 1987. Classification of Rural areas in Korea, Korea Rural Economic Review 10(4): 141-159. (in Korean) 

  27. Lee, J.-S., 200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regional pattern by cluster analysis utilizing factor scores.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7(4): 191-199. (in Korean) 

  28. Lee, J. S. and G. B. Han, 1996.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Public Price of Land and its Regional Types. Korea Planners association 31(6): 6053-6066. (in Korean) 

  29. Lee, S. G., 1992. Relation of the Regional Policies and Classification of Daegu and Gyeongbuk. The Research of Saemaul and Regional Development Institute 13: 119-151. (in Korean) 

  30. Lee, S. H., 1995. Classification of Rural Area by Maul. Korea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36(2): 2129-2143. (in Korean) 

  31. Lee, S. J. and K. S. Han.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Selection Criteria of Hilly/Mountainous and Less-Favored Areas. Rural Planning 8(3): 25-32. (in Korean) 

  32. Lee, S. K., K. U. Lim, Y. H. Keel, 1995. The Classification of Regional Pattern in the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25: 105-124. (in Korean) 

  33. Lee, S. Y., E. J. Kim, Y. Kim, 2005.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Rural Areas for Selection of Less-Favored A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2(3). (in Korean) 

  34. Lee, S. Y., S. Y. Han, S. H. An, J. S. Oh, M. H. Jo, M. S. Kim, 2001. Research Articles : Regional 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 Factors in Kangwon Provinc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3): 135-142. (in Korean) 

  35. Lee, W. S., 2003. A Study on the Regional Classification for the Differentiation of National Assistance.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36: 19-35. (in Korean) 

  36. Lim, H. M.,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ocal Politics and Administrati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8(3): 49-78. (in Korean) 

  37. Liu, X., X. Chen, W. Wu, and Y. Zhang, 2006. Process control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maize drying. Food Control 17: 894-899. 

  38. MapServer Homepage, 2010. Available at: mapserver. gis.umn.edu. Accessed 7 April 2010. 

  39. Oh, K. S., W. K. Lee, Y. W. Jung, 1993. A G1S Approach towards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o Zoning for Management.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4(2) : 121-130. (in Korean) 

  40. Park, C. G. and S. W. Dauh, 2000.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Urban - Rural Consolidated Cities according to their Land Use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Korea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3(2): 145- 66. (in Korean) 

  41. Park, K. and Y. Lee, 2001. A Study on the Statistical GIS for Regiona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GIS 9(2): 239-261. (in Korean) 

  42. Shon, C. H. and Y. C. Youn, 1997. Classification of Mountain - Village Areas by the Site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6(1): 46-55. (in Korean) 

  43. Song, D.-B. and N.-H. Oh, 2001.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rural communities in Chungnam Province. The Journal of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3(3): 107-120. (in Korean) 

  44. Suh, K., J. M. Lee, N. S. Jeong, S. J. Jo, J. J. Lee, H. J. Kim, 2003. Research Paper: Evaluation Index of Rural Development for Producing Potential Value of Rural Regions on a Commercial Scal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9(1): 47-53. (in Korean) 

  45. Synn, H.-C., 1984.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of Power Structure in Rural Korea. Researches of Je-Ju University: 423-447. (in Korean) 

  46. Thurstone, L. L., 1931. Multiple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Review 38: 406-427. 

  47. Yim, S. H., 2005. An Analysis of Regional Types of Rural Areas. The Journal of Korea Regional Geography 11(2): 211-232. (in Korean) 

  48. Yoon, S. S. and H. G. Joo, 2005. Research Paper : A Classification of Regional Pattern Analysis for the Planning in Chungbuk using Multivariate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1(2): (in Korean) 

  49. Yun, S. S. and D. S. Yun, 2003. Estimation of Area Type for Long-Range Spatial Planning.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8(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