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5% 치아미백제의 potassium nitrate와 fluoride(PF) 함유 여부에 따른 치아색조와 미세경도 변화
Effect of 15% Carbamide Peroxide Agents with and without Potassium Nitrate and Fluoride(PF) on the Tooth Color and Surface Microhardness of Human Ename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1, 2012년, pp.353 - 360  

우희선 (경운대학교 치위생학과) ,  심연수 (청주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자가 미백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15% carbamide peroxide(CP)에 potassium nitrate와 fluoride(PF)가 함유된 제품과 미 함유된 제품을 사용하여 색과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건전한 소구치 30개를 이용하여 3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고, 각 각 10개씩 3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은 대조군 (Distilled water), 2군은 15% CP, 3군은 15% CP(3% potassium nitrate and 0.11% fluoride 함유)이다. 치아미백은 14일 동안 하루에 6시간 미백하고 이후 시간은 증류수에 보관하였다. 색 측정은 미백 전과 14일에 측정하였고, 표면미세경도는 미백 전, 7일, 14일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색변화를 본 결과 미백하지 않는 대조군 1군과 미백제가 함유된 2군과 3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고(p<0.05), 2군과 3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표면미세경도 변화를 비교해보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군을 제외하고 2군과 3군에서는 미백 전 경도 값에 비해서 미백 후 유의하게 경도의 감소를 보였고(p<0.05), 특히 미백 7일째 경도 값의 차이가 미백 후 14일보다 컸다. 미세경도 감소율을 보면 대조군인 1군은 7일과 14일에 각 각 1.7과 0.8로 차이가 거의 없으나 2군은 21.9,와 3.5이고, 3군은 16.7과 1.4로 미백 7일째에서 유의하게 감소했고(p<0.05), PF가 미 함유된 2군의 7일째 미세경도 감소율이 가장 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PF는 치아미백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으며, 미세경도 변화에서는 PF가 함유된 미백제에서 경도 감소율이 적었다. 따라서 PF가 함유된 치아미백제는 미백효과와 함께 치아법랑질의 경도 감소를 줄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ooth color and microhardness after 15% carbamide peroxide(CP) bleaching treatments with/without potassium nitrate and fluoride(PF), which were used home bleaching. Thirty tooth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thirty premolar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강 내 타액에 의한 교란요인을 배제한심 등[35]의 선행 연구와 같이 순수한 미백제의 효과만을 확인하고자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한계로는 구강내 상태를 정확히 재현하지 쉽지 않은 상태에서 실험이 진행되어 in vivo의 연구가 필요하며, 앞으로 불소가 재광화에 영향이 있는지에 관한 무기질 함량의 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하지만 현재15% CP 치아미백제와 15% CP에 질산칼륨과 불소가 함유된 치아 미백제의 치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5% 치아미백제에 질산칼륨과 불소의 함유 여부에 따른 치아 표면의 색과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 미백은 크게 무엇으로 분류할 수 있는가? 치아 미백은 크게 실활치 미백(Walking bleaching), 자가 미백(Home bleaching), 전문가 미백(Office bleaching) 등 세 가지 술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1]. 실활치 미백은 외상의 결과로 치수의 생활력을 잃거나 이와 함께 치수에 충혈 또는 잔여 치수 조직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변색의 경우에 사용 될 수 있으며, 약제의 사용이나 근관 충전재 또는 수복재료의 누출로 인한 변색에 미백제를 치수강 내에 직접 위치시켜 미백하는 방법이다[2].
치아미백술이 환자들에게 각광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치아미백술은 현재 사회적 경제적 발전과 함께 심미적 요구가 늘어나면서 시술 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다른 심미 치료에 비해 치아를 보존하면서 간편하고 적은 비용이 들어 환자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치아 미백 중 실활치 미백이란 무엇인가? 치아 미백은 크게 실활치 미백(Walking bleaching), 자가 미백(Home bleaching), 전문가 미백(Office bleaching) 등 세 가지 술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1]. 실활치 미백은 외상의 결과로 치수의 생활력을 잃거나 이와 함께 치수에 충혈 또는 잔여 치수 조직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변색의 경우에 사용 될 수 있으며, 약제의 사용이나 근관 충전재 또는 수복재료의 누출로 인한 변색에 미백제를 치수강 내에 직접 위치시켜 미백하는 방법이다[2]. 자가 미백은 1989년 Haywood와 Heymann[3]에 의해 처음 문헌으로 소개된 이후에 carbamide peroxide(CP) 함유 gel을 이용하여 10-15% 내외의 저농도 CP를 환자의 구강에 맞게 제작된 미백장치에 환자가 직접 미백제를 적용시키는 미백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VMT. Zaragoza, "Bleaching of vital teeth : technique," EstoModeo, Vol.9, pp.7-30, 1984. 

  2. M. Goldberg, A. Claisse-Crinquette, and Bourd- Boittin, "Tooth bleaching treatment," Ass. Dent. Francaise, Paris, pp.10-46, 2005. 

  3. V. B. Haywood and H. O. Heymann, "Nightguard vital bleaching," Quintessence Int, Vol.20, pp.173-176, 1989. 

  4. R. Goldstein and D. Garber, "Complete dental bleaching," Quintessence Int, pp.20-76, 1995. 

  5. H. O. Heymann, "Bleaching of vital teeth," Quintessence Int, Vol.28, pp.420-427, 1997. 

  6. R. T. Basting, A. L. Rodrigues, and M. C. Serra. "The Effect of 10% Carbamide Peroxide Bleaching Material on Microhardness of Sound and Demineralized Enamel and Dentin In Situ," Oper Dent, Vol.26, pp.531-539, 2001. 

  7. A. L. Josey, L. A. Meyers, and K. Romaniuk, "The effect of a vital bleaching technique on eanamel surface morphology and the bonding of composite resin to enamel," J Oral Rehabil, Vol.23, pp.244-250, 1996. 

  8. R. T. Basting, Y. Fernandez, and C. Fernandez, "Effects of a 10% carbamide peroxide bleaching agent on roughness and microhardness of packable composite resins," J Esthet Restor Dent, Vol.17, No.4, pp.256-262, 2005. 

  9. J. W. Reinhardt, S. E. Eivins, and E. J. Swift, "A clinical study of nightguard vital bleaching," Quintessence Int, Vol.24, pp.379-384, 1993. 

  10. S. Montgomery, I. Rotstein, and A. Stabholz, "External cervical resorption after bleacheing pulpless teeth," Oral Surg, Vol.57, No.2, pp.203-206, 1984. 

  11. S. J. Bailey and E. J. Swift, "Effect of home bleaching products on composite resins," Quintessence Int, Vol.23, No.7, pp.489-494, 1992. 

  12. S. A. Nathoo, M. B. Chmielewski, and R. E. Kirkup, "Effect of colgate platinum professional tooth whitening system on microhardness of enamel, dentin, and composite resins," Compend Contin Educ Dent, Suppl, pp.627-630, 1994. 

  13. H. Ulukapi, Y. Bengerli, and I. Ulukapi, "Effects of pre-and -post operative bleaching on marginal effect of leakage of amalgam and composite restorations," Quintessence Int, Vol.34, pp.5053-5058, 2003. 

  14. R. T. Basting, Y. Fernandez, and C. Fernandez, "Effects of a 10% carbamide peroxide bleaching agent on roughness and microhardness of packable composite resins," J Esthet Restor Dent, Vol.17, No.4, pp.256-262, 2005. 

  15. N. Akal, H. Over, and A. Olmez, "Effect of carbamide peroxide containing bleaching agents on the morphology and subsurface hardness of enamel," Journal of Clinical Pediatric Dentistry, Vol.25, pp.293-296, 2001. 

  16. R. H. Leonard, C. D. Bentley, and V. B. Haywood, "Salivary pH change during 10% carbamide peroxide bleaching," Quintessence Int, Vol.25, pp.547-550, 1994. 

  17. M. S. McCraken and V. B. Haywood, "Effect of 10% carbamide peroxide on the subsurface hardness of enamel," Quintessence Int, Vol.26, pp.21-24, 1995. 

  18. V. B. Haywood, "Current Status of Nightguard Vital Bleaching," Compend Contin Educ Dent Suppl, Vol.21(suppl 28), pp.S10-S17, 2000. 

  19. 최재윤, 심연수, 임범순, "미백한 치아에 다양한 재광화 처리가 무기질 함량 변화에 주는 영향", 대한치과기재학회지, 제35권, 제3호, pp.255-264, 2008. 

  20. J. D. White and G. H. Nancollas, "Physical and chemical considerations of the role of firmly and loosely bound fluoride in caries prevention," J Dent Res, Vol.69, pp.587-594, 1990. 

  21. M. Sulieman, M. Addy, and E. Macdonald, "The bleaching depth of a 35% hydrogen peroxide based in-office product: a study in vitro," J Dent, Vol.33, No.1, pp.33-40, 2005. 

  22. A. Joiner, "Tooth colour: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Dent Dec, Vol.32, pp.3-12, 2004. 

  23. S. A. Nathoo, "The chemistry and mechanisms of extrinsic and intrinsic discoloration," J Am Dent Assoc, Vol.128, pp.6S-10S, 1997. 

  24. 김동준, 김영주, 김학근, "생활치 미백제가 우치 법랑질의 투명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존학회지, 제30권, 제3호, pp.178-183, 2005. 

  25. J. Shotwell and L. Razzog, "Color stability for long-term soft denture liners," J Prosthet Dent, Vol.68, No.5, pp.836-838, 1992. 

  26. W. T. Wozniak, "Proposed guidelines for the acceptance program for dental shade guides," Am J Dent Assoc, Chicago, pp.1-2, 1987. 

  27. J. E. Ruyter, K. Nilner, and B. Moller, "Color stability of dental composite resin materials for crown and bridge veneers," Dent Mater, Vol.3, pp.246-251, 1987. 

  28. T. Fasanaro, "Bleaching teeth; history, chemicals, and methods used for common tooth discoloration," J Esthet Dent, Vol.4, pp.71-78, 1992. 

  29. C. S. Delfino, M. A. Chinelatti, and L. D. Carrasco-Guerisoli, "Effectiveness of home bleaching agents in discolored teeth and influence on enamel microhardness," J Appl Oral Sci, Vol.17, No.4, pp.284-288, 2009. 

  30. T. Attin, H. Betke, and F. Schippan, " Potential of fluoridated carbamide peroxide gels to support post-bleaching enamel re-hardening," J Dent, Vol.35, No.9, pp.755-759, 2007. 

  31. I. Lewinstein, N. Fuhrer, and N. Churaru, "Effect of different peroxide bleaching regimens and subsequent fluoridation on the hardness of human enamel and dentin,"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Vol.92, pp.337-342, 2004. 

  32. J. J. Faraoni-Romano, C. P. Turssi, and M. C. Serra, "Concentration-dependent effect of bleaching agents on microhardness and roughness of enamel and dentin," Am J Dent, Vol.20, No.1, pp.31-34, 2007. 

  33. T. A. Qunaian, "The effect of whitening agents on caries susceptibility of human enamel," Oper Dent, Vol.30, pp.265-270, 2005. 

  34. J. Perdigao, C. Francci, and E. J. Swift, "Ultra-morphological study of the interaction of dental adhesives with carbamide peroxide bleached enamel,", Am J Dent, Vol.11, pp.291-301, 1998. 

  35. 심연수, 정미애, 오혜승, "35% hydrogen peroxide 에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를 함유한 치아 미백제가 치아의 색과 경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235-242, 20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